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 약세에 달러 강세…달러지수 1주 만에 최고치

[환율·원자재 동향] 달러지수(DXY00)가 0.38% 상승하며 1주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유로화 약세가 주요 배경으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러시아에 영토를 양보하는 어떠한 협상도 거부한다고 밝히면서 러·우 전쟁의 조기 종식 기대가 약화된 데 따른 결과다. 다만 미셸 보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이사가 올해 세 차례 금리 인하를 지지한다는 발언을 내놓으면서 달러 상승 폭은 장중 다소 제한됐다.

2025년 8월 11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달러 강세는 전일 대비 유로/달러(EUR/USD) 환율이 0.31% 하락한 것과 직결된다. 보먼 이사는 “9월 FOMC 회의에서 금리를 인하해야 노동시장 악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정책 충격을 예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대통령 인사·정책 변수
달러 상승세에는 제한 요인도 존재한다. 지난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아드리아나 쿠글러 이사의 공석을 매울 임시 연준 이사로 스티븐 미란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을 지명했기 때문이다. 미란 위원장은 비둘기파(완화 선호)로 평가돼 트럼프 대통령의 저금리 요구를 지지할 인물로 꼽힌다.

보먼 이사의 구체적 발언
EURUSD 그래프
9일(토) 보먼 이사는 “노동시장 여건의 불필요한 추가 악화를 막고, 더 큰 정책 수정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올해 세 차례 금리 인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9월 회의를 첫 인하 시점으로 압축했다.

관세 정책의 여파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주 반도체 수입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다만 미국 내 생산 확대 계획을 입증하는 기업은 면제를 받을 수 있다. 또 러시아산 원유 수입 문제를 이유로 인도산 수입품 관세를 기존 25%에서 50%로 상향했으며, 전자제품·의약품 관세도 예고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모든 조치가 시행될 경우 미국의 평균 관세율이 2024년 2.3%에서 15.2%로 급등할 것으로 전망했다.

연준·ECB 정책 기대
연방기금선물 시장은 9월 16~17일 FOMC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88%, 10월 28~29일 회의에서 63%로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 반면 유럽중앙은행(ECB) 스왑시장은 9월 11일 정책회의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7%로 미미하게 보고 있다.

주요 통화·채권·휴장 변수
USDJPY 그래프
달러/엔(USD/JPY)은 0.16% 상승했다. 일본 산(山)의 날 휴장으로 현지 거래량이 줄어든 가운데,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일본 경제에 부정적일 것이란 우려가 엔화 약세로 이어졌다. 다만 미국 국채(T-노트) 수익률 하락이 엔화 추가 약세를 제한했다.

귀금속 시장 동향
Gold Futures
12월물 금(GCZ2)은 2.31%(80.60달러) 급락해 1주 저점으로 밀렸고, 9월물 은(SIU2)도 1.78%(0.687달러) 하락했다. 달러 강세·주가 상승이 귀금속 가격을 압박했으며, 트럼프 행정부가 곧 금괴 관세 오해를 바로잡는 행정명령을 내릴 것이라는 소식도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보먼 이사의 금리 인하 지지 발언은 안전자산 수요를 자극해 낙폭을 일부 제한했다. 또한 관세 정책이 글로벌 성장에 부정적이라는 우려와 우크라이나·중동 갈등 등 지정학 리스크가 여전해 귀금속은 안전자산 매력을 유지하고 있다.

ETF 자금 흐름
지난주 금 현물 ETF 보유량은 2년 만에 최고치, 은 현물 ETF 보유량은 3년 만의 최고치를 각각 기록해 기관·펀드 매수세가 견조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 용어 설명
T-노트 수익률은 미국 재무부가 발행하는 만기 10년 국채의 금리로, 글로벌 금융시장의 기준이 되는 장기 지표다. 산의 날(Mountain Day)은 일본의 새로운 공휴일(8월 11일)로, 자연과 산에 감사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기사 작성 시점에 리치 애스플런드 필자는 본문에서 언급된 증권에 대한 직접적·간접적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았다. 모든 정보는 투자 자문이 아닌 일반적 참고 자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