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가 보수적 금 가격 전망 비판…2026년 온스당 3,700달러 가능성

금(金) 가격이 2026년 온스당 3,700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강세 시나리오가 제시됐다다. 글로벌 증권사 번스타인(Bernstein)은 월가가 여전히 효용이 떨어진 예측 모형에 집착해 금값을 과소평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2025년 7월 19일, 인베스팅닷컴 보도에 따르면 번스타인은 총 15개의 일반적 금 가격 예측 방법을 면밀히 점검한 결과, 대다수 모델이 현재 시장 환경과 맞지 않거나 애초부터 설명력이 미미했다고 밝혔다.

번스타인이 ‘유효하다’고 판단한 6개 모델은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기대, 금리 사이클, 인플레이션 기대, 선물·선도(Forward) 가격거시 정책 변수에 초점을 맞춘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지표를 평균한 결과, 2026년 예상 금 가격은 온스당 3,700달러로 추산된다. 이는 월가 컨센서스인 3,073달러를 20% 이상 웃도는 수준이다.

평균회귀(mean-reversion) 논리, 금에는 적용 안 돼”

월가 컨센서스는 금 가격이 단기 급등 뒤 ‘평균으로 회귀(mean-revert)’할 것이라는 전제를 깔고 있다. 그러나 번스타인은 “금은 구리나 원유처럼 소비·공급 쇼크에 좌우되는 전형적 원자재가 아니다”라며 해당 논리가 본질적으로 맞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실제 2024년에 새로 채굴된 금은 유통 물량의 1.5%에 불과하다. 금은 소비되지 않고 지상 재고량이 꾸준히 누적되는 특성을 지녀 전통적 수급 분석이 힘을 잃는다. 대신 중앙은행의 금리 결정, 인플레이션 통제, 각국 정부의 금·달러 보유 정책이 가격을 지배한다는 설명이다.

투자 전략 및 관련 종목

번스타인은 금광주에 대해서도 낙관적 시각을 고수했다. 대표 종목 Barrick Gold(뉴욕증권거래소: GOLD)에 ‘Outperform’(비중 확대) 의견을 유지하며 78%의 상승 여력을 제시했다. 또 다른 대형사 Newmont에 대해서는 최고재무책임자(CFO)의 돌연 사임으로 인한 불확실성을 이유로 ‘Market-Perform’(시장수익률)
등급을 부여했다.

금은 화폐처럼 움직인다. 평균회귀를 전제로 한 전통적 원자재 모델을 적용하면 본질을 놓치게 된다.” – 번스타인 보고서


전문가 해설: 평균회귀·연준 정책이란?

*평균회귀(mean-reversion)은 가격이 장기 평균으로 돌아간다는 통계적 현상을 뜻한다. 주식·원자재 시장 분석에서 자주 쓰이지만, 금처럼 수급이 제한적이고 비소비성 자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고 번스타인은 주장한다.

**미 연방준비제도(Fed)는 미국의 중앙은행 체제로, 정책금리를 조정해 경기·물가 안정을 도모한다. 금리는 달러 가치와 실질수익률에 직결돼 금 가격의 핵심 변수로 꼽힌다.

이번 분석은 전통적 상품론을 넘어 거시 정책 변수가 금값을 좌우한다는 점을 환기한다. 투자자라면 금 가격 예측 시 공급·수요보다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경로, 인플레이션 기대, 달러 흐름 등을 면밀히 살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