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로이터) 발— 중국 정부는 17일(현지시간)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마련된 틱톡(TikTok) 지배권 이전 합의안을 “윈윈(win-win)”이라고 규정하며, 자국법에 따라 해당 앱의 기술 수출과 지식재산권(IP) 이전을 면밀히 심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5년 9월 17일,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이번 합의는 중국 바이트댄스(ByteDance)가 보유한 틱톡의 미국 사업부문을 미국 측 투자자에게 넘기는 내용으로, 양국이 유지해 온 관세 휴전(tariff truce) 이후 추가 협상 동력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분기점으로 평가된다.
합의문이 발표된 직후,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중성(鐘聲, Zhong Sheng)’이라는 필명 칼럼을 통해 “
중국과 미국이 틱톡 문제에서 상호 존중·평화 공존·공동 이익의 원칙에 기반해 관련 합의에 도달했다
”고 언급했다. ‘중성’은 중국 외교 현안을 다룰 때 외교용 필명으로 사용되는 용어다.
이번 거래는 170 만 명이 아닌 1억7천만 명의 미국 사용자를 보유한 틱톡에 잠재적으로 발생할 서비스 중단 리스크를 제거한다는 점에서 시장의 이목이 집중된다. 실제로 미국 정부는 ‘국가 안보’를 명분으로 자국 사용자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틱톡의 미국 내 사업을 미국인이 소유·통제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로이터 통신은 본 합의가 올해 초 거의 타결 직전까지 갔다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대중(對中) 고율 관세를 발표하면서 보류된 이전 안과 상당히 유사하다고 전했다. 구체적 지분 구조나 투자자 명단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자산 매각 혹은 지분 스왑(swap) 형식을 통해 미국 법인이 틱톡의 미국 운영·개발·데이터 관리권을 확보하는 방식이 유력하다.
스콧 베센트(Scott Bessent) 미국 재무장관은 지난주 마드리드에서 중국 협상단과 회동한 뒤, 앱 서비스 차단이 예고됐던 9월 17일 시한을 최대 90일 연장할 수 있다고 시사했다. 그는 “세부 조율을 마무리할 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라면서도 추가 설명은 피했다.
전문가 해설
이번 합의가 ‘윈윈’이라는 중국 측 표현은 미 중 관계의 ‘관리 가능한 경쟁’이라는 최근 기조와 맥이 닿아 있다. 경제적 분리는 피하되, 핵심 기술과 데이터 주권은 양국이 각각 통제하겠다는 의도가 드러난다. 중국 정부가 “기술 수출과 IP 이전을 법에 따라 심사한다”고 선을 그은 것도 같은 맥락이다. 즉, 기술적 ‘블랙박스’를 무조건 개방하지 않으면서도, 서비스의 상업적 가치는 유지하려는 전략이다.
또한 미국 정부 입장에선 ‘국가 안보’ 우려 해소와 동시에 1억7천만 명의 미국 이용자가 만드는 광고·전자상거래 가치를 국내 기업으로 유입시키는 효과를 노릴 수 있다. 이는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 이후 거듭 표면화된 ‘데이터 주권’ 논쟁이 현실적 합의로 귀결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용어 설명
관세 휴전(tariff truce)은 2023년 말 양국 정상이 추가 관세 인상 동결과 일부 품목 관세 인하에 합의하며 형성된 상태를 일컫는다. ‘블랙리스트’나 기술 수출 제한이 완전 해제된 것은 아니지만, 대규모 관세 폭탄이 일단 멈춘 것을 의미한다.
또한 ‘중성(鐘聲)’이라는 필명은 중국 공산당의 공식 외교 논평용 가명이다. 해당 칼럼이 실리면 사실상 정부의 공식 입장으로 해석되므로, 틱톡 거래에 대해 중국 정부가 긍정적임을 대외에 분명히 한 셈이다.
전망 및 시사점
투자자들은 이번 합의가 미중 경제 교착 상태를 완전히 타개할 신호탄이 될지 주목하고 있다. 앞으로 90일 연장 기간 동안 계약 세부사항—특허 라이선스, 소스코드 접근권, 사용자 데이터 서버 위치—등이 어떻게 정리되는지가 관건이다.
만약 합의가 최종 체결된다면, 미국 고용시장에서는 틱톡 관련 신규 채용·투자가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반면 중국은 ‘전략적 자산’ 유출 우려가 여전히 남아 있어, 클라우드·AI·반도체 등 다른 핵심 기술에 대한 통제 장치는 더욱 강화될 수 있다.
결국 이번 사례는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데이터 주권과 국가 안보 이슈가 기업 가치 평가에 직결되는 시대적 변화를 상징한다. 향후 다른 중국 기술기업이 해외 사업을 영위할 때, ‘현지화된 소유 구조’가 사실상 조건부 필수 요건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