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근로자의 실질임금이 6개월 연속 감소했다. 이는 물가 상승률을 반영한 임금의 구매력이 지속적으로 약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2025년 8월 5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6월 기준 일본의 실질임금은 전년 동월 대비 6개월째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실질임금(real wage)이란 명목임금에서 소비자물가지수(CPI) 등 물가 변동분을 차감해 산출한 지표다. 물가가 빠르게 오르면 명목임금이 늘어도 실질임금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지표는 가계의 실제 구매력과 생활수준을 가늠하는 핵심 척도로 활용된다.
◼ 6개월 연속 하락이 의미하는 것
일반적으로 실질임금이 장기적으로 감소하면 가계 소비 여력이 축소돼 내수가 위축될 수 있다. 일본처럼 수출보다 내수 비중이 큰 경제 구조에서는 소비 둔화가 성장률에 직접적인 하방 압력으로 작용한다. 또한 실질임금 하락은 젊은 세대의 저축·투자 여력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쳐 잠재 성장률을 떨어뜨릴 위험이 있다.
◼ 임금과 물가의 ‘엇박자’
최근 일본에서는 기업들이 정기·임시 보너스를 통해 명목임금을 인상해 왔지만, 동시에 에너지·식료품 가격이 큰 폭으로 오르면서 결과적으로 실질임금은 줄어드는 흐름이 이어졌다. 경제학적으로는 이를 ‘임금발 인플레이션(wage-push inflation)’이 아닌 ‘비용발 인플레이션(cost-push inflation)’ 국면으로 해석한다.
전문가들은 “임금과 물가 상승률의 시차(timing gap)를 줄이지 못하면 가계가 체감하는 경기 회복 속도는 더뎌질 것”이라고 지적한다. 즉, 명목임금의 상승 폭이 물가 상승 속도를 앞서야 실질 임금 개선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실질임금이 계속 마이너스를 기록하면 소비심리가 더욱 위축될 위험이 있다. 일본은행(BOJ)이 물가 안정과 임금 성장 간 균형을 어떻게 맞출지가 향후 정책의 핵심 관전 포인트가 될 것이다.”*중립적 관점에서 종합된 전문가 의견
◼ 정책적 시사점
일본 정부와 일본은행은 이미 완화적 금융정책과 동시에 노동시장 유연화, 임금협상 지원책 등을 병행하고 있다. 하지만 구조적 고령화, 노동생산성 정체 등의 오래된 문제가 겹치면서 실질임금 회복 속도는 제한적이라는 평가가 많다. 실질임금 감소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물가 안정뿐 아니라 생산성 향상과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이 병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또한 최근 엔화 약세는 수입물가를 끌어올려 물가 상승 압력을 추가로 높인다. 이는 실질임금의 추가 하락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다만 수출 기업 입장에서 엔화 약세는 해외 매출을 증가시키는 긍정적 측면도 있어, 정책 당국이 균형 잡힌 조정을 모색해야 하는 상황이다.
실질임금 감소세가 언제 반전될지는 아직 불투명하다. 향후 일본의 춘투(春闘·봄철 임금협상) 결과, 글로벌 에너지 가격, 엔화 환율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시장 참여자들은 올해 하반기부터 명목임금과 물가 상승률 간 격차가 줄어드는지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
◼ 알아두면 좋은 용어
• 명목임금(Nominal wage): 물가 변동을 고려하지 않은 임금 총액.
• 실질임금(Real wage): 명목임금에서 물가 상승분을 차감한 임금.
• CPI(Consumer Price Index): 소비자가 구매하는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 지표로, 물가상승률 측정에 사용된다.
결론적으로 일본의 실질임금 6개월 연속 하락은 노동시장과 거시경제 전반에 복합적인 도전을 제기하고 있다. 정책 당국이 물가와 임금의 균형을 맞춰야 한다는 과제가 한층 더 무거워졌다는 점에서, 향후 동향이 국내외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