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증시가 15일(현지 시각) 장중에도 사상 최고치를 또다시 갈아치웠다. S&P 500 지수는 0.41% 상승했고, 다우존스 산업평균 지수는 0.17% 올랐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100 지수도 0.49% 뛰어오르며 동반 강세를 나타냈다. E-미니 선물시장에서도 9월물 S&P 500 선물이 0.43%, 나스닥 선물이 0.54% 각각 상승했다.
2025년 9월 15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하락한 미국 국채 금리가 주식시장 랠리를 밀어 올린 것으로 분석된다. 10년물 미 국채 수익률은 전장 대비 2bp(0.02%포인트) 내린 4.04%를 기록했다. 투자자들은 16~17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최소 25bp 금리 인하가 단행될 가능성을 100%로 반영하고 있다.
특히 테슬라가 5% 넘게 급등하면서 대형 기술주 전반의 매수세를 주도했다. 미 증권거래위원회(SEC) 공시에 따르면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는 지난주 금요일 자사주 약 10억 달러어치를 추가 매입했다. 이 소식은 다른 빅테크 주가에도 투자심리를 자극해 애플·아마존·알파벳·메타 플랫폼스 등이 일제히 강세를 보였다.
다만 반도체 업종 일부는 약세였다. 엔비디아는 중국 당국이 2020년 인수한 멜라녹스 테크놀로지스와 관련해 반(反)독점법 위반 결정을 내렸다는 소식에 1% 이상 밀렸다.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역시 중국 상무부가 특정 아날로그 반도체 제품에 대해 ‘덤핑 조사’를 개시한다고 발표하면서 2% 넘게 하락했다.
미국 경제 지표는 혼조세다. 9월 뉴욕 연은 제조업지수(엠파이어 스테이트 지수)의 일반 사업 여건은 –8.7로, 전월 대비 20.6포인트 급락하며 3개월 만의 최저치를 찍었다. 시장 전망치(5.0)보다 훨씬 부진해 경기 둔화 우려를 키웠다.
지난주 S&P 500, 다우존스, 나스닥 100 등 주요 지수는 약세 고용지표와 완화된 물가 상승률 덕분에 모두 사상 최고 기록을 세운 바 있다. 투자자들은 연말까지 총 75bp의 추가 금리 인하를 예상하고 있다.
중국발 경기 둔화 신호도 부각됐다. 8월 산업생산은 전년 동월 대비 5.2% 증가해 시장 예상치(5.6%)를 밑돌았으며, 소매판매(+3.4%)와 신규주택 가격(–0.3% 전월 대비)도 모두 기대 이하였다. 실업률은 5.3%로 6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번 주 주요 일정은 17일(화) 8월 소매판매(+0.3% 예상)와 배제 자동차 소매판매(+0.4% 예상), 같은 날 산업생산(–0.3% 예상), 주택시장협회(NAHB) 주택시장지수(33 예상)가 예정돼 있다. 18일(수) FOMC가 기준금리를 4.25~4.50%에서 4.00~4.25%로 25bp 인하한 뒤 제롬 파월 의장이 기자회견을 연다. 19일(목)에는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24만 건으로 전주 대비 2만3천 건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페드워치에 따르면 트레이더들은 이번 회의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100%, 50bp 인하 가능성을 5%로 가격에 반영했다. 10월 28~29일 회의에서 추가 25bp 인하 가능성도 86%로 높게 보고 있다. 연말 기준금리 예상치는 현행 4.33%에서 3.63%로, 총 70bp 인하가 가격에 내재돼 있다.
해외 증시 상황은 엇갈렸다. 유로 Stoxx 50 지수는 3주 만의 최고치를 기록하며 0.69% 올랐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26% 하락했다. 일본 닛케이 225 지수는 노인의 날 공휴일로 휴장했다.
금리 시장에서는 12월 만기 10년물 미 국채선물 가격이 5틱 상승했다. 독일 10년물 분트 금리는 1.9bp 내린 2.696%, 영국 10년물 길트 금리는 3.9bp 내린 4.632%로 동반 하락했다. ECB 정책위원 크로허는 “현재 금리 인하 사이클이 사실상 막바지”라고 언급했다.
기업 뉴스도 풍성하다. 오라클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틱톡 협상’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4% 이상 급등했다. TKO 그룹 홀딩스는 10억 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 계획을 발표해 3% 넘게 상승했다. 스머핏 웨스트록·GE 버노바·이튼 등도 증권사 긍정적 평가에 힘입어 1% 안팎의 강세를 보였다.
반면 코테바는 종자·농약 사업 분할설이 부정적이라는 키뱅크 보고서가 나오면서 4% 이상 급락했다. 아스트라제네카와 헬스케어 리얼티 트러스트도 증권사 투자의견 하향으로 각각 2%, 1% 내외로 밀렸다.
알아두면 좋은 금융 용어
① FOMC는 미 연방준비제도가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회의로, 연 8회 정례 개최된다.
② bp(베이시스포인트)는 0.01%p에 해당하는 금리 단위를 뜻한다.
③ E-미니 선물은 S&P 500ㆍ나스닥 등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한 소액 지수선물로, 기관·개인 모두 활용한다.
시장 참여자들은 “10년물 국채금리가 4% 초반으로 내려앉은 점이 빅테크 고밸류에이션 부담을 덜어줬다”면서도 “중국 경기 둔화와 미 연준의 최종 금리 전망 하향 여부가 향후 시장 방향성을 좌우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기자는 이번 랠리를 단기 금리 기대에 따른 유동성 랠리로 평가한다. 실제 기업 실적 개선이 뒷받침되지 않을 경우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크다. “소프트랜딩” 시나리오가 유지되려면 향후 발표될 9월 고용보고서와 소비자물가지수(CPI)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