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마트 실적 부진·국채 금리 상승에 뉴욕증시 하락 압박

뉴욕증시 주요 지수가 21일(현지 시각) 일제히 약세를 보이고 있다. S&P 500지수는 -0.40%,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0.64%, 나스닥100지수는 -0.39% 하락 중이다. 9월물 S&P 500 E-미니 선물은 -0.43%, 9월물 나스닥 E-미니 선물은 -0.48% 내리고 있다.

2025년 8월 21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투자심리는 두 가지 악재—월마트(Walmart)의 2분기 주당순이익(EPS) 쇼크10년 만기 미 국채금리 상승—에 동시에 압박받고 있다. 다우지수는 1주일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 제프리 슈미드 총재가 “물가 위험이 노동시장 위험보다 다소 높다”며 “완만하게(모덜리) 긴축적인 통화정책이 여전히 필요하다”고 언급한 점도 금리 상승(3bp↑ 4.32%)을 부추겼다.

노동지표는 냉각 기미를 드러냈다. 미 노동부가 발표한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전주 대비 1만1,000건 늘어난 23만5,000건(2개월 최고치)을 기록해 시장 예상치(22만5,000건)를 상회했다. 지속 수당 청구 건수도 3만 건 증가한 197만2,000건으로 3년 9개월 만의 최고치다.

반면 제조업 경기는 예상 밖 ‘훈풍’을 보였다. 8월 S&P 글로벌 제조업 PMI(구매관리자지수)는 53.3으로, 시장 컨센서스(49.7)와 3년래 최고치를 동시에 경신했다. 이는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를 후퇴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

실업지표 약화 vs 제조업 회복이라는 상충 신호가 나오면서 시장은 연준의 9월·10월 연속 금리 인하 가능성을 재평가하고 있다.”

연방기금선물(Fed Funds Futures)은 9월 16~17일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 25bp 인하 확률을 79%로, 일주일 전(93%) 대비 낮춰 반영 중이다. 10월 28~29일 회의에서 추가 인하가 이뤄질 가능성은 51%로 집계됐다.

정치·지정학 변수도 주목된다. 미국 부통령 J. 밴스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협상이 “우크라이나 안보 보장과 러시아가 통제하려는 영토(현재 미점령지 포함)에 초점이 맞춰졌다”고 밝혔다. 백악관은 푸틴 대통령과 젤렌스키 대통령 간 회담을 추진하고 있으며, 회담이 순조롭게 진행될 경우 트럼프 대통령이 3자 정상회담을 이어가겠다고 시사했다.

무역 전선에선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전방위 확산 중이다. 이번 주부터 오토바이·자동차 부품·가구·식기 등을 포함한 400여 소비재에 철강·알루미늄 확대 관세가 발효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음 주 또는 그다음 주에 반도체·칩에 100%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면서, 미국 내 생산 이전 기업은 면제하겠다는 방침을 재확인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이로 인해 미국 평균 관세율이 2024년 2.3%에서 15.2%로 급등할 것으로 분석했다.

기업 실적은 대체로 호조를 이어가고 있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집계에 따르면 S&P 500 기업의 2분기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9.1% 증가해 어닝 시즌 전 예상치(+2.8%)를 크게 상회했으며, 4년 만의 최고 성장률을 기록했다. 93% 이상의 기업이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약 83%가 시장 기대를 웃돌았다.

해외 증시는 혼조세다. 유로스톡스50 지수는 -0.45%, 일본 닛케이225는 -0.65% 하락했다. 반면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10년 만의 신고가를 경신하며 +0.13% 상승 마감했다.

채권시장에서는 9월 만기 10년물 T-노트 선물이 5틱 하락했으며, 수익률은 4.324%(+3.3bp)에 형성됐다. 유럽도 독일 10년물 분트 수익률이 2.742%(+2.5bp), 영국 10년물 길트 수익률이 4.702%(+3.0bp)로 올라 연동되는 모습이다.

유로존 8월 S&P 글로벌 제조업 PMI 역시 50.5로 3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 예상(49.5)과 달리 확장 국면으로 전환됐다. 복합 PMI도 51.1로 15개월 만의 최고치다. 그러나 스와프 시장은 9월 11일 ECB 통화정책회의에서 25bp 인하 가능성을 2% 수준으로 미미하게 반영한다.

개별 종목 동향

월마트(WMT)는 조정 EPS가 68센트로 컨센서스 74센트를 밑돌면서 S&P 500·다우 지수 내 최대 낙폭(-4%대)을 기록 중이다.
반도체주 약세가 두드러진다. 인텔·NXP 세미컨덕터스가 -2% 이상 밀렸고, AMD·퀄컴 등도 -1%대 하락세다.
• 식료품 배달 플랫폼 메이플베어(Instacart·CART)는 웨드부시가 ‘중립→언더퍼폼’으로 투자의견을 하향하며 -3% 약세를 나타냈다.
• 생활가전업체 샤크닌자(SN)는 왕 회장이 시간외 블록딜로 500만 주를 116~118달러에 매각한 영향으로 -3%대.
길리어드 사이언스(GILD)는 CVS헬스가 HIV 예방 주사제 보험급여 편입을 거부했다는 로이터 보도로 -2% 하락.
노드슨(NDSN)은 3분기 매출이 7억4,150만 달러로 예상(7억2,230만 달러)을 상회해 +7% 급등, S&P 500 상승률 1위다.
• 중국 전자상거래 기업 PDD홀딩스(PDD)는 상하이지수 강세에 힘입어 +2% 상승, 나스닥100 강세 종목으로 꼽힌다.
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HPE)는 모건스탠리가 ‘비중확대’로 상향하며 +2% 반등.
다비타(DVA)는 20억 달러 규모 자사주 매입 확대 소식에 +1%.
• 클라우드 인사관리업체 데이포스(DAY)는 토마 브라보가 123억 달러(주당 70달러)에 인수하기로 합의하면서 +1% 상승.
보잉(BA)은 중국에 최대 500대 항공기 판매 계약이 임박했다는 블룸버그 보도에 +0.41%.

한편 8월 21일 장 마감 후에는 인튜이트(INTU)·루이지애나-퍼시픽(LPX)·로스 스토어스(ROST)·월마트(WMT)·워크데이(WDAY)·줌 커뮤니케이션즈(ZM) 등이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저자‧윤리 공지
본 기사는 정보 제공만을 목적으로 하며, 작성자인 리치 애스플런드와 나스닥은 본문에 언급된 어떠한 종목에도 투자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는다.


용어 해설 • Extra Info

PMI(구매관리자지수): 제조업·서비스업 경기를 0~100 범위로 수치화한 지표로, 50 이상이면 확장, 50 이하면 위축을 뜻한다.
Fed Funds Futures: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 상장된 파생상품으로, 시장이 예상하는 향후 연방기금금리를 반영한다.
E-미니 선물: S&P 500·나스닥100 등 주가지수를 소규모 계약 단위로 거래할 수 있도록 한 상품이다. 기관·개인 모두 리스크 헤지와 투기에 활용한다.

© 2025 Nasdaq.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