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증시, 월가 부진·아시아 혼조세 속 ‘주춤’ 출발 전망

[RTT뉴스] 인도 주식시장은 27일(금) 월가의 부진한 흐름과 아시아 주요국 증시의 혼조세 영향으로 약보합 출발이 예상된다.

2025년 7월 21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전날 뉴욕증시는 크리스마스 연휴 이후 재개장했으나 뚜렷한 방향성을 보이지 못했고, 같은 날 아시아 시장도 국가별로 등락이 엇갈렸다. 이러한 대외 변수는 인도 투자심리를 위축시켜 센섹스(Sensex)와 니프티(Nifty) 지수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올해 말이 다가오면서 글로벌 투자자들의 시선은 2025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결정을 비롯해 도널드 트럼프 차기 행정부의 관세 정책 변화 가능성으로 쏠린다. 통화정책과 통상정책 모두 신흥국 자본 흐름과 무역 환경을 좌우할 수 있어 인도 증시 역시 민감하게 반응하는 모습이다.


국내 거시경제·금융지표

인도 재무부는 11월 월간 경제보고서를 통해 2024-25 회계연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약 6.5%로 제시했다. 이는 당초 6.5~7% 전망 범위의 하단에 근접하는 수치다.

인도중앙은행(RBI)이 별도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3-24 회계연도 은행권 순이익은 6년 연속 증가세를 기록했으며 부실자산비율(NPA)은 2.7%[주]13년 만에 최저치를 찍었다.

“부실채권 감소와 자본건전성 개선은 인도 금융시스템의 리스크 완화에 긍정적이다.” – RBI 보고서 중

[주] NPA(Non-Performing Asset)는 원리금 상환이 90일 이상 연체된 대출채권을 뜻하는 은행 건전성 지표다.


전일(26일) 인도 시장 동향

휴장 이후 처음으로 개장한 전날 센섹스와 니프티는 좁은 범위 내 등락을 반복하다 혼조 마감했다. 외환시장에서는 루피/달러 환율이 1달러당 85.27루피로 전장 대비 12파이사(paise) 약세를 보이며 역대 최저치를 경신했다.

FII(해외기관투자자)는 2,376.67크로어루피 순매도한 반면, 국내 기관투자자(DII)는 3,336.16크로어루피 순매수로 대응했다. ※ 1크로어루피=1,000만루피

FII와 DII는 인도 증시 일일 수급을 좌우하는 대표적 참여자 집단이다. FII는 외국계 헤지펀드·연기금 등을, DII는 인도 내 보험·연금·투신 등을 지칭한다.


글로벌 시장 환경

아시아 – 일본 증시는 엔화 추가 약세를 호재로 상승 반면, 그 외 지역은 등락이 엇갈렸다.
미국 –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강보합, S&P500·나스닥은 소폭 하락 마감했다. 연휴 기간이 짧았음에도 소매판매가 예상치를 웃돈 가운데, 주간 신규실업수당 청구건수는 감소했으나 계속 실업수당 청구는 3년 내 최고치로 급증했다.
유럽 – 주요국 증시는 박싱데이(Boxing Day) 휴일로 휴장했다.


용어·배경 설명

박싱데이(Boxing Day)는 크리스마스 다음 날(12월 26일)로, 영연방 국가를 중심으로 관공서·금융시장·기업들이 쉬는 공휴일이다. 이날 유럽 금융시장이 휴장하면 글로벌 거래량이 급감해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

또한 파이사(paise)는 루피의 1/100 소단위 통화이며, ‘크로어(crore)’는 1,000만을 의미하는 인도 고유의 숫자 단위다. 기사 내 수치를 이해할 때 단위 차이에 유의해야 한다.

달러 인덱스(DXY)는 미국 달러화의 상대적 가치를 6개 주요 통화 대비 평균하여 산출하는 지수로, 글로벌 자금 이동과 원자재 가격에 큰 영향을 준다.


전망 및 시사점

시장 참여자들은 2025년 초 연준(Fed)의 첫 번째 금리결정 회의와 트럼프 당선인의 관세 정책 윤곽을 핵심 변수로 지목한다. 두 이슈는 달러 강세 지속 여부신흥국 자본 유출입에 직결될 수 있어 루피 환율, 외국인 투자 흐름, 나아가 인도 증시 변동성 확대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편, 내부적으로는 은행권 실적 개선부실채권 축소가 긍정적 요인으로 평가된다. 다만 재무부 성장률 전망이 하단(6.5%)에 머무른 점은 투심에 부담을 줄 수 있어, 향후 재정지출 규모와 민간투자 회복세가 주요 관전 포인트가 될 전망이다.

종합적으로, 단기적으로는 글로벌 불확실성 속 박스권 등락이 예상되나, 국내 거시·금융지표 개선이 방어막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