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BYD, 공급업체 대금지급 규정 준수 의지 밝혀

HONG KONG‧BYD가 중국 자동차 업계의 공급업체 대금지급 가이드라인에 적극 호응하기로 했다. 이번 조치는 가격 경쟁 과열을 억제하려는 중국 정부의 정책 기조 속에서 발표됐다.

2025년 9월 15일, 로이터 통신 홍콩발 보도에 따르면 세계 최대 전기차(EV) 제조사 중 하나인 비야디(BYD)는 자동차 제조사들이 공급망 전반에서 대금을 제때 지급하도록 명문화한 업계 공동 이니셔티브에 “적극적으로 응답하겠다”고 밝혔다.

BYD는 주문 확인, 납품 및 검수, 결제·정산, 계약기간 등 네 가지 핵심 절차를 중심으로 대금지급 시점을 명확히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는 중국자동차공업협회(CAAM)가 같은 날 발표한 세부 지침에 부응한 것이다.

주목

업계 전반으로 확산되는 ‘60일 지급’ 규정

앞서 6월, CAAM 회원사들은 “납품 인수 후 60일 이내에 대금을 지급“하겠다는 공동 선언에 합의했으나, “구체적인 이행 기준이 모호하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이에 협회는 “인수(납품 검수)는 원칙적으로 최대 3영업일 이내에 완료돼야 하며, 이 시점을 기점으로 60일 이내 결제가 이뤄져야 한다”고 명문화했다.

“결제 수단은 현금 또는 어음(bankers’ acceptance)으로 한정한다.” ― CAAM 공식 성명

※ 용어설명 Bankers’ acceptance(은행인수어음)은 상업어음을 은행이 지급 보증해 신용도를 높인 지급 수단으로, 현금과 동일하게 통용되나 만기 전 유동화 비용이 발생한다.


다른 주요 제조사들도 잇따라 동참

협회 지침 발표 직후 상하이자동차(SAIC Motor), 창안자동차(Changan), 체리(Chery), 샤오미(Xiaomi) 등 주요 완성차 업체들이 모두 “지급 규정을 준수하겠다”는 성명을 냈다.

체리는 지난달 평균 지급 기간을 47일로 단축했다고 공개했지만, 다른 업체들은 구체적인 날짜를 밝히지 않아 투명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돼 왔다. CAAM은 “제조사마다 공급망 관리 시스템이 달라 이행 속도에 편차가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주목

정부, ‘무질서 경쟁’ 경고…판매 목표도 보수적 조정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주말에 공개한 자동차 산업 행동 계획에서 “수요 부진무질서한 경쟁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동시에 올해 자동차 판매 목표를 CAAM이 연초 제시한 전망치보다 낮춰 잡았다.

업계 안팎에서는 정부가 이윤을 잠식하는 ‘출혈 경쟁’을 억제하고, 공급망 참여 기업(부품사·원자재사)의 현금 흐름 안정을 도모하려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해설 및 전망

① 공급망 안정성 강화
60일 지급 규정이 표준화되면, 중소 부품업체의 자금 조달 부담이 완화돼 중장기 연구·개발(R&D) 투자 여력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② 가격 경쟁 완화 기대
정부의 ‘무질서 경쟁’ 경고와 결제 기한 준수가 맞물리면서, 향후 EV 가격 인하 폭이 완만해질 수 있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이는 마진 압박을 겪어온 완성차 업체들에게도 일정 부분 숨통을 틔워줄 전망이다.

③ 어음 결제 비중 주목
은행인수어음 사용이 확대될 경우, 은행권의 단기 유동성이 EV 생태계와 더욱 밀접히 연동될 수 있다. 금융기관의 위험관리 기준 변화가 뒤따를 수 있다는 점에서 관전 포인트다.

④ 미이행 시 제재 가능성
현재는 ‘권고’ 형식이지만, 협회와 정부가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할 경우 제재·불이익 조치가 현실화될 수 있다. 업계에서는 매출 규모보다 지급 신뢰도가 협력사 선정의 핵심 지표가 될 것이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결국 이번 가이드라인은 중국 EV 산업이 ‘양적 경쟁’에서 ‘질적 경쟁’으로 전환하는 분수령으로 평가된다. 완성차 업체 간 ‘출혈 가격 전쟁’을 넘어, 지속가능한 공급망 구축이 새로운 경쟁력으로 부상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