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gredion Incorporated(인그레디온)이 3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전년 동기 대비 순이익과 주당순이익(EPS)이 감소했다고 밝혔다. 회사는 미국회계기준(GAAP) 기준으로 순이익 1억7,100만 달러와 EPS 2.61달러를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순이익 1억8,800만 달러, EPS 2.83달러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2025년 11월 4일, RTTNews 보도에 따르면, 인그레디온의 3분기 매출은 2.9% 감소한 18억1,600만 달러($1.816B)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매출은 18억7,000만 달러($1.870B)였다. 회사는 또한 조정 항목을 제외한 비(非)GAAP 기준으로는 조정 순이익 1억8,000만 달러, 조정 EPS 2.75달러를 보고했다.
이번 공시에는 간결한 실적 요약과 함께 연간 가이던스도 포함됐다. 인그레디온은 연간 EPS 가이던스를 11.10~11.30달러 범위로 제시했다Guidance. 이는 투자자들에게 남은 회계연도에 대한 수익성 기대 범위를 제공하는 지표다.
핵심 수치 요약
• 순이익(GAAP): $171M (전년 $188M)
• EPS(GAAP): $2.61 (전년 $2.83)
• 매출: $1.816B (전년 $1.870B, 전년 대비 -2.9%)
• 조정 순이익(비GAAP): $180M
• 조정 EPS(비GAAP): $2.75
• 연간 EPS 가이던스: $11.10~$11.30
숫자가 말해주는 것
이번 분기 실적은 매출과 순이익이 모두 전년 대비 감소했다는 점에서 보수적 톤을 시사한다. 특히 GAAP 기준 EPS가 2.83달러 → 2.61달러로 낮아졌다는 사실은, 주당 기준의 수익 창출력이 전년 동기 대비 둔화했음을 의미한다. 다만, 조정(비GAAP) 기준 EPS 2.75달러는 일회성 요인을 제외했을 때의 본질적 수익성(운영 성과)을 보여주는 지표로, 시장 참여자들이 분기 실적의 체질을 평가할 때 참고하는 수치다.
매출 2.9% 하락은 회사의 외형 성장에 역풍이 있었음을 시사한다. 기사 원문은 원인에 대해 별도의 서술을 하지 않았으므로, 감소 폭 자체와 비교 기준(전년 3분기 18억7,000만 달러 → 금년 3분기 18억1,600만 달러)만으로 해석해야 한다. 이러한 하락은 가격, 물량(volume), 제품 믹스, 혹은 환율 등의 영향을 통해 나타날 수 있으나, 해당 보도는 구체적 요인 분해를 제공하지 않았다.
가이던스의 의미
연간 EPS 가이던스 11.10~11.30달러는 회사가 회계연도 전반의 수익성 궤적을 어떻게 전망하는지 보여준다. 이 범위 제시는 투자자에게 예상 변동성의 폭과 성과 관리의 기준선을 제공한다. 보도는 가이던스 상향 또는 하향 여부를 언급하지 않았으며, 단지 최신 범위를 명시했다.
용어 설명 및 해석 가이드
• GAAP(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s)은 미국 일반회계기준으로, 표준화된 회계 규칙에 따라 산출된 공식 수치다. 투자자와 규제기관이 비교 가능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쓰인다.
• 비GAAP(조정) 지표는 일회성 비용이나 비현금성 항목 등, 경영진이 본질적 사업성과를 왜곡할 수 있다고 판단하는 요소를 제외해 계산한 수치다. 다만 회사별로 조정 항목의 정의가 다를 수 있어, 동일 업종 간 비교 시 주의가 필요하다.
• EPS(Earnings Per Share, 주당순이익)는 순이익을 발행주식수로 나눈 값으로, 한 주가 창출한 이익을 의미한다. GAAP EPS와 조정 EPS의 차이는 조정 항목 반영 여부에 따른 것이다.
위 개념을 염두에 두면, 인그레디온의 실적은 공식 기준(GAAP)에서는 전년 대비 둔화됐고, 조정 기준에서는 근본적 영업성과의 단면을 보완적으로 제시했다고 요약할 수 있다. 또한 매출 감소는 다소의 수요·가격 혹은 제품믹스 변화 가능성을 떠올리게 하지만, 보도 범위 안에서 확인 가능한 사실은 감소율과 비교 기준뿐이다.
투자자 관점의 체크포인트
• 전년 대비(Y/Y) 기준으로는 매출·이익 모두 감소했다는 점을 우선 확인할 필요가 있다.
• 조정 EPS 2.75달러는 일회성 요인을 제거한 경상 수익성의 힌트를 제공한다.
• 연간 EPS 가이던스 11.10~11.30달러는 연말까지의 실적 범위를 추정하는 데 핵심 기준이 된다.
• 다만, 본 보도는 지역별/제품별 실적, 가격·물량 분해, 비용 구조 변화 등 세부 내역을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추가 공시 자료에서 상세 항목을 확인하는 절차가 통상적으로 뒤따른다.
공식 요약(원문 표현 반영)
Ingredion Incorporated earnings at a glance (GAAP):
– Earnings: $171 Mln. vs. $188 Mln. last year.
– EPS: $2.61 vs. $2.83 last year.
– Revenue: $1.816 Bln vs. $1.870 Bln last year.– Guidance: Full year EPS guidance: $11.10 – 11.30
편집 후 주석
“본 기사에 포함된 견해와 의견은 작성자의 것으로서, 반드시 Nasdaq, Inc.의 입장을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The views and opinions expressed herein are the views and opinions of the author and do not necessarily reflect those of Nasdaq, Inc.).”
본 기사는 RTTNews의 원문 보도를 한국 독자에게 맞게 정확성과 가독성을 중시해 번역·정리한 것이다. 수치와 표현은 원문 정보에 기반해 객관적으로 재현됐으며, 불필요한 추정이나 가정은 배제했다.
종합 평가
인그레디온의 3분기 성적표는 매출 감소와 GAAP 기준 이익 둔화라는 두 가지 메시지를 담고 있다. 동시에 조정 EPS와 연간 EPS 가이던스를 통해 핵심 수익성 궤적과 연간 성과 가시성을 제시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전년 대비 역기저의 강도와 연간 가이던스 범위 내 달성 여부를 함께 점검할 필요가 있다. 현 시점에서 기사 원문이 제공하는 사실관계는 숫자 중심의 요약이며, 그 자체로도 분기 실적의 핵심 윤곽—매출 2.9% 감소, GAAP EPS 2.61달러, 조정 EPS 2.75달러, 연간 EPS 11.10~11.30달러 가이던스—을 충분히 드러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