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바 총리 체제 흔들리나… 일본, ‘스냅 선거’ 가능성 고조

일본 정치권에서 조기 총선(스냅 선거) 가능성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경제 조사 기관 캐피털 이코노믹스이시바 게이치로 총리의 리더십에 대한 의문이 커지면서 정치적 불안정성이 확대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2025년 7월 21일, 인베스팅닷컴 보도에 따르면, 최근 치러진 참의원(상원) 선거에서 자민·공명 연립여당(LDP/공명당)은 전체 124석 가운데 겨우 47석을 확보하는 데 그쳤다. 이에 따라 연립여당의 상원 의석수는 122석으로 줄어 의회 과반을 확보하지 못하게 됐다.

이로써 연립여당은 1990년대 중반 이후 처음으로 상·하원 모두에서 과반을 잃었다. 특히 지난해 10월 중의원(하원)에서 다수 의석을 내준 데 이어 상원에서도 과반을 상실하면서, 집권 기반 자체가 흔들리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스냅 선거란 정해진 임기 전에 총리가 전격적으로 하원을 해산하고 조기 총선을 실시하는 제도를 말한다. 일본 헌법상 총리는 하원 장악력을 상실했다고 판단될 경우 언제든 해산권을 행사할 수 있다. 여당·야당을 불문하고 선거 준비 기간이 짧아 ‘기습 선거’로도 불리며, 정치 지형을 단기간에 뒤흔들 수 있는 변수로 꼽힌다.

선거 패배 여파로 이시바 내각에 대한 부정 평가는 사상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여론조사에서 자민당 지지율은 2012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으며, 이는 과거 총리가 사임했던 수준과 유사하다.

캐피털 이코노믹스는 “현재로서는 이시바 총리가 ‘자진 사퇴는 없다’고 못 박았지만, 향후 수개월 내 사임 후 후임 총리가 조기 총선을 선언할 위험이 분명하다”고 지적했다.

일본 국회 전경

이번 선거 결과는 재정 정책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민주당·유신회 등 주요 야당은 소비세 인하를 포함한 세금 감면을 공약으로 내걸고 있다.

반면 자민당은 세수 감소가 사회보장비 증가분을 충당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세율 인하에 반대하고 있다. 여당은 “소비세 인하는 시행까지 최소 1년이 걸려, 생계비 압박을 해결하기엔 효율적이지 않다”고 주장한다.

이에 따라 정부는 기존의 현금 지급에너지 보조금 체계를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

정치 불확실성은 금융시장에도 파장을 일으켰다. 최근 장기 일본국채(JGB) 금리는 상승세를 보이며 5월 말 최고치에 근접했다.

“많은 시장 참여자들이 금리 급등을 확장적 재정 정책 우려로 해석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하지만 일본은행(BOJ)이 매입 규모를 줄이면서 민간이 더 높은 금리에 국채를 보유해야 하는 측면도 작용하고 있다.”

다만 일본의 재정 건전성은 중기적으로 안정적이라는 평가도 병존한다. 캐피털 이코노믹스는 “명목 GDP의 견조한 증가30년 만에 가장 낮은 재정적자 덕분에 국가채무비율은 앞으로 몇 년간 하락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채 금리 전망과 관련해, 보고서는 2026년 말까지 약 2%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재정 리스크보다는 통화정책 정상화 기대가 반영된 결과라는 설명이다.

일본국채 금리 그래프

기자 시각 — 이번 참의원 선거 패배로 여당은 ‘상·하원 동시 과반’이라는 안정 장치를 잃었다. 이시바 총리가 단기간에 국정 지지율을 회복하지 못할 경우, 차기 총리 선출 및 스냅 선거 시나리오는 더욱 현실화될 가능성이 크다. 여당 내 친(親)이시바·비(非)이시바 계파 갈등, 야당의 세제 개편 공세, BOJ의 완화적 통화정책 조정 등이 맞물리면서 남은 2025년 일본 금융시장은 한층 요동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