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에스뱅코프, 배당·자사주·부채감축으로 주주수익률 85% 달성…메브 페이버 전략 상위권 평가

■ ‘주주 수익률’ 전략으로 본 유에스뱅코프(티커: USB)의 투자 매력

2025년 9월 1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투자 리서치 업체 발리디아(Validea)가 공개한 ‘구루(투자 대가) 펀더멘털 보고서’에서 유에스뱅코프메브 페이버(Meb Faber)‘Shareholder Yield Investor’ 모델 기준 85%의 점수를 획득하며 상위권에 올랐다.

Shareholder Yield란 기업이 배당‧자사주 매입‧부채 감축을 통해 주주에게 실제 현금을 얼마나 환원했는지를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지표다.


● 보고서 핵심 요약
발리디아는 22개의 구루 전략을 추적하며 개별 종목을 평가한다. 이번 보고서에서 유에스뱅코프는 ‘대형 가치주’ 섹터 중에서도 배당 성향·자사주 매입·재무 건전성 부문이 두드러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점수 80% 이상은 ‘관심’, 90% 이상은 ‘강력 관심’ 단계로 분류된다.

주목

● 세부 평가 항목

발리디아는 다음 여섯 가지 항목으로 유에스뱅코프를 분석했다:

① 투자 유니버스(시가총액·유동성): PASS
② 순현금 배당수익률(Net Payout Yield): PASS
③ 품질 및 부채 비율: PASS
④ 밸류에이션(주가수익·주가순자산·현금흐름 등): PASS
⑤ 상대 모멘텀(Relative Strength): PASS
⑥ 통합 주주수익률(배당+자사주+부채감축): FAIL

다섯 개 항목에서 연달아 PASS를 받았으나, ‘통합 주주수익률’ 계산 단계에서는 최근 자사주 매입 속도 둔화로 인해 탐색 기준치를 소폭 밑돌아 FAIL 판정을 받았다. 그럼에도 누적 점수는 85%로 전략의 ‘관심’ 영역에 해당한다.

주목

● 메브 페이버 전략이란?

메브 페이버는 자산운용사 캠브리아 인베스트먼트(Cambria Investments)의 창립자로, 저서 『Shareholder Yield』를 통해 ‘배당+자사주+부채 감축’ 3대 현금흐름을 결합한 주주수익률(Shareholder Yield) 개념을 제시했다. 해당 전략은 장기적으로 시장을 초과수익 했다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ETF로도 출시돼 있다.

특히 대형 금융주에 적용할 경우, 단순 배당수익률보다 실질 현금환원 규모를 더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강조된다.

● ‘머니센터 뱅크’란?
Money Center Bank는 대규모 총자산과 국제 금융 네트워크를 보유해 기업·투자은행 업무를 동시에 수행하는 은행을 말한다. 유에스뱅코프는 미국 내에서는 ‘리저널 뱅크’ 이미지가 강하지만, 총자산 6,000억 달러 수준으로 중대형 머니센터 범주에 안착해 있다는 평가다.


● 투자 관점에서 본 시사점

1) 순배당수익률과 자사주 매입이 결합돼 연간 현금 환원율 9% 안팎으로 추산된다.
2) 최근 12개월 기준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4% 수준으로 동종업계 평균을 상회한다.
3) 다만, 2024년 하반기 이후 자사주 매입 속도가 둔화돼 ‘통합 주주수익률’ 항목에서 감점을 받았으므로 향후 자사주 프로그램 재개 여부가 변수다.

전문가들은 금리 피크아웃(peak-out) 국면에서 대형 은행주의 이익 모멘텀이 둔화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배당 성장성‧부채 관리를 동시에 점검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 용어 해설

Shareholder Yield: 배당수익률, 자사주 매입 비율, 순부채 감소율을 합산해 산출하는 지표로, 주주에게 직접 귀속되는 총 현금흐름을 나타낸다.

Relative Strength: 특정 종목의 주가 상승률이 시장 평균이나 경쟁사 대비 얼마나 우월한지 측정하는 가격 모멘텀 지표다.

Net Payout Yield: 배당지급액과 자사주 매입액을 시가총액으로 나눈 값. 단순 배당수익률 대비 기업의 실제 ‘현금 지급 능력’을 더 명확히 보여준다.


● 기자의 관전포인트

유에스뱅코프 주가는 최근 12개월간 약 8% 상승했지만, 동기간 S&P500 지수(약 14% 상승)를 하회하고 있다. 주가 모멘텀 측면에서는 매력도가 낮아졌으나, 배당 성장성과 전통 예금 기반의 안정적 조달 구조는 여전히 강점으로 지목된다. 향후 연준의 금리 인하 사이클이 본격화될 경우 예대마진(NIM) 축소를 상쇄할 수 있는 수수료 기반 비은행 사업 확대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또한, Basel III Endgame(강화된 자본규제) 도입에 따른 자본비율 상향 요구가 현실화되면 자사주 매입 여력이 제약받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따라 투자자는 자본정책과 자사주 프로그램 공시를 면밀히 추적하며 주주수익률 지속성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 본 기사는 원문에 기초한 번역·재구성 기사로, 투자 판단의 최종 책임은 독자에게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