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약세에 달러 반등…우크라이나 휴전 기대·주택지표 혼조

달러 인덱스(DXY)가 8월 19일(화) 0.12% 상승하며 103.39포인트 선까지 회복했다. 주식시장이 약세를 보이자 유동성 확보 수요가 높아지면서 달러가 초반 약세를 딛고 소폭 반등한 것이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 레이팅스가 미국 국채의 장기신용등급 AA+, 단기등급 A-1+를 모두 유지한다고 발표한 점도 달러를 지지했다. S&P는 “최근 재정지출 법안으로 인한 재정 부담을 관세 수입이 대체로 상쇄할 것”이라며 미국의 신용 여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2025년 8월 20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미 국채(10년물) 금리가 하락한 점은 달러 약세 요인으로 작용했지만, 우크라이나 평화협상 진전에 대한 기대가 안전자산 수요를 낮추면서 달러 낙폭을 제한했다. 동시에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생산자물가지수(PPI)가 예상치를 웃돌았다는 기억이 남아 있어, 다음 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금리 인하가 지연될 수 있다는 경계감도 달러 매수세를 떠받쳤다.

달러 인덱스 차트

주택지표는 엇갈렸다. 7월 주택 착공 건수는 전월 대비 5.2% 증가한 142만 8,000건으로 5개월 만의 최고치를 기록해 시장 예상(129만 7,000건 감소 전망)을 뒤집었다. 반면 향후 건설경기를 가늠하는 건축 허가는 2.8% 줄어든 135만 4,000건으로 5년 내 최저치를 찍어 전망치(138만 6,000건)보다 부진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19일 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으로부터 “평화협정 체결 시 안보 보장을 제공하겠다”는 약속을 받았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젤렌스키 대통령의 조기 정상회담을 추진 중이며, 유럽 지도자들은 영국·프랑스군을 우크라이나에 파견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전해졌다.

이 같은 움직임은 관세·유가·유럽 안보 등 거시 환경에 파급효과를 미칠 수 있다.

유로/달러 차트

금리 인하 기대 후퇴

지난주 PPI(생산자물가지수)가 매파적(긴축적)으로 해석되자, 시장은 9월 FOMC에서 50bp(0.50%포인트) 금리 인하 가능성을 완전히 접었다. 25bp 인하 가능성 또한 93%에서 84%로 낮아졌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 자료에 따르면 연방기금선물은 9월 16~17일 회의에서 25bp 인하 확률을 87%로, 10월 28~29일 추가 25bp 인하 확률을 54%로 각각 반영하고 있다.

주요 통화 동향

유로/달러(EUR/USD)는 0.15% 하락했다. 장 초반 우크라이나 휴전 기대감에 오르던 유로화는 달러 반등이 이어지자 상승폭을 반납했다. 유럽중앙은행(ECB) 통화스와프 시장은 9월 11일 회의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7%만 반영하고 있다.

달러/엔(USD/JPY)은 0.28% 내려 147.65엔 선으로 밀렸다. 10년 만기 일본국채(JGB) 수익률이 1.604%로 3주래 최고치를 기록하자, 금리차 축소로 엔화가 강세를 보였다. 다만 미국 관세 정책이 일본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엔화 상승폭을 제한했다.

금 선물 차트

귀금속 하락 압력

12월물 금 선물은 온스당 19.30달러(0.57%) 내린 2주 저점으로, 9월물 은 선물은 0.697달러(1.83%) 떨어졌다. 달러 강세와 안전자산 수요 둔화가 동반되면서 금·은 가격을 끌어내렸다. 또한 9월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낮아지면서 비이자자산인 귀금속의 투자 매력도 약화됐다.

한편 10년물 미 재무부채권(T-note) 금리가 하락한 점은 귀금속에 부분적 지지를 제공했다. ETF(상장지수펀드) 자금 유입도 이어져, 금 ETF 보유량은 지난주 2년래 최고, 은 ETF 보유량은 이번 주 3년래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알아두면 좋은 용어

  • 달러 인덱스(DXY): 달러 가치를 유로, 엔, 파운드 등 6개 주요 통화 바스켓과 비교해 산출한 지수다.
  • T-note: 미국 재무부가 발행하는 2~10년 만기 국채를 지칭한다.
  • CPI·PPI: 각각 소비자·생산자 물가를 측정하는 지표로,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을 가늠하는 핵심 데이터다.
  • bp(베이시스포인트): 1bp는 0.01%포인트다. 25bp는 0.25%포인트에 해당한다.

본 기사에서 언급된 종목·자산에 대해, 작성자인 리치 애스플런드(Rich Asplund)는 직접적·간접적 보유 내역이 없다고 밝혔다. 모든 정보는 투자자 참고용이며, Barchart Disclosure Policy를 따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