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반도체 강세에 뉴욕증시 상승 마감

뉴욕증시가 1일(현지시간) 제약주와 반도체주의 동반 랠리에 힘입어 상승세로 거래를 마쳤다. S&P500 지수는 0.41% 올랐고,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0.18% 상승했으며, 나스닥100 지수도 0.28% 상승했다.

2025년 10월 1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12월물 E-미니 S&P500 선물은 0.39%, 같은 달물 E-미니 나스닥 선물은 0.26% 각각 올랐다.

S&P500 차트

주목

장 초반 미 연방정부 셧다운(정부 기관 폐쇄) 우려로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커지며 주요 지수는 하락세를 보였으나, 단기 청산(쇼트커버링)이 유입되고 제약주 급등이 시장 분위기를 반전시켰다. Pfizer가 일부 약값을 최대 85% 인하하는 대신 3년간 관세를 면제받기로 트럼프 행정부와 합의한 것이 기폭제가 됐다.

“이번 합의는 향후 Eli Lilly 등 다른 대형 제약사에도 국내 약가 인하 로드맵을 제공할 것”이라는 관측이 월가에서 제기됐다.

반도체 업종 역시 강세를 보였다. Nvidia·Micron Technology·Marvell Technology·Lam Research가 2% 넘게 상승했고, KLA와 ARM Holdings도 1% 이상 올랐다. 이러한 흐름이 대형 기술주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면서 지수 상승을 뒷받침했다.


거시경제 지표 혼조… 경기신호는 ‘엇갈림’

미 노동부가 발표한 8월 JOLTS 구인·이직 보고서에 따르면 구인 건수는 722만7천 건으로 시장 예상치(720만 건)를 상회했다. 반면 9월 MNI 시카고 PMI는 40.6으로 전월 대비 0.9포인트 하락하며 제조업 부진 우려를 키웠고, 컨퍼런스보드 9월 소비자신뢰지수도 94.2로 5개월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

주택시장에서는 7월 S&P 코어로직 케이스-실러 20대 도시 주택가격지수가 전년동기 대비 1.82% 상승해 예상치(1.55%)를 상회했으나, 2년 만에 가장 낮은 증가율이라는 점에서 냉각 조짐도 나타났다.

주목

연준 인사 발언 : 스태그플레이션 경고 vs. 완화적 톤

필립 제퍼슨 연준 부의장은 고용 둔화 위험과 인플레이션 상방 위험을 동시에 언급하며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를 제기했다. 반면 수전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는 “완만한 제약적 통화정책이 적절하며, 올해 추가 완화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 셧다운 임박… 시장 긴장 고조

마감 시점까지도 예산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10월 2일 0시(현지시간)부터 미 연방정부 셧다운이 현실화된다. 백악관은 셧다운 시 대다수 통계기관 업무 중단을 경고했으며, 4일 예정된 9월 고용보고서도 발표 지연 가능성이 커졌다.

섹터별 움직임

제약 : Pfizer(+6%), Merck(+6% 이상), Eli Lilly(+5% 이상), AbbVie·AstraZeneca·Amgen(+3% 이상), Bristol-Myers Squibb(+2% 이상)

반도체 : Nvidia·Micron·Marvell·Lam Research(+2% 이상), KLA·ARM(+1% 이상)

에너지 : WTI 유가가 1주 최저치로 밀리며 Baker Hughes(-3% 이상), Schlumberger(-2% 이상), Occidental·ConocoPhillips 등 다수 종목이 1% 넘게 하락

특이 종목

Semtech : 오펜하이머가 ‘시장수익률 상회’로 상향(+15%)

CoreWeave : 메타 플랫폼스와 최대 142억 달러 규모 컴퓨팅 파워 공급계약 체결(+11%)

Freeport-McMoRan : BoA ‘매수’ 상향(+5%)

Lamb Weston : 1분기 매출 16억6천만 달러(컨센서스 16억2천만 달러) 호조(+4%)

Firefly Aerospace : 로켓 1단 부스터 사고로 20% 이상 급락

Albemarle : 중국 CATL 광산 재가동 승인 소식에 리튬주 전반 약세 선두(-6% 이상)


채권시장 동향

10년물 미 국채수익률은 전일 대비 0.7bp 오른 4.146%를 기록했다. 장 초반 주식 약세에 안전자산 선호가 유입됐으나, 주가 반등으로 수급이 약화됐다. 독일 10년물 Bund 수익률은 1주 최저치(2.693%)에서 반등해 2.711%로 마감했고, 영국 10년물 Gilt 수익률은 4.699%로 소폭 내렸다.

미 국채 차트

알아두면 좋은 용어

JOLTS : 미국 노동부가 매달 발표하는 ‘구인·이직 보고서(Job Openings and Labor Turnover Survey)’로, 기업의 구인 건수와 노동 이동을 집계해 노동시장 활력을 가늠하는 지표다.

PMI(구매관리자지수) : 제조·서비스 기업의 구매관리자를 대상으로 신규주문, 생산, 재고 등을 조사해 경기 확장·수축 여부를 파악한다. 50을 넘으면 경기 확장, 50 밑이면 수축으로 해석한다.

셧다운 : 의회에서 예산안이나 임시지출안 통과에 실패할 경우, 연방정부 비필수 부문이 폐쇄돼 공공서비스와 통계 발표가 중단된다.


향후 일정 및 시장 전망

시장 참가자들은 이번 주 발표될 ADP 민간고용(2일)·ISM 제조업지수(2일)·주간 실업수당 청구(3일), 그리고 9월 비농업부문 고용(4일)에 주목하고 있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집계 기준 S&P500 기업 중 22%가 3분기 실적 가이던스를 상향하며 이익 개선 기대를 높이고 있다.

또한 시장은 10월 28~29일 FOMC에서 0.25%p 금리 인하 가능성을 97%로 반영하고 있다. 다만 제퍼슨 부의장이 암시한 ‘물가 상방·고용 하방’(스태그플레이션) 위험이 현실화될 경우, 연준의 통화정책 경로가 복잡해질 수 있다는 경계심도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