뉴욕증권거래소(NYSE)와 나스닥(Nasdaq)에서 13일(현지시간) 주요 지수가 혼조세로 마감했다. S&P 500 지수는 ‑0.05% 하락했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59% 내렸다. 반면 나스닥 100 지수는 +0.42% 상승했다. 같은 날 9월물 E-미니 S&P 선물은 ‑0.06%, 9월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0.41%로 마감됐다.
2025년 9월 13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채권 금리 상승이 주식시장에 차익 실현 매물을 촉발하며 변동성을 키웠다.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전장 대비 +5bp(0.05%p) 오른 4.06%를 기록했다. 이는 투자자들이 위험자산을 일부 정리하는 계기가 됐다는 평가다.
소비심리 지표 악화가 부담으로 작용
같은 날 발표된 미시간대 9월 소비자심리지수 잠정치가 4개월 만의 최저치인 55.4로 떨어지며 예상치(58.0)를 밑돌았다. 특히 장기(5-10년)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3.5%에서 3.9%로 예상 밖 상승한 점이 채권 매도·수익률 상승의 직접적 원인으로 지목된다.
“소비심리 악화와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 반등이 맞물리면서 연준(Fed)이 금리 인하에 신중해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다만 단기적으로는 연준에 우호적인 지표(고용 부진, 물가 완화)가 누적됐다는 점에서 연내 75bp(0.75%p) 인하 기대는 유지됐다.
주간 기준 사상 최고치 행진…그러나 경계감도 확산
이번 주 S&P 500, 다우, 나스닥 100 등 대부분의 주요 벤치마크 지수가 사상 최고가를 새로 썼다. 약세 고용지표와 안정된 물가가 맞물려 다음 주 FOMC(9월 16~17일)에서 최소 25bp 인하가 확실시된다는 인식이 상승세를 견인했다. 금리선물 시장은 25bp 인하 가능성을 100%, 50bp 인하 가능성을 8%로 반영하고 있다.
한편 시장은 연말까지 연방기금금리가 현행 4.33%에서 평균 3.63%으로 총 70bp 인하될 것으로 가격에 반영했다. 10월 FOMC(28~29일) 추가 25bp 인하 확률은 91%로 집계된다.
해외 증시·채권 동향
유럽 Euro Stoxx 50은 +0.07% 소폭 상승한 반면,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10년 만의 고점 이후 ‑0.12% 하락했다. 일본 닛케이225는 +0.89%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유럽 국채 역시 약세였다. 독일 10년물 분트 금리는 +5.9bp 오른 2.715%, 영국 10년물 길트 금리는 +6.5bp 상승해 4.671%에 마감했다. ECB(유럽중앙은행) 위원인 나겔 독일 분데스방크 총재는 “현행 금리가 적정”이라며 추가 인하에 부정적 견해를 밝혔으나, 빌루아드갈로 프랑스 중앙은행 총재는 “추가 인하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언급해 엇갈린 메시지를 냈다.
미 국채 시장과 정책 리스크
12월물 T-노트 선물은 ‑12틱 하락, 10년물 수익률은 4.055%로 +3.4bp 상승했다. 유가(WTI) 반등과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 상승이 금리 상승 압력을 가중했다. 시장 일각에서는 대통령이 연준 이사 해임을 시도하고 백악관 경제자문 출신이 이사직을 겸직하려 한다는 ‘연준 독립성’ 이슈가 채권 매도 요인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주요 종목별 등락
▲ 상승 종목
워너브라더스 디스커버리(WBD) +16% : 파라마운트-스카이댄스 인수설
테슬라(TSLA) +7% : 네바다주 자율주행차 테스트 승인
마이크론(MU) +4% : AI 칩 수요 확대 기대
슈퍼마이크로컴퓨터(SMCI) +2% : 엔비디아 B300 시스템 대량 공급
마이크로소프트(MSFT) +1% : 오픈AI와 파트너십 구조 잠정 합의
▼ 하락 종목
모더나(MRNA)·바이오엔텍(BNTX) ‑7%, 화이자(PFE) ‑3% : 아동 사망 25건 백신 연관 보도
오라클(ORCL) ‑5% : 엘리슨 가문, 파라마운트-스카이댄스의 WBD 인수 지지설
룰루레몬(LULU) ‑3% : 뱅크오브아메리카 목표가 하향
MGM 리조트(MGM) ‑2% : 내부자 매도 공시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AMAT) ‑1% : 미즈호 증권 중립 하향·목표가 175달러
알아두면 좋은 용어
- E-미니 선물: CME(시카고상업거래소)가 소액 투자자도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지수선물 상품. 본문에서는 S&P 500·나스닥 100 선물을 의미한다.
- bp(베이시스포인트): 금리 변동 단위로, 1bp는 0.01%p에 해당한다.
- FOMC: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로,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연준의 통화정책 기구다.
기자 시각 — 금리 인하 기대와 시장 변동성
지속되는 연준의 완화적 전환 기대가 주식 강세를 이끌었으나,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이 다시 고개를 든 점은 향후 연준 행보에 불확실성을 더한다. 만약 에너지 가격 상승과 임금 압력이 재가열될 경우, 투자자들은 ‘연내 3차례 인하’ 시나리오를 재점검해야 할 것이다. 반대로 고용시장 둔화가 심화되면 연준이 예상보다 공격적인 인하를 단행할 가능성도 열려 있다. 결국 채권 금리 변동성 확대가 주식 밸류에이션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전망이므로, 자산배분 측면에서 금리·인플레이션 지표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