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러 자녀 대학 저축을 덜한다”…개인 재무 전문가가 밝힌 529플랜 ‘언더펀딩’ 전략

미국 대학 학비는 끊임없이 상승하고 있다. 학자금 대출을 아직 갚고 있는 젊은 부모들은 자녀 교육비 마련에 대한 불안을 호소한다. 그 대안으로 세제 혜택을 주는 529플랜을 통해 교육자금을 모으는 사례가 늘고 있다.

2025년 8월 17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개인 재무 전문가이자 인스타그램 콘텐츠 크리에이터인 에린 슐츠(Eryn Schultz)는 의도적으로 자녀들의 529플랜을 ‘언더펀딩(under-funding)’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녀는 자신의 SNS 계정(@her.personal.finance)을 통해 “공립대학에 필요한 금액만 529플랜에 저축하고, 사립대 등록금에 해당하는 추가 자금은 넣지 않는다”라고 설명했다. 이는 자녀가 대학에 진학하지 않거나, 학비가 저렴한 학교를 선택해 529플랜 잔액이 남을 경우 발생할 10% 페널티(과징금)와 소득세 부담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전략이다.


529플랜이란 무엇인가?

529플랜은 주(州) 정부가 운영하는 대학 학자금 전용 저축제도다. 세후(After-tax) 달러로 납입하지만, 운용수익은 자격 요건을 충족하는 교육비(등록금·기숙사비·교재비 등)에 사용할 경우 전액 비과세 혜택을 받는다. 다만 교육 외 목적으로 인출하면 10%의 페널티와 소득세가 부과된다.

또한 자녀가 장학금을 받거나 커뮤니티 칼리지에서 2년을 보내고 편입하는 등 다양한 변수로 인해 529계좌에 잔액이 남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슐츠는 이러한 불확실성 때문에 ‘사립대 기준’까지 저축액을 끌어올리는 것은 위험하다고 본다.


“공립대 비용만 저축, 나머지는 별도 계좌로”

슐츠는 “공립대 수준의 학비만 529플랜에 넣고, 추가 자금은 일반 투자계좌고이율 예금으로 운용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이렇게 하면 자녀가 대학 대신 창업·주택 구입 등 다른 선택을 할 때도 자금 활용이 자유롭다. 일반 계좌는 매년 운용수익에 대해 자본이득세(capital gains tax)를 내지만, 인출 시점에 거액의 세금을 한꺼번에 낼 위험은 피할 수 있다.


unused 529 자금 활용법

바이든 행정부는 2024년 세제개편을 통해 529플랜→로스 IRA 전환을 허용했다. 최대 3만5,000달러 한도 내에서, 연간 로스 IRA 불입한도(현재 7,000달러)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이전이 가능하다. 슐츠는 “연방세는 면제되지만, 일부 주(州)는 과세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다른 방법으로는 529플랜 수혜자(beneficiary)다른 자녀·조카·손주로 변경하거나, 대학원 학비로 사용하는 방안도 있다. 즉, 계획만 잘 세우면 ‘유령 자금’으로 방치될 가능성은 낮다.


전문가가 짚어본 핵심 포인트

“자녀가 YouTube 크리에이터가 되겠다고 하면, 사립대 기준으로 과도하게 적립한 529플랜은 세금 폭탄이 될 수 있다.” – 에린 슐츠

① 유연성 – 529플랜 외 계좌에 자금을 두면 교육 외 목적에도 활용 가능하다.
② 세금 최적화 – 이익이 발생할 때마다 분산 과세함으로써 한꺼번에 세금을 내는 불리함을 줄인다.
③ 학자금 변수 대응 – 장학금·편입·진로 변경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잔액 리스크를 사전에 관리한다.


생소한 용어 설명

529플랜은 미국 내 각 주(州)가 운영하지만, 타주 거주자도 가입할 수 있는 교육비 전용 세제 혜택 계좌다. 로스 IRA(Roth Individual Retirement Account)는 은퇴용 개인 연금 계좌로, 세후 소득으로 납입하면 인출 시 점유한 이익이 전액 비과세다. 두 제도 모두 자산 증식과 세금 절감 효과를 동시에 노릴 수 있다는 점에서 미국 가계의 ‘필수 템’으로 꼽힌다.


결론 및 시사점

자녀가 아직 걸음마 단계라도 대학은 순식간에 다가온다. 슐츠처럼 조기 계획을 세우되, 유통기한이 없는 자금 구조를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사립대 등록금 전액을 529플랜에 넣기 전, 장학금·진학 여부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해야 한다.

한편, 해당 기사 말미에서는 “본문에 제시된 견해는 필진 개인의 의견이며, 나스닥(Nasdaq) 및 GOBankingRates의 공식 입장과는 무관하다”고 명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