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 금리 상승에 뉴욕증시 혼조…정부 셧다운·AI 수혜주 주목

[뉴욕증시 종합]
2일(현지시간) 미국 증시는 장 초반 상승세를 반납하고 혼조세로 돌아섰다. S&P500 지수는 ‑0.10% 하락했으며,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22% 떨어졌다. 반면 나스닥100 지수는 +0.08% 소폭 올라 대조를 이뤘다.

2025년 10월 2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날 12월물 E-mini S&P500 선물은 ‑0.12%, 12월물 E-mini 나스닥 선물은 +0.06%를 기록했다. 장중 미국 10년물 국채수익률이 4.108%(+1.0bp)까지 재차 상승하면서 주식 매도(롱 청산) 압력을 자극한 것이 주요 배경으로 지목된다.

S&P 500 Chart
투자자들은 정부 셧다운(2일째)에 따른 연방경제지표 지연, 금리 인하 기대, 그리고 인공지능(AI) 관련 반도체·인프라주 강세라는 상반된 변수를 동시에 소화하고 있다.

주목

주요 재료: 정부 셧다운과 경제지표 공백

현재 미국 연방정부는 이틀째 일시 폐쇄(셧다운) 상태다. 이에 따라 ▲주간 실업수당 청구 ▲10월 3일 예정된 9월 고용보고서 등 핵심 통계 발표가 연기됐다.

백악관은 “셧다운이 장기화될 경우,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우선순위에 부합하지 않는 부처에서 대규모 정리해고가 발생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약 64만 명의 연방 공무원이 강제 무급휴직에 들어갈 것으로 추산하며, 실업률이 4.7%까지 치솟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민간 취업컨설팅업체 챌린저·그레이·크리스마스가 발표한 9월 감원계획은 전년 동월 대비 25.8% 감소한 5만4,064건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올해 1~9월 누적 감원 발표는 94만6,426건으로, 2020년 이후 같은 기간 기준 가장 많다. 반면 신규 고용계획은 20만5,000명에 불과해 2009년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실적 및 금리 전망

S&P500 기업의 3분기 순이익은 전년 대비 +6.9% 성장할 것으로 블룸버그 인텔리전스는 예측했다. 이는 5월 말 전망치(+6.7%)보다 소폭 상향된 수치다. 또한 구성 기업의 22% 이상이 애널리스트 추정치를 웃도는 실적 가이던스를 제시해 이익 모멘텀이 강화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주목

파생금리(스왑) 시장은 오는 10월 28~29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0.25%p(25bp) 금리 인하를 100% 반영 중이다. 이는 전일 발표된 ADP 고용보고서가 두 달 연속 감소한 영향이 크다.


해외 증시·채권 동향

유럽 증시는 동반 강세를 보였다. Euro Stoxx 50 지수는 사상 최고치로 치솟으며 +1.24% 상승 마감했다. 반면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춘절(설) 연휴로 휴장, 일본 닛케이225는 +0.87% 상승했다.

유럽 채권시장에서 10년물 독일 분트 금리는 전일 대비 ‑0.6bp 내린 2.707%를 기록한 반면, 영국 길트 금리는 +1.9bp 오른 4.714%로 마감했다. 유로존 8월 실업률은 6.3%로 예상치(6.2%)를 상회해 고용 둔화 조짐을 보였다. 영국 DMP(결정제조업체 패널) 설문에서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3.5%로 2년 9개월 만의 고점을 경신했다.

ECB 집행이사회 위원 마르틴 카작스는 “특별한 변수가 없다면 현 수준의 정책금리가 적절하다”며, 2% 목표 달성을 위한 현 통화정책 유지 의지를 재확인했다.


개별 종목 동향: AI·소비주 강세, 에너지·신용평가주 약세

Nvidia
AI 열풍이 지속되며 반도체·AI 인프라주가 강하게 상승했다. ASML, AMD, 브로드컴, 마벨테크놀로지,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가 모두 2% 이상 상승했으며, 엔비디아·어플라이드머티어리얼즈·온세미컨덕터·텍사스인스트루먼트도 1% 넘게 올랐다.

데이터 분석업체 파이코(FICO)는 모기지 대출기관이 고객에게 직접 FICO 점수를 제공할 수 있는 새 프로그램을 발표하며 주가가 무려 +24% 급등, S&P500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반면 신용평가동맹인 에퀴팩스(-7% 이상), 트랜스유니온(-10% 이상)은 해당 프로그램으로 경쟁우위가 약화될 것이란 전망에 급락했다.

앤지오다이내믹스는 2026년 매출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하며 +9% 올랐고, 스텔란티스는 3분기 자동차 인도가 +6% 증가해 2년여 만에 첫 분기 증가를 기록하면서 +6% 상승했다. 반면 옥시덴털페트롤리엄은 버크셔 해서웨이에 OxyChem(석유화학) 부문을 97억 달러에 매각한다는 소식에도, 시장 기대치(100억 달러)에 못 미쳐 ‑5% 이상 하락했다.

이밖에 스타벅스는 분기 배당을 1센트 증액(주당 0.62달러)하면서 나스닥100 내 상승폭(+3% 이상)을 확대했다. 나이키도 키뱅크가 ‘비중 확대’로 상향 조정하며 다우 지수 내 강세(+2% 이상)를 이끌었다.


알아두면 좋은 용어

E-mini 선물은 표준 계약 대비 규모를 1/5 수준으로 축소한 주가지수 선물로, 소액 투자자도 접근하기 쉽다는 점에서 인기가 높다. ‘롱 청산(long liquidation)’은 주가 하락 시 기존 매수 포지션을 매도해 손실을 줄이는 전략이며, ‘캐리오버 서포트(carryover support)’는 직전 거래일의 호재가 다음 날에도 심리적 지지로 작용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향후 이벤트
이번 주 말(정부 재개를 전제로) 발표될 9월 비농업부문 고용은 +5만1,000명 증가, 실업률은 4.3%로 변동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동일 기간 시간당 평균임금은 전월 대비 +0.3%(y/y +3.7%)가 전망되며, ISM 서비스업지수는 51.8(-0.2p)로 소폭 둔화될 것으로 관측된다.

기업 실적 발표 일정은 10월 2일 앤지오다이내믹스(ANG0), 골든 매트릭스 그룹(GMGI)이 예정돼 있다.

※ 본 기사는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특정 종목에 대한 투자 의견을 제시하지 않는다. 기사 작성 시점 기준 기자는 해당 종목에 직·간접적 이해관계가 없음을 밝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