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7월 수출이 시장 전망을 넘어섰다. 미·중 양국이 체결한 ‘취약한 휴전(truce)’ 속에서 중국 제조업체들이 관세 재부과 시한을 앞두고 선적을 서둘렀다는 분석이 나온다.
2025년 8월 7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중국 해관총서(관세청) 발표치 기준 7월 중국의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7.2% 증가해 로이터가 집계한 시장 예상치(5.4% 증가)를 웃돌았다. 이는 6월 증가율 5.8%※보다도 확대된 수치다. ※ 편집자 주: 기존 보도에서 ‘4.8%’로 잘못 표기된 부분을 정정
같은 기간 수입 역시 4.1% 늘어나 6월의 1.1% 증가보다 큰 폭으로 개선됐다. 시장은 오히려 1.0% 감소를 예상했기 때문에 ‘깜짝’ 성적표라는 평가가 나온다.
관세 시한 압박 — 중국은 8월 12일까지 미국과 ‘지속 가능한 관세 합의(durable tariff agreement)’를 이뤄야 하는 상황이다. 양국은 5월과 6월 잇달아 희토류·기술 등 비관세 장벽 축소에 합의하며 휴전을 모색해 왔다.
합의가 무산될 경우, 미국이 세 자릿수 관세율을 즉각 복원해 사실상 양국 간 부분적 교역 봉쇄가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가 글로벌 공급망 전반을 짓누른다.
“미국은 중국과의 무역합의에 매우 근접했다. 합의가 성사되면 연내 시진핑 국가주석을 만나겠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8월 5일)
7월 중국의 무역흑자는 982억4,000만 달러로, 6월 1,147억7,000만 달러에서 축소됐다. 앞서 8월 5일 미국 상무부 경제분석국(BEA)은 6월 미·중 상품무역적자가 21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별도 발표했다.
정책 방향— 중국 정부 고문들은 14차 5개년 계획에 맞춰 가계부문의 성장 기여도 확대를 최우선 과제로 제시하고 있다. 동시에 과도한 ‘저가 판매(price-cutting)’ 관행을 규제하겠다는 의지도 재확인됐다.
그러나 경제학자들은 “이번 디플레이션(deflation) 체감은 10년 전 공급 측 개혁 당시보다 광범위하며, 고용 시장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경고한다. 고용은 중국 지도부가 강조해 온 사회 안정의 핵심 축이기 때문이다.
유럽연합(EU)도 중국산 제품이 ‘너무 싸다’며 문제를 제기하고 있어, 미국뿐 아니라 EU와의 통상 협상도 중국 당국이 해결해야 할 과제로 부상했다.
시장조사업체들과 투자은행들은 “하반기에는 고관세 지속, 트럼프 행정부의 ‘우회수출 단속’ 강화, EU와의 관계 경색 등 복합 악재가 수출 성장률을 둔화시킬 것”이라고 전망한다.
용어 설명
비관세 장벽(non-tariff barrier) — 관세 외의 수단(수출입 허가, 수량 제한 등)으로 교역을 제한하는 정책을 말한다.
디플레이션(deflation) — 상품·서비스의 일반 가격 수준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으로, 소비와 투자 위축→고용 악화→경기 둔화의 악순환을 유발할 수 있다.
전문가 시각
필자는 이번 데이터가 “관세 휴전 효과의 일시적 반사이익”에 불과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이미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기업이익률 등 선행지표는 둔화를 시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만약 8월 12일 협상이 결렬돼 고율 관세가 복귀한다면, 4분기 중국 수출은 두 자릿수 감소로 돌아설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중국 정부가 강조하는 ‘내수·가계 중심 성장’ 전략이 성과를 내려면 중산층 가처분소득 확대, 고용 안정, 소비심리 회복이 필수적이다. 관세 불확실성이 장기화될 경우, 재정·통화 부문의 정책 공조가 더욱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