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중 급등락 종목: 파이저·팔란티어·코인베이스·스타 서지컬 등

뉴욕 증시가 한창 거래 중인 5일(현지시간), 파이저(Pfizer),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Palantir Technologies), 코인베이스(Coinbase), 스타 서지컬(Staar Surgical) 등 개별 종목들의 변동성이 크게 확대됐다.

2025년 8월 5일, CNBC 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이날 장중 최대 변동을 기록한 주요 종목은 ▲인수합병(M&A)실적 발표지침(가이던스) 상향·하향 등 촉발 요인을 공통적으로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스타 서지컬인공 수정체(Implantable Eye Lens) 제조사로, 스위스 소재 안과 전문 기업 알콘(Alcon)이 주당 28달러 현금으로 약 15억 달러(한화 약 2조 1000억 원)에 인수하기로 합의했다는 소식에 주가가 45% 폭등했다. 거래 종결은 6~12개월 내로 예상된다.


디지털오션(DigitalOcean)은 2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상회하면서 27% 뛰었다. 회사는 올해 매출·순이익 전망치도 상향했다.

코인베이스20억 달러 규모전환사채(콘버터블 시니어 본드)를 발행했다는 소식 이후 5% 이상 하락했다.

래티스 세미컨덕터(Lattice Semiconductor)는 2분기 매출 1억 2400만 달러로 컨센서스(1억 2370만 달러)를 소폭 상회하며 9.5% 상승했다.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0.24달러로 시장 예상치와 일치했다.

UFP 테크놀로지스는 의료용 부품 제조업체로, 2분기 조정 EPS 2.50달러(예상 2.25달러)를 발표해 11% 상승했으나, 매출(1억 5120만 달러)은 전망치(1억 5160만 달러)에 근접했을 뿐 소폭 미달했다.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분기 매출 10억 달러 돌파연간 매출 가이던스 상향 발표로 6.8% 상승했다. 회사는 올해 매출 전망을 41억 4,200만~41억 5,000만 달러로 조정했다(기존 38억 9,000만~39억 달러).


파이저는 2분기 실적 호조와 함께 연간 조정 EPS 가이던스를 2.90~3.10달러(종전 2.80~3.00달러)로 상향해 3.6% 상승했다.

얌 브랜즈(Yum Brands)는 KFC·타코벨·피자헛을 보유한 외식 대기업으로, 2분기 조정 EPS 1.44달러(예상 1.46달러)와 매출 19억 3000만 달러(예상 19억 4000만 달러)로 4% 하락했다.

이튼(Eaton)은 3분기 조정 EPS 전망을 3.01~3.07달러로 제시해(예상 3.09달러) 6% 하락했으나, 2분기 실적 자체는 예상치를 웃돌았다.

BP의 미국 상장 주식(ADR)은 분기 순이익이 컨센서스를 상회하며 3% 상승했다.

듀폰 드느무르(DuPont de Nemours)는 2분기 조정 EPS 1.12달러(예상 1.06달러), 매출 32억 6000만 달러(예상 32억 4000만 달러)로 3.3% 올랐다.

듀크 에너지(Duke Energy)는 2분기 조정 EPS 1.25달러(예상 1.18달러)로 1.1% 상승했으며, 연간 가이던스(6.17~6.42달러)를 유지했다.


레모네이드(Lemonade)는 연간 매출 전망을 7억 1000만~7억 1500만 달러(기존 6억 6100만~6억 6300만 달러)로 상향해 29% 급등했다.

힘스 앤 허스 헬스(Hims & Hers Health)는 2분기 매출 5억 4500만 달러(예상 5억 5200만 달러)와 3분기 EBITDA 전망 6000만~7000만 달러(예상 7700만 달러)로 8% 하락했다.

액손 엔터프라이즈(Axon Enterprise)는 2분기 조정 EPS 2.12달러(예상 1.45달러), 매출 6억 6900만 달러(예상 6억 4100만 달러)로 14% 급등했고, 연간 매출 전망을 26억 5000만~27억 3000만 달러로 확대했다.

신댁스 파마슈티컬스(Syndax Pharmaceuticals)는 2분기 매출이 컨센서스를 상회하고 손실 폭이 예상보다 작아 16% 이상 상승했다.

가트너(Gartner)는 기술 리서치·컨설팅 업체로, 연간 가이던스 하향(조정 EPS 최소 11.75달러, 매출 최소 64억 5500만 달러) 발표 후 30% 급락했다.


컨버터블 시니어 본드(Convertible Senior Bonds)는 일정 기간 후 발행사가 지정한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채권으로, 보통채에 비해 우선 변제권이 높다.
EBITDA(법인세·이자·감가상각비 차감 전 영업이익)는 기업의 현금창출력을 가늠하는 지표로 투자자들이 수익성을 비교할 때 사용한다.

전문가 시각에서 볼 때, 이날 장중 변동은 실적 시즌과 맞물려 기업별 펀더멘털 차별화가 뚜렷해졌음을 시사한다. 특히 M&A·가이던스가 투자자 심리에 미치는 영향이 확인됐으며, 전환사채 발행과 같은 자본조달 이슈는 단기적으로 주가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