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2025년 9월 10일 – 중국 공업정보화부(工信部)가 자동차 산업 전반에 만연한 온라인 허위·과장 마케팅과 악성 여론 조작 행위를 겨냥해 3개월 집중 단속에 나선다.
2025년 9월 10일,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이번 캠페인은 지난 5월 발표된 ‘자동차 가격 경쟁(Price War)※ 억제 지침’ 이후 후속 조치로 마련됐다. 당시 중국 정부는 무분별한 할인 경쟁이 완성차 업체·부품사·딜러망에 광범위한 손실을 초래한다고 분석하며 규제 고삐를 조였다.
공업정보화부는 공식 성명을 통해 “어떠한 조직이나 개인도 온라인상에서 허위·오해성 정보를 유포하거나 ‘악성 댓글 부대(이른바 트롤 군단)’를 동원해 경쟁사를 음해해선 안 된다”라고 못박았다. 특히
“자동차 제조사 관련 부정적 이슈를 의도적으로 확산시키고 이를 통해 경제적 이익을 취하려는 행위”
를 단속의 핵심 표적으로 명시해 ‘온라인 명성 훼손 영업모델’을 근절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했다.
■ 단속 배경 – 전방위 ‘가격 전쟁’ 후폭풍
중국 자동차 시장은 세계 최대 규모이지만, 지난 1년간 이어진 할인 공세로 수익성 악화가 심화됐다. 완성차업계는 신차 출시 시기마다 ‘원가 이하 파격 할인’을 내세웠고, 일부 딜러는 재고 처리 압박에 손실 판매까지 감수했다. 이런 환경에서 ‘경쟁사 흠집내기’와 ‘허위 스펙 광고’ 등 부정 마케팅이 급증, 정부가 칼을 빼 들었다.
■ 단속 주요 내용
- 온라인 플랫폼(전-e커머스·SNS) 및 자동차 제조사·딜러 모두 자체 점검·시정조치 의무 부과
- ‘조작된 가격 비교표’, ‘과장된 주행거리·연비’ 등 사실 왜곡 광고 전면 조사
- 허위 정보 게시와 댓글 조작 적발 시, 관련 계정·사이트 즉각 차단 및 형사 책임 추궁
공업정보화부는 구체적 기업 명단을 공개하진 않았으나, 시장에서는 대형 전기차 스타트업과 다수 전자상거래 플랫폼이 ‘잠재적 조사 대상’으로 거론된다.
■ 시장 현황 – 성장세 둔화
중국의 전기차(EV)·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판매량은 지난달 전년 동월 대비 1년 6개월 만에 최저 성장률을 기록했다. 업계에서는 “지속적인 출혈 경쟁이 소비자 수요를 잠식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 용어 해설
※Price War(가격 전쟁) : 동일 상품·서비스를 공급하는 기업들이 시장점유율 확대를 위해 지속적이고 공격적인 가격 인하를 단행하는 상황을 뜻한다. 단기적으로 소비자 혜택을 키우나, 장기적으로는 업계 수익성과 R&D 투자 여력을 잠식할 수 있다.
■ 기자 시각
이번 단속은 ‘품질·혁신 중심 경쟁’으로의 정책 유도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중국 정부가 단순 저가 공세를 넘어,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려는 의도로 읽힌다. 그러나 단속 과정에서 표현의 자유가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기업·소비자·플랫폼 모두 투명한 정보 제공과 검증 체계를 확립해야만 ‘부작용 없는 정화’가 가능할 것이다.
향후 3개월 동안 공업정보화부는 온라인 광고·콘텐츠를 상시 모니터링하고, 위반 내용이 확인되는 즉시 벌금·영업정지 등 행정처분을 부과할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는 “단속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도록 상설 감시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