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가, CPI 발표 앞두고 정부 물가 통계 신뢰성에 촉각

이번 주 발표되는 미국 물가 지표가 시장 변동성의 핵심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숫자 자체 못지않게 통계의 정확성과 정치적 중립성이 월가의 초미의 관심사로 부상했다.

2025년 8월 11일, CNBC뉴스의 보도에 따르면 예산 감축으로 인한 미국 노동통계국(Bureau of Labor Statistics·BLS)의 조사 방식 변경, 그리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7월 고용보고서 직후 에리카 맥엔타퍼(Erika McEntarfer) 국장을 해임한 결정이 맞물리며 “통계가 정치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최근 발표되는 데이터는 신뢰도가 예전보다 현저히 떨어진다. 이런 현상은 꽤 오랫동안 누적돼 왔다.”1– 제프리 건들락(DoubleLine CEO), CNBC 인터뷰

건들락 최고경영자의 지적처럼 인력·예산 축소는 BLS의 자료 수집 체계를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다. 전화·우편 설문에 크게 의존해 온 전통적 방식은 응답률 저하로 초기 발표치의 수정 폭을 키우는 구조적 문제를 낳는다.

모건스탠리 수석 이코노미스트 마이클 게이펜(Michael Gapen)은 보고서에서 “미국 공식 통계는 완벽하지 않지만 높은 품질과 공정성을 유지해 왔다”면서도, 현 상황이 그 전통을 흔들 수 있다고 평가했다.


예산 삭감이 불러온 ‘샘플 축소’와 ‘추정치(imputation)’

BLS는 인력 부족을 이유로 CPI(소비자물가지수) 샘플에서 여러 도시를 제외했다. 이때 빠진 지역의 가격 변동은 추정치(imputation)로 채워진다. 추정치는 동일 지역·인근 지역 데이터를 활용할 때 신뢰도가 높지만, “다른 셀(different cell)”을 사용할 경우 오차 변동성이 급격히 커질 수 있다.

실제로 BLS 가격 보고서의 약 35%가 추정치 영향을 받는다는 관측이 나온다. 뱅크오브아메리카서로 다른 셀 추정치와 관세 영향이 헤드라인 CPI를 ‘1~2bp(베이시스포인트, 0.01~0.02%p)’ 정도 바꿀 것으로 계산했다. 규모는 작지만, “요즘처럼 한 베이시스포인트가 중요한 시기엔 결코 무시할 수 없다”(아디티아 바베, BofA 수석 이코노미스트)고 진단한다.

연준(Fed)의 통화정책과 시장 베팅

다우존스가 조사한 이코노미스트 컨센서스는 7월 전체 CPI가 전월 대비 0.2% 상승, 전년 동월 대비 2.8%를 예상한다. 식료품·에너지 제외 근원 CPI는 월 0.3%, 연 3.1%로 전망됐다. 이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2% 물가 목표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월가는 특히 관세 민감 품목을 주목한다. 해당 항목에 ‘뚜렷한 상승 압력’이 없다면 9월 금리 인하 기대가 커지겠지만, 높은 수치가 나오면 연준이 ‘관망 기조’를 고수할 가능성이 높다. 모건스탠리는 “인플레이션의 연속적(Sequential) 강세가 9월 동결 전망의 핵심”이라고 밝혔다.

월가 전망 分化… 9월 이후 행보 촉각

트레이더는 올해 최대 두 차례 추가 금리 인하를 가격에 반영하고 있으나, 뱅크오브아메리카모건스탠리는 ‘동결’을 점친다. 반면 JP모건체이스세 차례 인하를 전망한다. 결국 “데이터 해석 방식”“BLS 통계 신뢰도”가 향후 예측을 좌우할 공산이 크다.


주요 개념 설명

CPI(Consumer Price Index)는 소비자가 구입하는 상품·서비스 가격 변동을 측정해 인플레이션 추세를 보여주는 지표다. PPI(Producer Price Index)는 생산자 단계 도·소매 가격을 조사해 ‘도매 인플레이션’을 가늠한다.

Imputation은 실제 가격을 확보하지 못하는 구간에 대해 추정치를 대입하는 통계 기법이다. Basis Point(bp)는 0.01%포인트를 뜻하는 금융 용어로, 미세한 금리·물가 변동을 설명할 때 사용된다.

전문가 진단과 기자 의견

전문가들은 “자료 수집 방식의 디지털 전환예산 확충이 동시에 추진되지 않는다면, 통계 변동성은 구조적으로 확대될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기자가 보기에도 BLS의 ‘추정치 의존도’ 증가는 단순한 기술적 문제를 넘어, 정책 결정 과정에서 ‘데이터 신뢰’라는 사회적 자본을 잠식할 위험이 있다. 정치적 독립성 확보와 조사 인프라 현대화가 병행돼야만 통계 왜곡 논란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