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선물시장이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12월 아라비카 커피(KCZ25)는 +11.50센트(+2.84%) 급등했고, 1월 ICE 로부스타 커피(RMF26)는 +23달러(+0.49%) 상승했다. 이날 아라비카는 1.5주 만의 고점을 기록했다.
2025년 11월 5일, 바차트(Barchart)의 보도에 따르면, 전 세계적 악천후가 커피 생산 차질 우려를 키우며 가격을 밀어 올리고 있다. 브라질 민간 기상업체 소마르 메테오롤로지아(Somar Meteorologia)는 브라질 최대 아라비카 생산지 미나스제라이스가 10월 31일로 끝난 주간에 강수량이 33.4mm에 그쳐 역사적 평균의 75% 수준이었다고 전했다. 그 전 주에는 정상 대비 1%에 불과한 비가 내렸다고 덧붙였다. 또한 태풍 ‘칼마에기(Kalmaegi)’가 목요일 또는 금요일 베트남 남부에 상륙할 것으로 예보되며, 베트남 커피 벨트의 로부스타 작황 피해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하루도 놓치지 마십시오: 원유부터 커피까지, 바차트의 최고 수준 상품 분석을 무료로 받아보라.”
라는 안내 문구도 함께 전해졌다.
ICE 인증 재고의 감소도 가격 상승에 힘을 보태고 있다. 미국의 브라질산 수입품에 대한 50% 관세로 인해 ICE 커피 재고가 급격히 축소된 점이 지지 요인으로 작용했다. 화요일 기준 ICE 모니터드 아라비카 재고는 43만 270개 포대로 1.75년 만의 최저를 찍었고, 오늘 ICE 로부스타 재고는 6,036로트로 3.5개월 만의 저점을 기록했다. 관세 부담으로 미국 바이어들이 브라질산 커피 신규 계약을 취소하면서 미국 내 공급이 긴축되는 모습이다. 특히 미국의 비가공(원두 로스팅 전) 커피의 약 3분의 1이 브라질에서 들어오는 점을 감안하면, 이 같은 관세는 수급 경색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기후 변수도 부각된다. 9월 16일 미 국립해양대기청(NOAA)은 10~12월 남반구 라니냐 발생 가능성을 71%로 상향했다. 이는 브라질의 과도한 건조를 유발해 2026/27 커피 작황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시나리오다. 브라질은 세계 최대의 아라비카 커피 생산국이다.
다만 아라비카 가격에는 정책 변수도 혼재한다. 지난주 월요일 브라질의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회담이 “놀랍도록 좋았다”고 평가하며, 며칠 내 미-브라질 통상 문제의 “결정적 해법”이 나올 수 있다고 밝혔다. 시장은 이를 근거로 미국의 브라질산 커피에 대한 50% 관세가 조만간 철회될 가능성을 점치고 있으며, 이 같은 관측은 아라비카 가격 상단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해석된다.
베트남발 공급 증가는 로부스타 가격에 하방 압력을 가하고 있다. 베트남 통계총국은 10월 13일 2025년 1~9월 커피 수출이 전년 대비 +10.9% 증가한 123만 톤(1.230 MMT)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2025/26 시즌 커피 생산은 전년 대비 +6% 늘어난 176만 톤(1.76 MMT), 즉 2,940만 포대로 4년래 최고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베트남커피코코아협회(Vicofa)는 10월 24일 기상 여건이 양호할 경우 2025/26년 생산량이 전년 대비 10% 늘 것이라고 밝혔다. 베트남은 세계 최대의 로부스타 생산국이다.
수출 증가는 가격에 약세 재료로 작용한다. 국제커피기구(ICO)는 10월 6일 현 마케팅 연도(10~8월) 기준 세계 커피 수출이 전년 대비 +0.2% 늘어난 1억 2,792만 포대라고 발표했다. 이는 수출과 공급이 대체로 충분함을 시사한다.
한편 브라질 작황 전망 하향은 가격의 하방을 방어하고 있다. 브라질 농작물 전망기관 코나브(Conab)는 9월 4일 브라질 2025년 아라비카 생산 추정치를 3,700만 포대에서 3,520만 포대(-4.9%)로 하향 조정했다. 전체 커피 생산 추정치도 5,570만 포대에서 5,520만 포대(-0.9%)로 낮췄다.
중장기 글로벌 수급에 관해 미 농무부(USDA) 해외농업국(FAS)은 6월 25일 2025/26 세계 커피 생산이 전년 대비 +2.5% 증가한 1억 7,868만 포대로 사상 최고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가운데 아라비카는 -1.7% 감소한 9,702만 2천 포대, 로부스타는 +7.9% 증가한 8,165만 8천 포대로 전망했다. 국가별로는 브라질 2025/26 생산 +0.5% → 6,500만 포대, 베트남 +6.9% → 3,100만 포대로 예상했다. 기말재고는 +4.9% 늘어난 2,281만 9천 포대(2024/25의 2,175만 2천 포대 대비)로 추정했다.
공시 바차트에 따르면, 기사 게재일 기준 필자 리치 애스플런드(Rich Asplund)는 본 문서에서 언급된 어떤 증권에도 직·간접적 보유 포지션이 없다고 밝혔다. 본 기사의 모든 정보와 데이터는 정보 제공 목적이다. 자세한 사항은 바차트의 공시 정책을 참조하라고 명시했다.
바차트 추가 기사
– 커피는 끓고 있다. 여기서 가격은 얼마나 더 오를까?
– 3분기 소프트 상품, 4분기와 그 이후의 전망은?
– 글로벌 공급 불안 속 ‘식은 커피’ 가격을 거래하는 한 가지 방법
– 스타벅스가 일자리 감축과 점포 폐쇄에 나설 때, SBUX 주식을 살까·팔까·보유할까?
본 기사에 담긴 견해와 의견은 필자의 것이며, 반드시 나스닥(Nasdaq), Inc.의 입장을 반영하지는 않는다.
용어 설명
– 아라비카(Arabica): 향과 산미가 뛰어나 프리미엄 시장 비중이 큰 품종이다. 병충해와 기상 스트레스에 상대적으로 약해 기후 변수에 민감하다.
– 로부스타(Robusta): 카페인 함량이 높고 생산성이 좋아 인스턴트·블렌드 수요가 많다. 베트남이 세계 최대 생산국이다.
– ICE 인증 재고: 인터컨티넨탈 익스체인지가 관리·검증하는 인도 가능 재고로, 단기 수급을 가늠하는 핵심 지표다.
– 선물 코드(KCZ25·RMF26): 종목(아라비카·로부스타), 만기월(Z=12월, F=1월), 만기연도를 결합한 식별자다.
시장 해설 및 전망
현재 가격은 기상 리스크(브라질 가뭄·베트남 태풍)와 정책 리스크(미-브라질 관세)가 단기 수급 타이트를 자극하는 구도다. 특히 브라질 미나스제라이스의 강수 부족은 개화·결실 단계에 변동성을 높여 2026/27 작황 불확실성을 키운다. 반면 베트남의 로부스타 공급 확장은 대체재 효과를 통해 커피 복합 가격의 상단을 완만하게 제한하는 완충재로 작용한다.
정책 측면에서는 미국의 50% 관세가 재고 고갈과 계약 취소를 통해 미국 내 현물 수급을 인위적으로 조인다. 만약 관세 완화·철회가 현실화될 경우, 단기적으로 아라비카 현물 및 근월 선물의 베이시스 완화가 나타날 수 있으나, 물류·환율·인도 물량 조정 속도로 인해 효과는 점진적일 가능성이 크다.
라니냐 71% 확률은 브라질 건조 심화를 통해 중기(2026/27) 수급 불확실성을 높이는 요인이다. 이에 따라 시장은 근월·원월의 기간 스프레드를 통해 기후 프리미엄을 가격에 반영할 공산이 크다. 반대로 베트남 생산 증가와 세계 수출 증가(+0.2%)는 글로벌 완충재고와 대체 공급선을 보강해 급등 리스크를 누그러뜨리는 요소다. 종합하면, 단기 상방 경사는 유지되되, 정책·기후 헤드라인에 민감한 높은 변동성 국면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