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리노이 툴 웍스, 2분기 실적 호조에 2025년 조정 EPS 전망 상향

[미국 산업재 대형주 실적 업데이트] 미국 산업용 공구 및 장비 제조업체 Illinois Tool Works Inc.(이하 ITW)가 2025 회계연도 실적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하며 투자자들의 이목을 끌고 있다.

2025년 7월 30일, RTT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ITW는 2분기 실적 발표와 함께 조정 주당순이익(EPS) 전망치를 상향했다. 회사는 순이익이 소폭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매출과 주당순이익은 오히려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뉴욕 현지시간 프리마켓)에서 ITW 주가는 전일 대비 0.2% 하락한 258.99달러에 거래됐다. 실적 가이던스 상향이라는 호재에도 불구하고 시장 전반의 변동성과 기술주 강세에 따른 자금 이동이 단기 주가에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2025 회계연도 가이던스 상향
회사는 조정 EPS 전망치를 주당 10.35~10.55달러로 제시했다. 이는 종전 전망치(10.15~10.55달러) 대비 중앙값 기준 0.10달러, 약 1% 높아진 수치다. 월가 컨센서스(10.30달러)를 웃도는 수준으로,

“견조한 가격 전략과 비용 관리가 실적 개선을 견인할 것”

이라는 경영진 설명이 뒤따랐다.

매출 성장률 가이던스는 연간 1~3%, 유기적(organic) 매출 성장률은 0~2%로 제시됐다. 회사는 “현재 수요 수준을 기반으로 가격 인상 정책이 관세 비용 부담을 상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기적 성장률은 인수·합병(M&A)이나 환율 영향을 제외한 실질 성장률을 의미한다.

영업이익률(Operating Margin)은 26~27%로 제시됐다. 경영진은 기업 혁신(Enterprise Initiative) 프로그램이 최소 100bp(1%p) 이상의 수익성 개선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했다.


2분기 실적 세부 내용

2분기 순이익은 7억5,500만 달러로 전년동기(7억5,900만 달러) 대비 소폭 감소했다. 그러나 조정 EPS는 2.58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 2.54달러에서 증가했다. 매출은 40억5,300만 달러로 0.6% 늘어나 전년(40억2,700만 달러)을 소폭 상회했다.

월가 애널리스트들은 EPS 2.56달러, 매출 40억2,000만 달러를 예상했는데, 실제 실적은 두 지표 모두 컨센서스를 웃돌았다. 이는 제품 믹스 개선과 가격 인상 효과가 주효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Illinois Tool Works 공장 전경


주요 용어 해설
EPS: Earnings Per Share의 약자로, 순이익을 주식수로 나눈 ‘주당순이익’을 뜻한다.
Operating Margin: 매출 대비 영업이익의 비율로, 기업의 본업 효율성을 측정한다.
Pricing Actions: 원자재·관세 비용 상승분을 상쇄하기 위해 시행하는 가격 인상 정책.
Organic Growth: 환율·M&A를 제외한 순수 영업 성장률.


기자 해설 및 전망

ITW는 80여 개의 독립 사업 부문을 보유한 다각화 제조기업으로, 경기 변동에 상대적으로 방어적인 포트폴리오가 특징이다. 이번 실적은 미국·유럽 산업 수요 둔화 우려 속에서도 가격 인상 전략과 비용 효율화가 얼마나 강력한 완충 장치가 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다만, 달러 강세와 글로벌 제조업 경기 둔화 리스크는 하반기 실적 변동성을 키울 수 있다. 특히 반도체·자동차 등 일부 핵심 고객 산업의 재고 조정이 길어질 경우, 유기적 성장률이 가이던스 하단에 머무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시장 관점에서, ITW는 업계 평균을 상회하는 높은 영업이익률(약 26~27%)과 안정적인 잉여현금흐름(FCF)을 강점으로 보유하고 있다. 배당 성장주를 선호하는 장기 투자자라면 안정적 투자처가 될 수 있으나, 주가가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 25배 수준으로 역사적 밴드 상단에 근접해 있다는 점은 분할 매수 접근이 유리해 보인다.

“우리는 공급망 정상화와 가격 결정력 덕분에 2025년까지 견조한 마진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한다”

라고 씨티그룹의 한 연구원이 분석했다.

투자자들은 향후 분기별 주문(Booking) 지표와 북미·유럽 산업생산 지표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회사의 유기적 매출 성장률이 가이던스 범위를 상회할 가능성도 열려 있다.

© 2025 조선비즈 번역·편집.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