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증시 마감 동향]
22일(현지시간) 미국 증시는 S&P 500지수가 전장 대비 0.14% 오른 가운데 사상 최고치를 새로 썼고, 나스닥 100지수 역시 0.50% 상승하며 최고치를 경신했다. 반면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04% 소폭 하락했다. 같은 날 E-미니 9월물 S&P 선물은 0.19%, 나스닥 선물은 0.54% 각각 올랐다.
2025년 7월 22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이 5bp(0.05%p) 떨어진 4.37%로 1주일 만의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주식 시장에 우호적인 환경이 조성됐다. 여기에 전반적인 반도체주 강세가 기술주 랠리를 이끌며 주요 지수를 밀어 올렸다.
“채권 금리 하락은 밸류에이션 부담을 덜어주는 동시에, 반도체 업황에 대한 낙관론은 성장주 심리를 지지했다”는 평가가 시장에서 확산됐다.
반면 천연가스 선물 가격이 6% 넘게 급락해 1주일 만의 최저치로 밀리면서 천연가스 생산업체 주가는 동반 하락했다. 대표적으로 EQT가 9% 넘게 빠졌고, Antero Resources·Cheniere Energy 등도 5~10%대 약세를 보였다.
기업·업종별 주요 움직임
블록(Block)은 S&P 다우존스 인덱스가 “24일(수) 장 시작 전 Hess를 대체해 S&P 500 지수에 편입된다”고 발표한 직후 7% 급등했다. 버라이즌(Verizon)은 연간 순이익 증가율 하단 전망치를 ‘0%→1%’로 상향 조정한 덕분에 4%대 상승, 다우지수 및 S&P 500 편입 종목 중 가장 두드러진 강세를 기록했다.
한편 ARM·Qualcomm·Broadcom·NXP·Lam Research·Applied Materials 등 주요 반도체주는 1~3%가량 올랐으며, 이는 나스닥 100 지수 전반에 상승 에너지를 공급했다.
월가의 투자의견 변화도 개별 종목 주가에 영향을 미쳤다. Morgan Stanley는 Pinterest를 ‘비중 확대’(overweight)로, Barclays는 Dollar Tree를 같은 등급으로 각각 상향 조정했고, TD Cowen은 Invesco를 ‘매수’(buy)로 올렸다. 반대로 Truist Securities는 Biogen을, TD Cowen은 Centene을 ‘보유’(hold)로 내리며 해당 종목이 하락 압력을 받았다.
무역·정책 변수
지난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8월 1일부로 150여 개국에 대해 10~15%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서한을 발송할 것이라 밝혔으며, 유럽연합(EU)·멕시코산 수입품엔 30%, 캐나다 일부 제품엔 35% 관세를 예고했다. 이러한 통상 긴장은 증시에 부담을 주고 있다.
시장 참가자들은 이번 주에도 추가 관세 소식과 새로운 무역합의 발표 여부를 주시하고 있다. 동시에 주택 지표(6월 기존주택·신규주택 판매), 주간 실업수당 청구 건수, 7월 S&P 제조업 PMI, 6월 내구재(항공기 제외) 신규주문 등 주요 경제지표가 연달아 발표될 예정이어서 경기 모멘텀 파악에 영향을 줄 전망이다.
연방기금선물(FF) 가격은 7월 29~30일 FOMC에서 기준금리가 0.25%p 인하될 가능성을 3%, 9월 회의에선 58%로 각각 반영하고 있다. 금리 기대가 주가와 채권 가격에 미묘한 균형을 형성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채권·금리 동향
9월물 10년 만기 미 국채(틱커 ZN)는 13틱 상승, 수익률은 4.372%로 4.4bp 하락해 1주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주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가 “7월 회의에서 금리 인하를 지지한다”는 견해를 내놓은 데 이어, 이날 10년 만기 독일 국채 금리도 8bp가량 떨어진 2.613%를 기록하며 글로벌 금리 하락세가 확대됐다.
배경 용어 설명※: 틱(Tick)은 채권 선물 가격 변동의 최소 단위를 뜻한다. 일반 투자자에게는 생소하지만, 거래소 상의 계약마다 크기(틱 값)가 다르므로 채권 선물 호가 해석 시 주의가 필요하다.
실적 시즌 전망
이번 주엔 알파벳(Alphabet)·테슬라(Tesla) 등 굵직한 기술주가 실적을 공개한다. S&P 500 구성 종목 중 약 20%가 2분기 성적표를 내놓을 예정이며,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현재까지 발표된 결과를 종합할 때 2분기 이익 증가율은 연초 전망치(2.8%)를 웃돈 3.2%를 기록할 것으로 추산된다. 야데니 리서치는 S&P 500의 11개 섹터 가운데 6개만이 이익 증가를 보일 것으로 예상, 2023년 1분기 이후 최저 수준이라 평가했다.
시장에서는 금리 인하 기대, 무역 리스크, 실적 변동성이 혼재돼 있어 단기 방향성 판단이 쉽지 않다는 의견이다.
향후 주요 일정
23~26일 사이 발표되는 경제지표 외에도 22일에는 코카콜라·록히드마틴·텍사스인스트루먼트 등 굵직한 기업들이 실적을 공개한다. 특히 테크 기업들의 가이던스가 주가 변동성 확대 요인으로 꼽힌다.
투자 유의Disclaimer: 본 기사에 언급된 개별 종목·지수·선물·금리 등은 정보 제공 목적일 뿐이며, 투자 손실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투자자 본인에게 있다.
전문가 시각
일반적으로 채권 금리가 빠르게 내려가면 주식 시장엔 호재로 작용하지만, 금리 하락이 ‘성장 둔화’ 우려에서 기인했을 때는 오히려 위험 자산에 부정적이다. 금번 하락은 “연준이 금리 인하로 선제 대응할 수 있다”는 기대가 원인이어서 일단 증시에 긍정적으로 해석됐다. 다만 트럼프의 관세 이슈가 현실화될 경우, 공급망 혼란과 원가 상승이 기업 이익을 잠식할 가능성이 있어 추가 확인이 필요하다.
또 반도체주는 AI·고성능 컴퓨팅 수요 호조로 강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밸류에이션(주가 대비 실적 비율)이 역사적 고점권에 근접해 있어 실적 시즌 이후 변동성이 커질 위험이 존재한다. 특히 NXP·Lam Research처럼 경기 민감도가 높은 종목은 글로벌 제조업 PMI 흐름에 따라 주가가 좌우될 수 있다.
요약하면, 금리·무역·실적 세 축이 맞물려 있는 현재 시장은 종목 간 수익률 격차가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투자자는 FOMC와 주요 기업 컨퍼런스콜에서 나오는 힌트에 주의를 기울이면서, 관세 정책의 구체적 윤곽을 살피는 전략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