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일 오전 강세 속 대두 선물 상승세 지속

대두 선물월요일(현지시간) 오전 초반 랠리 모드를 보이며 각 계약이 6~7센트 상승하고 있다. 직전 주 후반에도 강세를 유지하며 8~10센트 오른 채 마감했다. 금요일 미결제약정(Open Interest)은 13,624건 증가신규 매수세 유입을 시사했다. 주간 기준으로는, 1월물1와 3/4센트 상승했고, 주중에 여러 차례 두 자릿수 변동이 나타났다. 금요일 밤에는 추가로 76건의 인도(Deliveries)가 발행돼 이달 누적 1,582건에 도달했다. 한편 cmdtyView가 집계한 전미 평균 현물 대두(Cash Bean) 가격9와 3/4센트 하락$10.43 3/4로 나타났다. 대두박(Soymeal) 선물은 금요일에 근월물이 $1~$4.40 상승으로 반등했으나, 12월물은 주간 기준 $4.50 하락했다. 대두유(Soy Oil) 선물은 30~44포인트 상승했고, 12월물주간 기준 1센트 반등했다.

2025년 11월 10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금요일에 소규모 정유시설 면제(SRE) 요청 적체를 해소하기 위해 2개 정유시설에 대한 전면 면제12건의 부분 면제를 추가로 승인했다. 이는 바이오연료 의무 혼합과 관련한 행정적 적체(backlog)를 정리하는 조치로 전해졌다.

참고: 원문에는 Barchart의 뉴스레터 및 분석 서비스 언급이 포함돼 있으나, 본 보도는 시장 동향과 수치 정보에 초점을 맞춰 전달한다.

주목

남미 파종 상황도 주목된다. 아르헨티나대두 파종 진척률은 4.4%로, 부에노스아이레스 곡물거래소(Buenos Aires Grain Exchange)에 따르면 전년 동기 대비 4%포인트 낮다. 브라질의 대두 파종은 11월 6일 기준 61% 완료로 추정돼, 작년 같은 시점의 67%에 비해 속도가 다소 뒤처지는 것으로 집계됐다.

대두 선물 시세 개요

개별 계약 및 현물 지표

2025년 11월물 대두$11.01 3/4에 마감해 10센트 상승했으며, 현재(오전) 6과 1/2센트 상승 중이다.

주목

근월물 현물(Cash)$10.43 3/49와 3/4센트 상승을 기록했다.

2026년 1월물 대두$11.17에 마감해 9과 1/2센트 상승했으며, 현재 6센트 상승 중이다.

2026년 3월물 대두$11.25 3/4에 마감해 8과 1/4센트 상승했으며, 현재 6센트 상승 중이다.

대두박 선물 가격


용어 해설 및 시장 이해를 위한 맥락

미결제약정(Open Interest)은 결제가 완료되지 않은 미체결 계약 수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가격 상승과 함께 미결제약정이 증가하면 신규 매수세 유입으로 해석될 수 있고, 가격 하락과 함께 증가하면 신규 매도세가 늘어났음을 시사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절대적 규칙이 아니라 시장 구조와 헤지 활동 등과 함께 해석해야 한다.

인도(Deliveries)는 만기 도래 후 실물 인수·인도 절차를 뜻한다. 선물시장에서 인도 건수가 증가하는 것은 현물 수급과 가격 괴리에 대한 시장의 반응을 보여줄 수 있으나, 대부분의 거래자는 만기 이전에 포지션 청산으로 실물 인도를 피한다.

프런트 먼스(근월물)는 만기가 가장 가까운 선물 계약을 의미하며, 유동성이 높아 가격 변동의 기준으로 자주 인용된다. 포인트는 대두유와 같은 일부 상품 선물에서 쓰이는 최소 호가 단위를 가리킨다. 또한 전미 평균 현물 가격은 현물 시장에서의 실거래 평균을 반영해 선물과 현물 간 스프레드를 파악하는 데 활용된다.

대두유 선물 가격


전문적 시각: 현재 흐름의 해석

이번 대두 선물 강세미결제약정 증가와 동반됐다는 점에서, 시장 참여자 입장에서는 단기 모멘텀에 신규 매수가 가세했다고 해석될 여지가 있다. 아르헨티나(파종 4.4%)브라질(파종 61%)의 파종 진척이 전년 대비 더딘 점은 작황 불확실성을 통해 가격 변동성을 높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농업 펀더멘털은 기상 여건, 환율, 곡물 수출 정책 등 다수 변수를 통해 수시로 재평가된다. 또한 EPA의 소규모 정유시설 면제(SRE) 정리는 바이오연료 수요·공급 전망에 간접적 영향을 줄 수 있으나, 대두유(바이오디젤 관련)에 대한 구체적 수요 변화로 직결되는지 여부는 향후 배분 및 혼합 의무치(Biofuel mandate) 추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거래 측면에서는 근월물과 원월물의 상대적 강·약세, 대두-대두박-대두유 스프레드의 변화가 수급 기대를 반영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 대두박 근월 반등대두유 포인트 상승은 제품별 마진과 사료·바이오연료 수요의 차별화를 시사한다. 다만 원문 기사에 제시된 수치 이외의 추가 데이터 없이 추세 전환을 단정하긴 어렵고, 시장은 주간 보고와 현물 프리미엄의 변화를 통해 점진적 확인을 거치는 경향이 있다.


관련 기사(원문 제공처: Barchart)

  • 중국의 대두·밀 구매 재개로 곡물 강세 재점화, 향후 관전 포인트는? — https://www.barchart.com/story/news/35870807/grain-bulls-are-back-in-business-as-china-resumes-soybean-wheat-purchases-what-comes-next
  • 다가오는 미·중 회담, 여기서 한 가지 대두 강세 거래 아이디어 — https://www.barchart.com/story/news/35730556/upcoming-u-s-china-talks-create-1-bullish-soybean-trade-here
  • 중국이 미 대두를 사지 않더라도, 대두박은 트레이더에게 가치 매수 — https://www.barchart.com/story/news/35638333/china-may-not-be-buying-u-s-soybeans-but-soybean-meal-is-a-value-buy-for-traders-here
  • 3분기 곡물: 약세가 지속될까? — https://www.barchart.com/story/news/35592225/grains-in-q3-can-the-price-weakness-continue

공시 및 고지

게시일 기준, Austin Schroeder는 본 기사에서 언급된 어떤 증권에도 직·간접 보유 포지션이 없다. 본 기사에 포함된 모든 정보와 데이터는 정보 제공 목적만을 위한 것이다. 자세한 사항은 Barchart Disclosure Policy를 참조할 수 있다.

본 기사에 담긴 의견과 견해는 작성자의 것이며, Nasdaq, Inc.의 공식 입장을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