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중국 상무부(商务部)가 멕시코 정부가 아시아산 자동차에 부과하는 관세율을 현행 20%에서 50%로 대폭 인상하려는 계획과 관련해 “심사숙고하라”며 강력히 경고했다. 상무부는 12일(현지시간) 발표한 성명에서 “중국과 멕시코는 서로에게 중요한 무역 동반자”라며 “해당 조치가 양국 경제 협력에 악영향을 미치는 상황을 원치 않는다”고 밝혔다.
2025년 9월 12일, CNBC 뉴스 보도에 따르면 상무부는 “
중국은 정당한 권익을 단호히 수호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
”이라고 강조하면서, 상응 보복 가능성을 공개적으로 시사했다.
멕시코 마르셀로 에브라르드(Marcelo Ebrard) 경제부 장관은 하루 전 열린 기자회견에서 “아시아, 특히 중국에서 수입되는 차량에 대해 50%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 방안은 국회 승인이 필요하며, 통과될 경우 30일 후 발효된다”고 설명했다.
■ 중국의 가능 보복 수단
중국은 이미 미국과의 무역 갈등에서 전기차·첨단 기술 생산에 필수적인 광물 수출을 제한하는 등의 대응을 해왔다. 중국 기업은 이러한 핵심 광물 공급망을 장악하고 있어, 멕시코가 고율 관세를 강행할 경우 유사한 조치가 멕시코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 USMCA가 관세 인상 배경
USMCA(미국·멕시코·캐나다협정)는 2020년 발효된 북미 자유무역 협정을 대체한 조약으로, 자동차 1대당 북미산 부품 비율을 NAFTA(북미자유무역협정)보다 높게 요구한다. 멕시코는 미국 국경과 인접해 무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지만, 아시아 자동차·부품이 들어오는 경우 북미산 비율 요건을 충족하기 어려워 추가 관세를 매기려는 것이다.
■ 멕시코 자동차 산업 위상과 중국 투자
워싱턴 D.C. 소재 컨설팅 회사 덴턴스 글로벌 어드바이저스의 호르헤 과하르도(Jorge Guajardo) 파트너는 “자동차 산업은 멕시코 최대 고용원”이라고 설명했다. 2022년 6월부터 2024년 7월까지 20개가 넘는 중국 자동차·부품 업체가 멕시코에 70억 달러(약 9조4,000억 원) 이상을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는 게 미 산업정책단체 CPA(Coalition for a Prosperous America)의 집계다.
그러나 중국 전기차 1위 업체 BYD는 여전히 멕시코 공장 설립을 공식화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중국은 올 초 멕시코를 최대 자동차 수출 대상국으로 삼았다고 중국승용차협회(CPCA)는 밝혔다.
■ 시장 점유율 경쟁…“서방 브랜드보다 다른 아시아 브랜드 잠식”
맥쿼리 캐피털의 중국 주식 전략 책임자 유진 샤오(Eugene Hsiao)는 CNBC 프로그램 ‘더 차이나 커넥션’에서 “중국차가 점유율을 가져가는 곳은 서방 브랜드보다는 다른 아시아 브랜드”라고 분석했다. 그는 관세 인상 조짐이 있었던 당시에도 “25% 포인트 관세가 붙어도 중국차의 가성비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말했다.
■ 전문가 해설: 관세 인상 효과와 한계
일반적인 한국 독자에게는 ‘50% 관세’라는 수치가 체감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2만 달러짜리 중국산 차량엔 추가로 6,000달러의 비용이 발생한다. 그러나 중국 브랜드가 이미 부품 현지화·저가 배터리 기술로 가격대를 낮춘 만큼, 현지 소비자가 체감하는 최종 가격 상승폭은 제한적일 수 있다.
또한 USMCA 원산지 규정을 충족하기 위해 자동차 제조사의 멕시코 현지 생산·조립이 가속화될 가능성도 있다. 이 경우 멕시코 내 일자리 창출과 중국 기업의 직접투자 확대라는 역설적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지적이다.
■ 결론 및 전망
멕시코 의회가 관세 인상안을 통과시킬지, 중국이 어떤 맞대응 카드를 현실화할지는 미지수다. 다만 미국·멕시코·중국 간 공급망 재편과 전기차 가치사슬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은 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