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설명: 버지니아주 알링턴의 로널드 레이건 워싱턴 내셔널 공항 관제탑에 “Will Vector for Food”라는 문구가 걸린 가운데 사우스웨스트항공 항공기가 이륙하는 장면(2025년 11월 10일). 사진=Andrew Caballero-Reynolds | AFP | Getty Images
대규모 항공편 차질이 수주째 미국 항공여행을 뒤흔드는 가운데, 항공사들은 연방정부 셧다운이 종료되더라도 결항·지연이 당분간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 같은 경고는 관제 인력난과 강제 감편 조치가 누적되면서 일정 재조정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는 판단에서 나왔다.
2025년 11월 11일, CNBC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상원은 전날 밤 미국 역사상 가장 긴 연방정부 셧다운을 끝낼 수 있는 예산안(임시 지출안)을 통과시켜 하원으로 넘겼다. 그러나 예산안이 하원을 통과해 정부가 재가동된다 하더라도, 항공사들의 운항 스케줄 정상화에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게 업계의 일치된 견해다.

자료 사진: 미국의 항공관제 인력 부족 이슈를 다룬 이미지(출처=CNBC)
관제 인력난과 ‘무급 근무’가 촉발한 연쇄 지연
셧다운 기간 동안 항공관제사들은 정상 급여 없이 필수 인력으로 근무해야 했고, 그 결과 수천 건의 항공편이 지연되거나 취소됐다. 정부 및 노조 관계자들에 따르면 관제사들은 이번 주 셧다운 기간 두 번째 정기 급여를 받지 못했으며, 일부는 투잡에 나설 정도로 생활고와 스트레스가 가중됐다.
항공 로비단체 에어라인스 포 아메리카(Airlines for America)는 델타항공, 유나이티드항공, 아메리칸항공, 사우스웨스트항공 등을 대표해 성명을 내고, 정부가 재개되더라도 즉각적인 정상화는 어렵다고 밝혔다.
“항공사의 감편 스케줄은 정부 재개 직후에도 곧바로 풀 캐퍼시티로 반등할 수 없다. 시간이 필요하며, 며칠 동안 잔여 영향이 남을 것이다. 다음 주 시작되는 추수감사절미국 연휴 여행 대목과 곧 다가올 성수기 배송 시즌을 고려하면, 더 이상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즉각 조치가 필요하다.”
이 단체에 따르면 셧다운이 시작된 10월 1일 이후 500만 명 이상의 여행객이 항공사 인력 이슈의 영향을 받았다. 일부 승객들은 버스·렌터카·프라이빗 제트 등 대체 수단으로 이동하기도 했다.
상원 통과…하지만 ‘재배치의 시간’은 불가피
상원이 예산안을 처리해 하원 표결을 앞두고 있지만, 항공사들은 이미 이뤄진 강제 감편과 항공기·승무원 포지셔닝 변경을 되돌리고 재배열하는 데 물리적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특히 지난주 단행된 필수 감편은 스케줄 네트워크 전반에 파급효과를 냈고, 이를 원상 복귀하기 위해선 편성, 조종사·승무원 근무표, 정비 창 등을 다시 맞춰야 한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금요일부터 관제 인력난을 이유로 미국 내 40개 혼잡 공항에서 상업 항공사들에게 국내선 4% 감편을 요구했다. 셧다운이 해소되지 않으면 더 큰 폭의 추가 감편이 뒤따를 수 있다는 경고도 함께 나왔다.
항공업계는 추수감사절Thanksgiving 기간에 역대 최다 수준의 여행 수요가 예상된다고 보고 있다. 휴일까지 불과 2주 남짓 남은 가운데, 지금의 병목을 풀지 못할 경우 연쇄적 일정 혼선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실시간 지표: 결항률은 하락했지만 여전히 높아
항공 데이터 업체 시리움(Cirium)에 따르면, 화요일 오전 기준 미국 출발 예정 22,811편 가운데 약 5%가 취소됐다. 이는 전날 월요일의 8.7%(2,239편)과 일요일의 10.2%(2,633편) 대비 낮아진 수치다. 그러나 시카고 오헤어 국제공항 등 주요 허브에서는 관제 인력난과 악천후가 겹치며 지연이 누적됐다.
동영상 참고: “왜 미국은 충분한 항공관제사가 없는가(15:57)”라는 주제의 영상도 소개됐다. 이는 셧다운 이전부터 누적된 관제 인력 부족 문제가 이번 사태에서 어떻게 증폭됐는지를 보여주는 맥락으로 제시된다.
과거와 현재: 반복되는 병목
이번 셧다운은 2018~2019년 사태를 연상시킨다. 당시에도 뉴욕 권역에서 관제 인력 부족이 항공 교통을 마비시키자, 셧다운은 수 시간 만에 종료된 바 있다. 현재도 같은 구조적 취약성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항공 관련 단체들은 셧다운의 조속한 종료와 함께, 교통부(DOT)의 예산 확충을 촉구하고 있다. 핵심은 항공교통관제(ATC) 현대화와 관제사 충원이다. 이들은 셧다운 이전부터 관제 인력이 이미 부족 상태였다고 지적한다.
“정부 셧다운은 현대화 작업을 방해했고, 우리가 쌓아온 강력한 추진력을 둔화시켰다.”
모던 스카이즈 코얼리션(Modern Skies Coalition)은 이같이 밝히며, 보잉과 GE 에어로스페이스 등 주요 항공·공항·우주항공 단체와 노동조합이 참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백악관 메시지와 노조의 반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월요일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에 올린 글에서 결근한 항공관제사의 급여를 삭감하겠다고 경고했다. 그는
“All Air Traffic Controllers must get back to work, NOW!!!”
라고 적고, 셧다운 기간 동안 결근하지 않은 관제사에게는 1만 달러 보너스를 권고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모던 스카이즈 코얼리션은
“항공의 안전과 보안을 지키는 일은 매일 어려운 과업이다. 연방 공무원에게 급여 없이 이를 강요하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 우리는 연방항공청(FAA),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 교통안전청(TSA), 세관국경보호청(CBP) 등 항공을 뒷받침하는 공공기관 종사자들에게 감사의 빚을 지고 있으며, 이 셧다운이 신속히 종료되어야 한다.”
고 밝혔다.
관련 이슈: 보잉, 아메리칸항공 인사, 프리미엄 경쟁
CNBC 항공 뉴스에 따르면, 보잉은 2023년 이후 처음으로 현금 유출을 멈추었지만 777X 지연과 관련해 49억 달러의 비용을 반영했다. 아메리칸항공은 경쟁사 대비 뒤처진 프리미엄(럭셔리) 수요 추격에 나서고 있으며, 수익성 격차 해소를 위해 업계 베테랑을 상업 부문 수장으로 영입했다. 이러한 흐름은 대목 시즌과 얽혀 항공사들의 노선·기재·서비스 전략에 직결된다.

관련 이미지 재게재: 관제 인력 문제는 셧다운 이전부터 누적된 구조적 과제였다
핵심 용어 설명
정부 셧다운은 의회가 예산안을 제때 통과시키지 못해 필수 기능을 제외한 연방정부 운영이 부분 정지되는 상황을 뜻한다. 항공 분야에서는 FAA, TSA 등 기관의 정상 운영에 제약이 생기며, 특히 항공관제와 보안 검색의 병목이 운항 차질로 이어질 소지가 크다.
항공관제사(ATC)는 항공기의 이착륙·항로 분리·교통 흐름을 관리하는 핵심 인력이다. 숙련도·집중력·스트레스 관리가 안전과 직결되며, 인력 부족 시에는 지연·결항·감편이 불가피해진다. 셧다운 기간 무급 근무는 사기 저하와 이직 위험을 높여 중장기 공급망에도 부담을 준다.
전문가 관점: 단기 정상화의 물리적 한계
이번 사태의 핵심은 수요는 강한데, 공급(관제·인력·운항 자원)이 경직되어 있다는 점이다. 강제 감편이 네트워크 전반을 흔들면, 항공사는 항공기 배치, 승무원 듀티 타임, 정비 일정, 슬롯과 연결편을 다층적으로 재구성해야 한다. 이는 정부 재개라는 단일 이벤트로 즉시 회복되기 어렵다. 따라서 잔여 영향은 며칠간 지속될 공산이 크며, 연휴 수요 파동은 그 여파를 증폭시킬 수 있다.
또한 관제 현대화와 충원은 장기 과제다. 장비·훈련·인력 파이프라인을 확대하려면 예산과 시간이 필요하며, 셧다운 같은 정책 리스크가 반복되면 채용·유지에 악영향을 준다. 이번에 제기된 DOT 추가 재원 요구와 모던 스카이즈 코얼리션의 입장은 단순한 예산 문제가 아니라 시스템 회복탄력성의 문제라는 점을 부각한다.
여행자를 위한 유의점
항공사와 공항의 실시간 공지를 수시로 확인하고, 가능하다면 유연한 일정과 충분한 환승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목 기간에는 공항 접근·보안 검색·수하물 처리에 추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며, 항공사는 동일 노선 내 대체편 재배치에 우선순위를 둘 가능성이 있다. 이는 셧다운 종료 직후에도 불가피한 후속 조정이 남아 있음을 전제로 한 대비책이다.
요약하면, 상원의 예산안 통과로 셧다운 종료의 길이 열렸지만, 관제 인력난과 강제 감편의 잔여 효과로 인해 항공편 정상화는 단번에 이루어지지 않을 전망이다. 통계상 결항률은 완화 조짐을 보이지만, 추수감사절 대목이라는 계절적 요인이 리스크를 높인다. 업계는 DOT 추가 재원·ATC 현대화·관제사 충원을 열쇠로 제시하며, 정부와 의회의 신속한 조치를 압박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