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 경제가 2분기에 예상 밖 마이너스 0.1%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전 분기 대비 위축됐다. 이는 시장 기대를 저버린 결과로, 정부가 제시한 향후 성장 목표 달성에 빨간불이 켜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2025년 7월 30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국가통계국(ISTAT)이 발표한 잠정치에서 이같은 역성장 수치가 확인됐다.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으나, 전 분기 대비 음(-)의 지표가 포착된 것만으로 시장은 이미 적잖은 충격을 받고 있다.
경제장관 잔카를로 조르제티(Giancarlo Giorgetti)는
“미국발 관세 조치가 이탈리아뿐 아니라 유럽 전반의 성장을 억제할 것”
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같은 날 열린 브리핑에서 정부가 설정한 2025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목표치 0.6%는 여전히 달성 가능하다고 주장했지만, *예상보다 부진한 2분기 실적이 불확실성을 키웠다는 사실은 부인하지 않았다.
조르제티 장관은 특히 EU‧미국 간 관세 합의가 내년 이탈리아 GDP에 최대 0.5%p의 누적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는 관세 인상으로 유럽산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고, 그 결과 수출 감소가 불가피하다는 논리에 기반한다. 그는 “제조업 및 농산품 수출이 집중 타격을 받을 것”이라며, 추가 재정 대응 필요성을 시사했다.
용어 해설: ‘관세(tariff)’란?
관세는 한 국가가 외국에서 수입되는 상품에 부과하는 세금으로, 자국 산업 보호와 재정 수입 확보를 동시에 겨냥한다. 그러나 보복 관세가 반복되면 세계 교역량 둔화, 공급망 불안, 소비자 가격 상승 등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전문가 시각 및 분석
이번 0.1% 역성장은 미약해 보일 수도 있으나, 이는 유로존 내 고금리, 제조업 둔화, 지정학적 리스크가 한꺼번에 겹친 결과로 해석된다. 이탈리아 경제는 국가 부채 비율이 GDP 대비 약 140%를 상회하는 구조적 한계도 안고 있다. 관세 충격이 현실화되면 순수출 기여도가 추가로 악화될 수 있어, 향후 재정·통화정책 공조가 절실하다는 전망이다.
또한 협소한 내수 시장과 낮은 생산성 문제를 안고 있는 이탈리아는 외부 수요 의존도가 크다. 관세로 수출 채널이 막힐 경우, 고용 시장과 중소기업이 직접적인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정부가 제시한 0.6% 성장 목표는 ‘달성 가능’이라는 공식 입장과 달리, 시장에서는 회의적 시각이 우세하다.
마지막으로, 관세 문제는 유럽연합(EU)이 미국과 긴밀한 재협상을 통해 완화할 수 있다는 시나리오도 있다. 그러나 EU 내부 이해관계가 복잡하고, 미국도 자국 산업 보호 기조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단기간 내 해결은 쉽지 않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