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아주 유권자들이 전기요금 급등에 반발하며 공화당 소속 유틸리티 규제위원 2명을 화요일 밤 특별선거에서 낙선시켰다다. 이는 AI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 확대로 인한 요금 인상과, 공화당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공격적인 원전 개발 드라이브에 대한 소비자 초기 경고음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2025년 11월 5일, 로이터 보도에 따르면, 이번 선거 결과는 조지아주 전력요금 문제를 둘러싼 민심의 변화를 분명히 드러냈다. AI 기반 데이터센터의 폭증하는 전력 수요가 전력 생산설비 신·증설과 송전망 업그레이드 등 수십억 달러 규모 인프라 투자를 촉발했고, 이 비용 부담이 요금 인상으로 이어졌다는 인식이 확산되었기 때문이다.
미국 전역에서 유틸리티 규제당국은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급증에 어떻게 대응할지 고민하고 있다. 전력 수요가 공급을 앞지른 일부 지역에서는 소비자 요금 인상이 이미 나타났다. 데이터센터는 대규모 서버를 24시간 가동하고 냉각해야 하므로, 일반 산업시설 대비 지속적·고밀도 전력을 요구한다. 특히 생성형 AI 학습·추론 인프라가 늘면서, 전력계획과 요금정책의 정치·경제적 파장이 확대되는 양상이다.
월가도 즉각 반응했다. 조지아주 최대 유틸리티 기업 서던 컴퍼니(Southern Co.)가 이번 특별선거 결과 직후 한 증권사로부터 투자등급 ‘매수(Buy)’ → ‘보유(Hold)’로 하향 평가를 받았다. 제퍼리스(Jefferies)는 이번 결과를 “공화당의 참패”로 규정하며, 서던 컴퍼니 자회사인 조지아 파워(Georgia Power)의 리스크 프로파일이 커졌고 앞으로 전기요금 인상도 한층 어려워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제퍼리스의 지적처럼, 조지아 파워의 여름철 전기요금은 이미 가파르다. 조지아 공공서비스위원회(PSC) 가정용 고객 조사에 따르면 월 1,000킬로와트시(kWh)를 사용하는 고객의 여름 전기요금은 2021년 여름 대비 41% 급증해, 월 190달러에 근접한 수준으로 올라섰다. 이는 규제환경의 향배가 기업 실적과 요금 책정에 직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번 특별선거에서 민주당의 앨리샤 존슨(Alicia Johnson)과 피터 허버드(Peter Hubbard)가 공화당 현직 위원들을 각각 60%를 웃도는 득표율로 손쉽게 제쳤다. 두 후보는 조지아주의 공공서비스위원회(PSC)에 합류하게 되며, 동 위원회는 주요 유틸리티를 규제하고 전기요금을 책정하는 기구다.
존슨과 허버드는 선거운동에서 공정한 전기요금과 재생에너지 확대를 전면에 내세웠다. 이들의 온라인 공약 자료에 따르면, 지난 2년간 전기요금이 여섯 차례 인상되었다. 유권자들은 이러한 누적 인상에 강한 피로감을 표출하며 정책 변화를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조지아주의 전기요금에는 보그틀(Vogtle) 원전 2기 건설에서 발생한 대규모 비용 초과가 반영돼 있다. 이 프로젝트는 약 7년 지연됐고 총비용 약 350억 달러로 불어났으며, 이는 조지아 규제당국 기준 당초 140억 달러였던 추정치를 두 배 이상 상회한 것이다. 이러한 초과 비용은 장기적으로 소비자 요금에 부담으로 전가됐다는 평가가 많다.
패티 듀랜드(Patty Durand) 비영리단체 조지아스 포어 어포더블 에너지(Georgians for Affordable Energy) 대표는 이번 선거를 “원자력에 대한 국민투표”라고 표현했다. 그녀는, 지난주 트럼프 행정부가 웨스팅하우스(Westinghouse)로부터 원자로를 800억 달러 규모로 구매하는 협정을 발표했음을 상기시켰다. 웨스팅하우스는 2017년 조지아 원전 프로젝트의 비용 초과로 결국 파산에 이른 바 있다.
한편, 2023년 1월 조지아 공공서비스위원회에 제출된 분석 보고서는, 보그틀 원전 2기의 60년 수명주기 동안 전기고객이 추가로 360억~430억 달러를 부담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대체 연료원인 가스 화력을 선택했을 경우와 비교한 비용 차이다.
“조지아의 전기 고객들은 이제 월간 자동차 할부금을 연상케 하는 전기요금을 받고 있다.” — 패티 듀랜드
용어 설명과 배경해설
• 특별선거(Special Election): 통상 선거주기 외에 공석 보충이나 특정 사안 표결을 위해 치르는 선거를 말한다. 이번 사례는 정기 선거가 아닌 화요일 밤에 실시된 보궐·임시 성격의 선거로 이해할 수 있다.
• 공공서비스위원회(PSC): 주(州) 단위의 유틸리티 규제기관으로, 전기·가스·송전망 등의 요금과 투자 계획을 심사·승인한다. 기업의 요금 인상 신청(레이트 케이스)을 공익 관점에서 판단한다.
• kWh(킬로와트시): 전력 사용량 단위로, 1킬로와트의 전력을 1시간 사용했을 때를 의미한다. 가정용 요금 고지서의 기본 산정 단위다.
• 데이터센터 전력수요: 서버·스토리지·냉각 설비의 상시 가동으로, 피크 대비가 아닌 연중 고정 부하 성격이 강하다. 특히 생성형 AI 도입 이후 단위 면적당 전력밀도가 높아졌다.
전문적 시사점분석
이번 선거 결과는 요금 인상 피로감이 강력한 정치적 동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규제당국의 구성 변화는 향후 레이트 케이스 심사에서 소비자 보호 기조가 강화될 가능성을 높이며, 이는 제퍼리스가 지적한 것처럼 조지아 파워와 모회사 서던 컴퍼니의 요금 인상 가시성과 현금흐름 전망에 부정적 변수가 될 수 있다. 동시에, 보그틀 원전 비용 초과와 웨스팅하우스 이슈가 재조명되면서,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하는 원전 확대 전략은 경제성·소비자 부담 프레임 속에서 보다 엄격한 검증에 직면할 여지가 있다. 더불어, AI 데이터센터 확대가 불가역적 흐름인 만큼, 수요관리·에너지효율·재생에너지·송배전망 현대화의 정책 포트폴리오 다변화가 불가피하다는 점도 부각된다.
다만, 본 보도에서 제시된 수치와 판단은 조지아 공공서비스위원회 자료 및 제퍼리스 분석, 그리고 당사자 인용으로 확인 가능한 범위에 한정된다. 향후 실제 요금경로와 투자결정은 규제 심사 결과, 전력수요 실현치, 자본비용 등에 따라 변동할 수 있다. 그럼에도 유권자 선택이 요금·에너지믹스 논쟁의 핵심 축으로 부상했다는 사실은, 조지아 전력시장뿐 아니라 미국 전역의 유틸리티 규제에 파급효과를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