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ing.com에 따르면, 짐바브웨 중앙은행(Reserve Bank of Zimbabwe·RBZ)의 존 무샤야반후(John Mushayavanhu) 총재는 6월 30일 기준 국가 금 보유고가 3.4톤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날 집계된 1.6톤에서 두 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2025년 8월 7일, 인베스팅닷컴 보도에 따르면 무샤야반후 총재는 목요일(현지 시간) 발표한 중간 통화정책 성명에서 “외화 유입 급증이 금 보유고와 외환 보유고를 동시에 끌어올렸다”고 설명했다.
RBZ의 금 보유고는 2024년 4월 도입된 ZiG 등장 이후 거의 세 배로 늘었다.
ZiG(Zimbabwe Gold)는 짐바브웨 달러를 대체하기 위해 도입된 금 연동 통화로, 발행량의 일정 부분을 실제 금으로 뒷받침하는 방식이다. 이는 통화 가치 급락과 인플레이션 압력을 억제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무샤야반후 총재는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짐바브웨가 $72억(미화) 규모의 외화 유입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도 같은 기간의 $59억에서 크게 증가한 것이다.
총재는 수출 수익·해외 송금·광산 로열티의 현물 납부 의무 등을 보유고 확대의 핵심 동력으로 꼽았다. 구체적으로 정부는 광산업체가 채굴 로열티의 50%를 현물(금·광물)로 납부하도록 해 금 보유를 직접적으로 확대해 왔다.
무샤야반후 총재는 “RBZ는 ZiG의 안정성과 경제 전반의 수입 결제 능력 확보를 위해 금·외환 보유고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남부 아프리카 지역 중앙은행들이 사용하는 ‘3~6개월 수입 커버’ 벤치마크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고 덧붙였다.
전문가 해설
보유고 증가는 짐바브웨가 통화 불안과 외채 부담을 완화하려는 전략과 맞물려 있다. 특히 금 태환 방식을 채택한 ZiG는 통화 가치 하락을 방어할 ‘안전판’ 역할을 하겠지만, 실제 효과는 보유고 축적 속도와 국제 금 가격 변동성에 달려 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중앙은행이 밝힌 바와 같이 수입 커버 3~6개월 분을 확보하려면, 현재 수준의 외화·금 유입이 지속돼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금 보유고 증가가 단기적으로는 통화 신뢰도를 끌어올릴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재정 건전성과 거시경제 정책 일관성 확보가 병행돼야 ZiG의 안정성이 담보될 것으로 보인다.
본 기사는 AI의 지원으로 작성되었으며, 편집자의 검수를 거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