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로이터] 중국 국가통계국(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NBS)은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0.0%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이는 6월의 0.1% 상승에서 멈춰선 수치이자, 시장 전망치였던 –0.1% 하락을 웃도는 결과다.
2025년 8월 9일,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월간 기준 CPI는 전월 대비 0.4% 올라 6월의 –0.1%에서 반등했으며, 전문가 예상치였던 0.3% 상승도 상회했다.
같은 기간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 동월 대비 –3.6% 떨어졌다. 이는 시장 컨센서스(–3.3%)보다 낙폭이 컸고, 6월과 동일한 하락률을 이어간 것이다.
⦿ CPI·PPI란 무엇인가?
CPI는 소비자가 구입하는 상품·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PPI는 기업이 생산 단계에서 부담하는 원가 변동을 각각 측정한다. 일반적으로 CPI가 정체되거나 하락할 경우 소비 부진·디플레이션 징후로 해석되며, PPI가 마이너스를 지속하면 기업 마진 압박이 커질 수 있다.
중국 정부는 올해 초 “약 3% 안팎”의 CPI 상승률 목표를 제시했으나, 상반기 내내 물가 상승세가 둔화돼 목표 달성이 어렵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 시장 반응 및 분석
상하이 소재 거시경제연구소의 장젠 연구원은 “내수 수요 부진과 글로벌 교역 불확실성이 기업·가계 심리를 억누르고 있다”며 “7월 CPI가 간신히 마이너스를 피했지만, 구조적 디플레이션 위험은 여전하다”고 평가했다.
그는 특히 설비투자·부동산 경기 둔화가 생산자단가를 계속 압박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비스·여행 수요 등 일부 항목이 회복세를 보였지만, 에너지·식료품 가격 하락 영향이 더 컸다는 설명이다.
중국 인민은행(PBoC)은 올해 들어 이미 두 차례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금리를 인하해 완화 기조를 강화했다. 그러나 실물경기 반등이 지연되는 가운데, 추가 금리 인하나 지급준비율(RRR) 인하 가능성이 제기된다.
글로벌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보고서에서 “미·중 무역 갈등이 재부각되고 위안화 약세 압력이 커지면 수입 인플레이션이 불거질 수 있지만, 당장은 내수 위축이 더 큰 리스크”라고 진단했다.
⦿ 정책 전망
시장 전문가들은 “통화·재정정책 공조가 강화될 가능성”을 공통으로 거론한다. 지난해 팬데믹 완화 이후 중국 정부는 소비 쿠폰, 금리 인하, 인프라 투자 확대 등 부양책을 펼쳤으나, 실질 소비·투자 지표는 목표에 미달했다.
싱가포르 OCBC은행의 율리우스 차 전략가는 “PPI가 장기간 마이너스면 기업이 가격 경쟁력 확보를 위해 설비 투자와 고용을 줄일 가능성이 높다”면서 “정책당국이 연내 추가적·선제적 경기부양에 나설 공산이 크다”고 내다봤다.
⦿ 국제적 의미
중국은 세계 원자재·중간재 수요의 약 30%를 차지해, PPI 약세가 글로벌 상품가격과 공급망 전반에 디스인플레이션 압력을 미칠 수 있다. 나아가 아시아 인접국들의 수출·환율에도 연쇄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호주·브라질 등 원자재 수출국은 중국의 산업 수요 둔화에 따른 광물·원유 가격 변동성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는 조언이 나온다.
⦿ 향후 관전 포인트
1) 8월 이후 발표될 산업생산·소매판매 지표가 반등세를 확인해 줄지,* 2) 인민은행이 하반기 중 추가 금리 인하를 단행할지,** 3) 지방정부 채무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구조조정 정책이 나오게 될지가 주요 변수로 꼽힌다.
*산업생산은 경기민감성이 높아, 내수 회복 여부를 나타내는 선행지표로 활용된다.
**기준금리(LPR) 인하는 개인·기업 대출 이자 부담을 직접적으로 낮춰 소비·투자를 자극할 수 있다.
결국 소비 진작과 기업 수익성 개선이 동반되지 않는 한, CPI 정체와 PPI 하락이라는 ‘쌍둔화’ 흐름이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다수 연구기관의 공통된 판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