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 노동력 흔들리면 캘리포니아 핵심 산업 ‘농업·건설·서비스’ 직격탄

캘리포니아 경제와 이민자 노동력

캘리포니아 경제의 버팀목인 이민자 노동력이 트럼프 행정부의 강화된 이민 단속 정책으로 벼랑 끝에 몰리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농업·건설·환대(서비스) 산업 등 주(州) 경제의 핵심 부문이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2025년 9월 1일, CNBC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캘리포니아는 약 4조 달러 규모의 국내총생산(GDP)으로 세계 4위 경제권을 유지하고 있지만, 전체 이민자 1,060만 명 가운데 5분의 1이 미등록(undocumented) 신분이다. ¹ 베이 에어리어 경제연구소(Bay Area Economic Institute)와 캘리포니아대(머세드) 공동 보고서(6월)는 대규모 추방·임시보호지위(TPS) 폐지·국경 통제 강화가 동시에 이뤄질 경우 2780억 달러의 주(州) GDP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주목

미 농장과 이민자 노동자

아비 레이즈(Abby Raisz) 베이 에어리어 경제연구소 연구국장은 “저출산과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가운데, 이민자들은 경제를 떠받치는 필수 노동력”이라며 “이들이 없으면 많은 사업체가 문을 닫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농업 — ‘밭이 멈추면 식탁도 멈춘다’

연 490억 달러 규모에 달하는 캘리포니아 농업은 이민 노동자 의존도가 가장 높은 부문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농업 종사자 63%가 이민자, 24%가 미등록 신분이다. 조 가르시아(Joe Garcia) 캘리포니아농장노동자협회 회장은 “

주목

‘상추·딸기·와인·과일주스 등 식탁에 오르는 모든 작물을 이민 노동자가 연중 수확·포장한다’

”며 “자동화는 대안이 아니며, 미국 태생 노동자는 낮은 임금과 고된 환경 때문에 이런 일을 기피한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미고용·비교육·무직(NEET)’ 상태의 청년 10% 이상을 국내 노동시장에 투입할 수 있다”는 논리로 이민 단속을 정당화하고 있다. 백악관 대변인 애비게일 잭슨(Abigail Jackson)은 “국내에 충분한 ‘미개척 인력’이 있다”며 “법 집행과 일자리 창출을 병행하겠다”고 밝혔다.

도심 서비스업 — ‘또 다른 팬데믹’ 체감

로스앤젤레스(LA) 다운타운은 6월 이후 이민세관단속국(ICE) 대규모 단속과 주방위군 투입, 시위로 안전 우려가 커졌다. 독립 환대산업 연합(Independent Hospitality Coalition)은 “900여 개 회원 업소가 이미 ‘지역화된 팬데믹’에 직면했다”고 토로했다.

LA 레스토랑 ‘카멜리아(Camelia)’를 포함해 3곳을 운영하는 코트니 카플란(Courtney Kaplan) 대표는 6월 매출이 70% 급감했다고 밝혔다. 오픈테이블(OpenTable) 데이터도 6월 7~21일 LA 전역 예약이 전년 대비 3% 감소했다고 집계했다. 카플란 대표는 “‘무역·이민 정책 불확실성’이 최대 과제”라며 “언제 상황이 악화될지 몰라 직원들도 불안해한다”고 말했다.

건설 — 숙련 인력 공백 심화

캘리포니아 건설업은 이미 만성적 인력 부족을 겪고 있다. 총 노동자의 60% 이상이 이민자, 25%가 미등록이기 때문이다. 아니르반 바수(Anirban Basu) 전미건설업협회(ABC)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문화적·교육적 이유로 미국 내 숙련 기술 인력이 충분히 양성되지 않고 있다”며 “그 공백을 ‘이민’으로 메워왔다”고 진단했다.

바수 박사는 건설업계가 “트럼프 정책이 국내 제조업 투자를 촉진할 것”이라는 낙관론과 “비용·불확실성만 키웠다”는 비관론으로 양분돼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주택난·인프라 노후화가 심각한 캘리포니아 특성상, 경기와 무관하게 숙련 인력 수요는 지속된다고 강조했다.

캘리포니아 건설현장

용어 풀이 — 임시보호지위(TPS)란?

TPS(Temporary Protected Status)는 내전·자연재해 등으로 본국 송환이 위험한 외국인에게 임시 체류를 허가하는 미국 연방제도다. 폐지될 경우 수만 명이 한꺼번에 불법체류자로 전환돼 노동시장과 지역사회 충격이 커진다.


전문가 시각 – ‘정책·인구·경제’ 삼중고

본 기자는 캘리포니아 경제의 구조적 취약성을 세 가지 축으로 진단한다. 첫째, 정책 불확실성이 민간 투자와 고용계획을 어렵게 만든다. 둘째, 인구 구조는 이미 고령화 국면에 접어들었는데, 이를 상쇄할 신생아·청년 인구가 부족하다. 셋째, 세계 4위 규모의 거대 경제라 해도 농업·건설·서비스 같은 노동집약 산업은 고임금 IT·엔터테인먼트와 달리 생산성 향상이 더딘 탓에 이민 노동력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결국 ‘대규모 추방’ 시나리오가 현실화되면, 단순한 인건비 상승을 넘어 물류·식료품·주택 가격까지 연쇄적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이는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결정과 소비자 물가(CPI)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캘리포니아만의 문제가 아니다.


향후 관전 포인트

연방·주 정부 협상 — 대규모 추방 여부와 TPS 연장 결정을 둘러싼 정치적 줄다리기
노동시장 지표 — 실업률·참여율이 실제로 개선될지, 인력 공백으로 임금 상승과 물가 부담이 심화될지
기업 전략 — 자동화·로봇 공정 도입이 현실적 대안이 될 수 있을지 여부
사회 통합 — 지역사회 긴장 완화와 안전 이슈 대응 방안

이 모든 변수는 2026년 미국 중간선거 및 차기 대선 구도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캘리포니아 사례는 미국 경제·정치 지형의 ‘리트머스 시험지’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