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 제3정당 ‘아메리카당’ 추진에 제동…비공식적 속도 조절

(로이터) — 테슬라(NASDAQ:TSLA)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가 제3정당 창당 계획에 조용히 ‘브레이크’를 밟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머스크는 측근들에게 자신이 운영 중인 여러 기업에 집중하고자 하며, 공화당 핵심 세력과의 대립을 원치 않는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2025년 8월 20일, WSJ 보도에 따르면 머스크는 이미 발표했던 ‘아메리카당(America Party)’ 창당 작업을 사실상 중단하고, 정치 자금·조직 기반을 재검토하고 있다. 이는 당초 선언적 구호였던 “두 배 이상 압도적 여론이 새 정당을 원한다면 반드시 만들어 주겠다”는 그의 X(구 트위터) 게시글과는 상반된 움직임이다.

“오늘, 아메리카당은 여러분의 자유를 되찾아 주기 위해 결성됐다.” — 일론 머스크, 2025년 7월 X 게시물 中


정치 후원 전략 변화

머스크는 2028년 미국 대선 출마 가능성이 거론되는 JD 밴스 부통령을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WSJ는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머스크가 “광범위한 자금력” 일부를 밴스 부통령 캠페인에 투입하는 시나리오를 만지작거리고 있다고 전했다.

현재로선 머스크 측이나 백악관 모두 해당 보도에 대해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로이터 통신 역시 WSJ의 단독 보도를 즉각적으로 확인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아메리카당, 왜 멈췄나?

머스크의 제3정당 카드는 2025년 7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자평한 ‘크고 아름다운(Big, Beautiful)’ 세제·지출 법안에 서명한 직후 등장했다. 그는 해당 법안에 강력히 반대하며 “현 체제에 실망한 유권자에게 새로운 선택지를 주겠다”고 선언했으나, 현실 정치의 복잡성과 공화당 내 영향력 있는 인사들과의 관계 악화 가능성이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전문가 해설
아메리카당(America Party)은 미국 건국 당시 사용되던 ‘아메리카’라는 상징성을 차용해 애국·자유·시장주의 가치를 내세우겠다는 취지다. 그러나 미국 정당법상 연방·주 단위 등록 절차, 선거 자금 규제, 각 주의 유효 서명 요건 등 현실적 장애물이 많아 단기간 내 전국 정당으로 자리 잡기가 쉽지 않다. 또한 머스크의 기업 활동—특히 정부 보조금 및 규제와 밀접하게 연관된 전기차·우주·인공지능 사업—이 공화당과 민주당 어느 쪽과도 이해 충돌을 야기할 수 있다는 점도 부담 요인으로 꼽힌다.


머스크·정치·시장 파장

테슬라 주가는 해당 보도 이후 장중 일시 변동을 나타냈으나, 공식 확인이 없다는 이유로 큰 방향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월가 애널리스트들은 “머스크의 정치적 발언보다 자율주행·사이버트럭 양산 일정이 더 큰 주가 변수”라고 진단한다. 다만 머스크가 전향적으로 공화당 인사 지원에 나선다면 정책 교착 국면에서 산업 규제·보조금 재편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 X: 2023년 10월 트위터가 사명을 변경한 이후의 공식 명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