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와 전화 통화를 갖고 신규 대출·지원 프로그램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2025년 8월 7일, 로이터통신 보도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텔레그램 공식 계정을 통해 “전시 상황에서 국민을 지금 당장, 그리고 전후 재건 단계에서 모두 강화할 새로운 재정 지원 프로그램을 논의했다”면서 “정부가 필요한 조치를 신속히 이행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우리는 필요한 단계를 이미 밟기 시작했으며, 정부 부처가 세부 실행안 작업을 진행 중이다.” —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
게오르기에바 총재도 소셜미디어 X(옛 트위터)에 “매우 생산적인 통화였다”며 우크라이나의 경제 전망, 국민의 회복력, 그리고 개혁과 재정 지원의 중요성을 논의했다고 확인했다.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우크라이나의 현행 155억 달러(약 20조5,000억 원) 규모 IMF 프로그램은 2027년에 만료된다. 그러나 전쟁 장기화로 재정 수요가 확대됨에 따라, 키예프 당국은 기존 프로그램을 대체하거나 보완할 업데이트가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유리야 스비리덴코 신임 우크라이나 총리는 이번 주 초 별도로 게오르기에바 총재와 통화를 진행하며, 확대되는 예산 적자 보전을 위한 긴급 자금 조달 필요성을 설명했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2026 회계연도에만 약 190억 달러의 재정 부족이 발생할 수 있다고 추산한다.
앞서 스비리덴코 총리는 6일(현지시간) 경제안보국장 신임 인선을 단행했다. 이는 서방 채권단이 요구해 온 거버넌스 강화 조건을 충족하기 위한 행보로, 전시 재정 지원이 지속되려면 투명성과 제도 개혁이 필수라는 인식이 반영됐다.
분석가들은 러시아의 공세가 이어질 경우, 우크라이나의 재정 공백이 내년에 더 확대될 것으로 전망한다. 서방 채권단이 제시한 개혁 로드맵을 충실히 이행하지 못할 경우, 추가 자금 유입이 어려워질 위험도 지적된다.
IMF 대변인 줄리 코작은 지난달 기자회견에서 “IMF 실무진과 우크라이나 정부는 2026년 예산과 중기 재정 수요를 둘러싸고 협의를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IMF 실무단은 이달 중 키예프를 방문해 프로그램 수정안을 협의한다.
IMF가 무엇인가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국제통화기금)는 190여 개 회원국이 가입한 글로벌 금융기구다. 회원국이 외환 위기·재정 위기를 겪을 때 저리 대출과 정책 자문을 제공하며, 거시경제 안정을 도모한다. 구제금융 조건으로 재정 건전성, 거버넌스, 구조개혁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 ‘긴축 조치’와 연계돼 왔다.
우크라이나는 2022년 2월 러시아의 전면 침공 이후 대규모 전비(戰費)와 사회 인프라 손실을 떠안으며 국가 재정이 급격히 악화됐다. IMF와의 협력은 전시 재정 유지뿐 아니라, 전후 재건 단계에서 서방 자금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핵심 통로로 평가된다.
한편, 전후 재건 비용은 아직 공식 추계가 완성되지 않았으나, 주요 국제기구는 수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따라 IMF와의 장기 파트너십이 필수적이라는 목소리가 정부 내외에서 동시에 나오고 있다.
*젤렌스키의 직접 인용문은 텔레그램 공식 계정 메시지를 기반으로 하며, 일부 표현은 명확성을 위해 축약·의역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