잭 헨리 앤드 어소시에이츠, 3분기 순이익 증가…매출 7.3%↑·EPS 1.97달러

Jack Henry & Associates, Inc.(티커: JKHY)가 3분기 실적을 발표했으며, 순이익(bottom line)주당순이익(EPS)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다고 밝혔다다. 핵심 수치는 순이익 1억4,398만 달러EPS 1.97달러이며, 이는 각각 전년 동기의 1억1,919만 달러1.63달러를 상회한다.

2025년 11월 4일, RTTNews 보도에 따르면, 같은 기간 매출6억4,473만 달러로 집계돼 전년 동기 6억90만8천 달러 대비 7.3% 증가했다. 회사는 이번 공시에서 미국 일반회계기준(GAAP) 기준 실적을 제시했으며, 수익성과 외형 모두에서 개선 흐름을 보였다고 정리했다.

이 같은 지표는 이익 창출력의 강화매출 기반의 확대가 동시에 나타났음을 의미한다. 특히 EPS의 개선은 주주가치 관점에서 주당 이익 기여도가 상향됐다는 점을 보여주며, 매출의 1자리수 중후반 성장률은 핵심 사업의 수요와 반복(recurrence) 중심의 수익 구조가 견조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다만 본 보도는 공시 수치 전달에 초점을 두며, 구체적 원인 분석이나 세부 사업부문별 기여도는 제시되지 않았다.

주목

GAAP 기준 ‘한눈에 보는 실적’

Jack Henry & Associates, Inc. (GAAP) 요약공시 수치

Earnings(순이익): $143.98M vs. $119.19M (전년 동기)

EPS(주당순이익): $1.97 vs. $1.63 (전년 동기)

Revenue(매출): $644.73M vs. $600.98M (전년 동기)

상기 수치는 모두 GAAP 기준으로 보고됐다. 일반적으로 GAAP 기준 실적은 기업의 회계처리에서 표준화된 규정과 원칙을 따른 결과로, 비용 인식 시점과 감가·상각, 상각 대상 무형자산 처리 등에 있어 일관성을 제공한다. 이는 기간 간 비교 가능성기업 간 비교 가능성을 제고해 투자자 의사결정의 기초 자료로 널리 활용된다.


연간 가이던스(전망)

회사는 연간 EPS 가이던스$6.38 ~ $6.49로 제시했다. 또한 연간 매출 가이던스$2.491 ~ $2.514 Bln(Bln은 ‘십억(billion) 달러’ 단위)으로 제시됐다. 이는 회사가 연간 기준으로도 이익 체력(EPS)매출 볼륨 모두에서 일정 수준의 성장 경로를 전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주목

일반적으로 가이던스는 경영진이 현시점에서 가정하는 수요 환경, 비용 구조, 실행 계획 등을 반영해 산출하는 전망치다. 투자자와 애널리스트는 이 범위가 과거 추세 및 업계 평균과 어떻게 비교되는지를 검토해 실적 달성 가능성위·다운사이드 위험을 추정한다. 다만 본 기사에서는 회사가 공개한 수치만을 객관적으로 전달하며, 가이던스의 상향·하향 해석에 관한 평가는 포함하지 않는다.


핵심 지표 해설: EPS, 매출, 순이익

EPS(주당순이익): 회사가 벌어들인 이익을 발행주식 수로 나눈 값으로, 주주 1주가 창출한 이익을 의미한다. EPS가 1.63달러 → 1.97달러로 상승했다는 것은 동일한 기준에서 주당 이익 기여가 개선됐다는 뜻이다.

Revenue(매출): 제품·서비스 판매 등으로 인한 총수입을 뜻한다. 매출이 7.3% 증가한 것은 수요 탄탄함 또는 가격·제품 믹스 효과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반영된 결과일 수 있다. 본문에서는 회사가 공개한 총액만을 인용한다.

Earnings(순이익): 매출에서 각종 비용과 세금을 차감한 최종 이익으로, 기업의 수익성 지표다. 이번 분기 순이익이 전년 대비 증가했다는 점은 비용 효율화, 매출 성장, 기타 손익 요인 등 다면적 요소의 개선 가능성을 시사한다. 구체적 요인 분해 정보는 공시에 포함되지 않았다.


투자자 관점의 체크포인트

이번 공시는 전년 대비 성장을 분명히 보여준다. 분기 기준으로 매출 확대이익률 개선을 함의하는 EPS 증가가 동반됐고, 연간 가이던스 범위 또한 제시됐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향후 분기에서 가이던스 달성 여부, 매출 성장 지속성, 비용 구조 안정성을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GAAP 기준 수치가 유지되는지, 혹은 일회성 요인의 영향이 있는지에 대한 후속 공시를 통해 지속가능한 이익 체력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EPS 범위($6.38~$6.49)매출 범위($24.91억~$25.14억)는 기업이 연간 기준으로 기대하는 실적 밴드를 제시한 것으로, 분기별 실적이 이 범위의 중간값 또는 상단·하단에 수렴하는지 여부가 시장 평가의 관건이 될 수 있다. 본 기사에서는 해당 범위를 있는 그대로 전달하며, 상단·하단 달성 가능성에 대한 해석은 제공하지 않는다.


원문 고지

“The views and opinions expressed herein are the views and opinions of the author and do not necessarily reflect those of Nasdaq, Inc.”

위 고지는 본문에 담긴 견해·의견이 작성자의 것으로서, Nasdaq, Inc.의 공식 입장을 반드시 대변하지는 않는다는 점을 명시한다. 본 번역 기사 역시 원문의 사실관계를 충실히 반영하되, 불필요한 해석이나 추정을 배제하고 수치·용어 중심의 핵심 정보만을 전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