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온 퍼시픽(Union Pacific, NYSE: UNP)이 동부 지역 대표 화물 철도사인 노퍽 서던(Norfolk Southern, NYSE: NSC) 인수를 검토하면서, 미국 전역을 하나의 선로로 잇는 초대형 대륙횡단 철도망 구축 가능성이 급부상했다.
2025년 7월 18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양사는 합병 후 약 2,000억 달러의 기업가치를 지닌 ‘코스트 투 코스트(coast-to-coast)’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방안을 놓고 초기 협상을 진행 중이다.
협상 단계는 아직 초기에 불과하며, 협상 진전 여부나 규제 승인 가능성은 미지수다. 양사 모두 공식 논평을 거부했지만, 내부 소식통은 “현재로선 성사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다”고 전했다.
규제·경쟁 당국의 심사는 최대 걸림돌로 지목된다. 현재 북미에는 ‘클래스 I(Class I)’ 대형 화물 철도사가 여섯 곳만 남아 있다. 1950년대 100여 개가 넘던 업체가 통폐합을 거쳐 지금의 구조로 재편된 만큼, 추가 합병은 시장 지배력 집중 논란을 불러올 것으로 예상된다.
소식이 전해진 18일 오후 뉴욕증시에서 유니온 퍼시픽 주가는 2.7% 하락했고, 노퍽 서던은 1.52% 상승하며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서부-동부 단일선 시대” 의미
이번 거래가 성사되면 미국 화물 철도 시장의 기존 ‘서부(Union Pacific·BNSF) 대 동부(CSX·Norfolk Southern)’ 이분 법 구조가 무너지고, 단일 노선으로 동·서 해안을 잇는 첫 현대적 네트워크가 탄생한다.
노퍽 서던은 최근 몇 년간 ▲윤리 조사 속 전 CEO 해임 ▲행동주의 펀드 앵코라(Ancora)와의 경영권 분쟁 ▲약 14억 달러를 초래한 열차 탈선 사고 등으로 혼란을 겪었다. 이번 합병 논의는 회사 정상화 과정에서 나온 전략적 선택으로 해석된다.
‘CONCENTRATION’ 쟁점
유니온 퍼시픽의 짐 베나(Jim Vena) CEO는 올해 초 “시카고 환적 문제를 해소해 고객 효율을 높일 수 있다”며 대륙횡단 합병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시카고는 미 철도 물류의 최대 병목 지역으로, 선로 교체 및 환적 과정에서 비용과 시간이 상당히 소요된다.
그러나 반대 측은 경쟁 감소를 우려한다.
“경쟁이 줄면 운송 비용 상승과 서비스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
는 지적이 화학·철강·곡물 업계에서 나온다. 바클레이즈의 브랜드런 오글렌스키 애널리스트는 “일부 화주 단체가 목소리를 높일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합병설은 즉각 업계 재편 기대감으로 확산됐다. 소이 트랜스포테이션 콜리션의 마이크 스틴혹 전무는 “철도업계 M&A는 연쇄작용을 낳는다”며 과거 캐나다 퍼시픽(CP)이 캔자스시티 서던(KCS)을 인수하려다 캐나다 내셔널(CN)과 맞붙었던 사례를 언급했다.
실제 2020년대 초 CP와 CN은 KCS 인수를 두고 경쟁했고, 최종적으로 CP가 2023년 거래를 성사시키며 캐나다-미국-멕시코를 잇는 첫 3개국 철도를 구축했다.
매출·시장 판도
2024년 매출 기준으로 유니온 퍼시픽이 243억 달러로 1위, 버크셔 해서웨이 소유 BNSF가 뒤를 이었다. 그다음은 CSX, 캐나다 내셔널, 노퍽 서던, 캐나다 퍼시픽-캔자스시티 순이다. 업계에서는 “만약 UNP-NSC가 합쳐지면 BNSF·CSX 간 추가 합병 압박이 커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절차·타임라인
규제 심사는 미국 표면교통위원회(STB)*가 맡는다. 바클레이즈에 따르면 통상 16~22개월이 소요되며, 신청 3~6개월 전 사전 통보, 1년 내 증거 조사, 이후 90일 내 최종 결정을 내린다.
CFRA의 에밀리 나세프 미치 애널리스트는 “동종 최대 업체 간 합병으로 실질적 시너지가 기대되지만, 엄격한 심사를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알아두면 좋은 용어
- Class I 철도: 연간 매출이 미 교통부 기준 5억 4,300만 달러(2023년 물가 기준)를 넘는 북미 대형 화물 철도사를 통칭한다.
- STB: 철도·파이프라인 등 표면 교통을 감독하는 미 연방 독립기관으로, 운임·공정경쟁·합병 승인 권한을 가진다.
전문가 시각
업계 관계자들은 “UNP-NSC 합병은 글로벌 공급망 다각화와 친환경 물류 강화 흐름과 맞물려 있다”고 평가한다. 해상·항공 운송 대비 탄소 배출이 낮은 철도 화물의 역할이 커지는 가운데, 대륙횡단 단일선은 환경·경제 양면에서 매력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다만 화주 단체와 정치권의 ‘서비스 질’ 우려가 변수로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