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증시가 7일(현지시간) 장중 급격한 종목별 변동성을 보인 가운데, 특히 미디어·바이오·핀테크·반도체 업종에서 주목할 만한 가격 변동이 일어났다.
2025년 8월 7일, CNBC 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이날 S&P 500과 나스닥 지수가 혼조세를 보이는 사이, 개별 종목 단위에서 큰 폭의 상승·하락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했다.
본 기사는 오전 11시 50분(뉴욕 기준)을 기준으로 파악된 중간 장 마감(미드데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다음은 주요 기업별 동향이다.
💸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코드: WBD) — -6% 하락
HBO Max와 TNT Sports의 모회사인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는 2분기 잉여현금흐름(Free Cash Flow, FCF)이 7억 200만 달러로, 시장 컨센서스(8억 6,300만 달러) 대비 부진했다. 영업활동현금흐름(CFO) 역시 9억 8,300만 달러로 예상치(12억 9,000만 달러)를 밑돌면서 투자심리가 위축됐다.
🚀 앱러빈(AppLovin) — +9% 급등
모바일 마케팅 플랫폼 업체 앱러빈은 2분기 주당순이익(EPS) 2.26달러, 매출 12억 6,000만 달러를 기록해 팩트셋(FactSet) 전망치(EPS 1.96달러, 매출 12억 2,000만 달러)를 상회했다. 3분기 가이던스 역시 월가 전망치를 상단에서 초과 제시하며 주가가 강세를 보였다.
💾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스(AMD) — +5% 반등
하루 전 실적 실망으로 6% 넘게 밀렸던 AMD는 미국 행정부의 수입 반도체 관세 인상 발표 덕분에 투자심리가 급속히 회복됐다. 관세 인상은 자국 내 생산 업체에 상대적 수혜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매수세로 이어졌다.
📊 페이컴 소프트웨어(Paycom) — +7% 상승
2분기 조정 EPS 2.06달러, 매출 4억 8,360만 달러로 시장 전망치(EPS 1.78달러, 매출 4억 7,200만 달러)를 모두 웃돌았다. 연간 매출 가이던스 상향 발표가 긍정적 모멘텀으로 작용했다.
🩺 벡턴 디킨슨(Becton, Dickinson & Co.) — +8% 급등
의료기술 업체 벡턴 디킨슨은 2025 회계연도 조정 EPS 전망치를 기존 14.06~14.34달러에서 14.30~14.45달러로 올렸다. 시장은 가이던스 상향을 실적 개선 신호로 해석했다.
📱 듀오링고(Duolingo) — +26% 폭등
언어 학습 앱 듀오링고는 2분기 실적이 매출·이익 모두 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며 현재 분기 매출 전망(2억 5,700만~2억 6,100만 달러)도 LSEG 컨센서스(2억 5,300만 달러)를 상단에서 웃돌았다.
🛡️ 포티넷(Fortinet) — -25% 급락
사이버보안 기업 포티넷은 2분기 매출 16억 3,000만 달러로 예상치에 부합했으나 3분기 매출 가이던스를 시장 기대보다 낮게 제시했다. 이후 모건스탠리·파이퍼 샌들러·키뱅크가 잇달아 투자의견을 하향하면서 주가가 4분의 1 수준으로 급락했다.
💊 일라이 릴리(Eli Lilly) — -13% 하락
약가 상승과 파이프라인 기대에도 불구하고, 2분기 실적 호조 및 연간 가이던스 상향 발표 후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됐다. 비만 치료용 경구제 후보물질의 72주 임상시험에서 최고 용량군이 체중 12% 감소를 달성했지만 주가는 오히려 하락했다.
🏠 에어비앤비(Airbnb) — -8% 하락
2분기 실적은 예상치를 상회했으나, 3분기 매출 전망(40억 2,000만~41억 달러)이 시장 예상(40억 5,000만 달러)과 큰 차별성을 보이지 못했다는 평가가 주가에 부담으로 작용했다.
🧩 허브스팟(HubSpot) — -8% 하락
2분기 조정 EPS 2.19달러, 매출 7억 6,090만 달러로 모두 컨센서스를 상회했지만, 장중 차익 매물과 기술주 변동성 확대 속에 상승폭을 반납했다.
💄 E.l.f. 뷰티 — -13% 급락
중국산 화장품 관련 신규 관세 부담으로 30%의 이익 감소를 기록했다. 회사는 2026 회계연도 가이던스 제시를 유보하고 상반기 지침만 제시해 불확실성이 확대됐다.
☕ 더치브로스(Dutch Bros) — +20% 급등
2분기 동일점포 매출이 전년 대비 6.1% 증가했고, 연간 동일점포·조정 EBITDA 가이던스를 상향해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몰렸다.
💧 아리스 워터 솔루션즈(Aris Water Solutions) — +21% 급등
웨스턴 미드스트림 파트너스가 주식·현금 혼합 방식으로 약 15억 달러에 인수한다고 발표했다. 인수는 4분기 종료 전 마무리될 예정이며, 피인수 기업 주가는 M&A 프리미엄을 반영해 급등했다.
🏌️♂️ 톱골프 캘러웨이 브랜드(Topgolf Callaway Brands) — +9% 상승
2분기 조정 EPS 0.24달러, 매출 11억 1,000만 달러로 팩트셋 추정치(EPS 0.02달러, 매출 10억 9,000만 달러)를 크게 웃돌았다.
🔋 로저스 코퍼레이션(Rogers Corp) — +6% 상승
행동주의 투자자 스타보드 밸류(Starboard Value)가 9% 이상 지분을 보유했다고 공시하면서 경영 개선 기대가 주가 상승으로 이어졌다.
🦴 지머 바이오메트(Zimmer Biomet) — +7% 상승
2025년 조정 EPS 가이던스를 8.10~8.30달러로 제시, 이전 범위와 시장 예상치(7.97달러)를 모두 상회했다.
🚀 파이어플라이 애어로스페이스(Firefly Aerospace) — 나스닥 상장 데뷔
텍사스 기반 로켓 제조업체 파이어플라이는 티커 “FLY”로 나스닥에 첫 거래를 시작했다. 상장 전 IPO 공모가는 45달러로, 희망 범위 상단을 넘어섰다.
📚 추가 용어 설명
잉여현금흐름(Free Cash Flow)은 기업이 영업·투자 활동을 마친 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현금을 의미한다. 자사주 매입, 배당, 부채 상환 등 기업 가치 제고를 위한 여러 활동에 직접 활용된다.
컨센서스(Consensus)는 금융정보업체가 집계한 애널리스트들의 평균 전망치다. 실적이 컨센서스를 웃돌면 ‘어닝 서프라이즈’로, 밑돌면 ‘어닝 쇼크’로 해석된다.
가이던스(Guidance)는 기업이 투자자에게 제공하는 향후 실적 전망치를 뜻한다. 긍정적 가이던스는 주가 상승 요인, 부정적 가이던스는 하락 요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장중에는 동일 업종 내에서도 극단적 가격 괴리가 발생할 수 있다. 투자자는 실적 발표 시기와 가이던스 변동을 면밀히 점검해 변동성 관리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