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카고선물거래소(CBOT) 대두 선물 가격이 주말을 앞둔 3일(현지시간) 금요일 장에서 부쉘당 4~6센트 하락하며 거래를 마쳤다. 이로써 가장 근월물인 11월물은 주간 단위로는 4 ¼센트 상승세를 유지했으나, 당일 가격 자체는 약세로 전환됐다.
2025년 10월 4일, 나스닥닷컴(Nasdaq.com)의 보도에 따르면 대두 현물 가격을 집계하는 cmdtyView 전국 평균 Cash Bean 지수는 전일보다 5 3/4센트 하락한 $9.40을 기록했다. 이는 현물·선물 가격 간 스프레드가 좁혀지고 있다는 신호로, 수확기 물량이 본격 출회되는 10월 초 특유의 계절성을 반영한다.
대두 부산물 시장에서는 콩가루(소이밀) 선물 가격이 60센트 하락에서 70센트 상승까지 혼조세를 보였으나, 주간으로는 12월물이 4달러 상승했다. 반면, 대두유(소이오일) 선물은 20~39포인트 하락하며 약세를 면치 못했고, 12월물 기준으로 일주일 동안 14포인트 내려섰다.
11월물 대두 평균 종가는 10월 들어 3거래일 평균 $10.18로 집계된다. 이 수치는 미국 연방 농작물 수확보험(crop insurance)에서 ‘수확기 가격(harvest price)’ 산출에 활용되는 핵심 데이터로, 보험금 지급액을 결정하는 가격 발견 과정의 일부다.
트레이더들은 이달 말 예정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 회담을 앞두고 “무역 긴장 완화 가능성”에 베팅했던 포지션을 일부 정리하며 차익을 실현한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 중서부 주요 산지인 네브래스카 남동부·아이오와·다코타 일부 지역에는 향후 1주일간 1~2인치(약 25~50㎜)의 강우가 예보돼 수확 작업에 일시적인 제동이 걸릴 전망이다. 그 밖의 대부분 지역은 ½인치 미만의 약한 비로 예상돼, 전체적인 수확 진척에는 큰 차질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연방정부 셧다운 여파로, 매주 월요일 발표되는 미 농무부(USDA) 작황진척도(Crop Progress) 보고서가 지연될 가능성이 높다. 보고서 공백은 시장 참여자들에게 정책·기상 리스크를 덧씌워 단기 변동성을 키울 수 있다.
개별 만기별 종가(10월 3일 기준)
• 2025년 11월물 대두: $10.18, ▼5 3/4센트
• 현물(근월) 가격: $9.40 1/1, ▼5 3/4센트
• 2026년 1월물 대두: $10.37, ▼4 3/4센트
• 2026년 3월물 대두: $10.52 1/4, ▼4센트
기사 작성자인 Austin Schroeder는 본 기사에서 언급된 어떠한 증권에도 직·간접적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았음을 밝혔다. 모든 정보는 참고용이며, Barchart Disclosure Policy에 따라 제공된다.
또한 본 기사에서 제시된 견해와 의견은 전적으로 저자의 것이며, 나스닥(Nasdaq, Inc.)의 공식 입장을 대변하지 않는다.
용어·배경 설명
cmdtyView Cash Bean 지수는 시장조사업체 Barchart가 집계하는 전국 평균 대두 현물 가격으로, 미국 내 각 지역 납입 가격(엘리베이터·가공업체 제출가)을 가중평균한 값이다.
Crop Insurance Harvest Price는 미 연방농업재보험공사(RMA)가 수확기 선물 10월물 평균치를 근거로 설정하는 가격이다. 실제 수확기 현물 가격보다 높을 경우 보험 가입 농가는 ‘수확기 가격 옵션’을 통해 손실을 일부 극복할 수 있다.
기자 해설·전망
통상 10월 초는 미국 대두 수확이 30~40%가량 진행되는 시점으로, 물량 부담에 따라 현물 가격이 약세를 보이기 쉽다. 그러나 올해는 라니냐1 우려에 따른 남미 파종 지연과 미국 내 가공 수요 회복이 맞물리며, 선물시장이 현물 대비 프리미엄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바이오디젤용 대두유 수요가 구조적으로 늘어나는 가운데, 트럼프·시진핑 회담이 재차 무역협상 국면을 진전시킬 경우 중국의 추가 구매 기대감이 형성될 수 있다.
단기적으로는 미 정부 셧다운에 따른 USDA 통계 지연이 정보 공백을 키우며 변동성을 확대할 여지가 있으므로, 시장 참여자들은 ▲주간 선물·옵션 포지션 관리 ▲브라질·아르헨티나 파종 진척 ▲국제 원유·환율 동향 등을 종합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
1) 라니냐: 적도 태평양 동부 해수 온도가 평년보다 낮아지는 기후 현상으로, 남미·북미 농업지대의 강수·온도 패턴에 영향을 끼쳐 농산물 작황을 변동시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