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금융가가 뉴욕시장 선거를 앞두고 긴장하고 있다. 특히 조흐란 맘다니(Zohran Mamdani)의 승리 가능성이 부각되면서, 글로벌 자본주의의 심장부로 불리는 월가는 도시 경쟁력과 매력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키우고 있다다.
2025년 11월 4일, 로이터 보도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동시에 뉴저지와 버지니아 주지사 선거 결과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공화당에 맞서 민주당이 내년 미국 중간선거를 앞두고 기세를 회복하고 있는지를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신호로 받아들여진다다.
맘다니는 34세의 주 하원의원으로, 민주당 경선에서 승리한 뒤 여론조사와 베팅 시장에서 우위를 유지하며 미국 금융수도의 수장을 두고 치열하게 전개되는 이번 선거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다다.
금융업계는 민주사회주의자 성향의 맘다니가 대기업과 고소득층에 대한 증세를 강하게 밀어붙이는 점을 경계하고 있다. 다만, 정책의 현실화 과정에서의 제동이나 입장 완화 가능성에도 기대를 거는 분위기다다.
시장 발언과 평가
딘 뤼울킨(Dean Lyulkin) 카디프(Cardiff) CEO는 “맘다니의 승리는 내가 2026년에 주시하는 리스크다”라고 말했다. 그의 회사는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에 기반한 프라이빗 투자사이자 소상공인 대출업체다다.
뤼울킨은 이어 “실제 정책은 대체로 선거 레토릭보다 완만하게 나타난다”면서도 “다른 주요 도시들도 같은 흐름을 보인다면 시장은 더 높은 세금·규제 리스크를 가격에 반영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다.
맘다니의 주요 상대는 앤드루 쿠오모(Andrew Cuomo) 전 뉴욕주지사로,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공화당 후보 커티스 슬리와(Curtis Sliwa)는 대부분의 여론조사에서 3위를 달리고 있다다.
맘다니는 생활비 부담(어포더빌리티) 완화를 전면에 내걸었다. 공약에는 임대료 동결, 버스 무료화, 보편적 보육, 도시 운영 식료품점 설립이 포함됐다. 또한 뉴욕시 고소득층에 대한 증세와 법인세 인상 방침을 포함해, 도시의 기업 친화적 경쟁력이 훼손될 수 있다는 금융권의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다.
뉴욕시장이 월가를 직접 감독하는 권한은 없지만, 도시의 기업·투자 친화성에 대한 신호를 설정하는 정책 방향성의 톤을 좌우한다는 점에서 시장의 관심은 클 수밖에 없다다.
금융계 거물들도 맘다니 저지를 위해 자금을 보탰다. 빌 애크먼(Bill Ackman)과 댄 뢰브(Dan Loeb) 같은 고프로필 투자자들이 그 예다다.
그럼에도 일각에서는 쿠오모의 선전 가능성을 점친다. 뉴욕의 스파르탄 캐피털 시큐리티스의 수석 시장 이코노미스트 피터 카르딜로(Peter Cardillo)는 맘다니 승리에 따른 우려가 “다소 과장됐다”고 평가하며, 여론조사보다 쿠오모의 승산이 더 높게 나타날 수 있고, 설령 맘다니가 당선돼도 공약 실행에는 여러 장애물이 있을 것이라고 봤다다.
카르딜로는 “그가 당선되더라도 제시한 급진적 프로그램이 곧바로 시행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다.
스티펠(Stifel)의 워싱턴 정책 수석 전략가 브라이언 가드너(Brian Gardner)는 맘다니 당선이 뉴욕을 넘어선 정치적 함의로 과잉해석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메모에서 “만약 그가 이긴다면, 민주당의 좌향(左傾)에 관한 분석이 쏟아질 것”이라면서도, 맘다니가 과반이 아닌 플루럴리티(plurality, 최다득표)로 승리할 가능성이 크고, 야권이 단일 유력 후보로 결집하지 못한 반사이익을 본 측면이 있다고 밝혔다다.
전국 선거 동향: 버지니아·뉴저지, 그리고 캘리포니아 주민투표
월가는 뉴욕시장 선거와 더불어 버지니아와 뉴저지의 주지사 선거에도 주목하고 있다. 두 지역의 결과는 내년 중간선거에서 의회를 누가 장악할지에 대한 조기 신호가 될 수 있다. 이번 결과는 현재 진행 중인 미 연방정부 셧다운에 대한 유권자 인식과 책임 공방의 향배를 가늠하는데도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다.
F/m 인베스트먼츠의 최고투자책임자(CIO) 알렉스 모리스(Alex Morris)는 “만약 공화당이 크게 패한다(‘big, big thumping’)면, 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고 말했다다.
반면, 화요일 전국적으로 민주당이 선전해 내년 중간선거의 유리한 흐름을 예고하면, 워싱턴의 정치적 교착(그리드락, gridlock)을 선호하는 일부 투자자에게는 긍정적일 수 있다. 현재 기준으로는 공화당이 대통령직을 보유하고 상·하원 모두에서 다수당 지위를 점하고 있다다.
버지니아에서는 애비게일 스판버거(Abigail Spanberger) 전 연방하원의원(민주)과 윈섬 얼-시어스(Winsome Earle-Sears) 주 부지사(공화)가 맞붙는다. 뉴저지에서는 미키 쉐릴(Mikie Sherrill) 연방하원의원(민주)과 잭 치아타렐리(Jack Ciattarelli) 전 주 하원의원 겸 사업가(공화)가 대결한다다.
또 다른 표결로, 캘리포니아 주민투표에 부쳐진 주민발의안은 연방 하원 선거구 재획정을 촉발해 민주당이 2026년 중간선거에서 유리하도록 돕는 방안으로 평가된다다.
뉴욕 소재 MAI 캐피털 매니지먼트의 수석 시장전략가 크리스 그리산티(Chris Grisanti)는 “버지니아와 뉴저지 선거는 현재 유권자 지형을 보여주는 스냅샷이 될 것”이라며, “만약 민주당에게 좋은 밤이 된다면, 내년에 하원을 탈환할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다.
용어·맥락 해설
민주사회주의자는 민주적 절차를 통해 사회적 안전망과 공공서비스 확대, 경제적 불평등 완화를 추구하는 정치 성향을 말한다. 플루럴리티(plurality)는 절대 과반이 아닌 최다득표를 뜻하며, 다자 구도에서 표의 분산으로 승자가 결정될 때 자주 사용된다. 그리드락(gridlock)은 백악관과 의회 또는 양원 다수당이 갈라져 입법이 교착되는 상태를 가리키는데, 정책 불확실성이 급격히 확대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일부 투자자에게 시장 친화적이라고 해석되기도 한다다.
또한 베팅 시장은 참여자들의 돈이 실제로 걸리면서 집단 기대를 가격에 반영하는 장(場)으로, 여론조사와 함께 선거 판세의 보조 지표로 참고된다. 끝으로, 뉴욕시장은 월가를 직접 규제하지는 않지만, 세제·공공서비스·치안·인프라 등 도시 운영의 방향으로 기업 투자와 고용, 고소득층 거주 매력에 간접적이고 실질적인 영향을 미친다다.
시장 함의와 관전 포인트
단기적으로, 맘다니의 당락과 뉴저지·버지니아 주지사 선거 결과는 세금·규제에 대한 리프라이싱과 재정·소비 관련 섹터의 상대 강·약도를 좌우할 수 있다. 중기적으로는 캘리포니아 선거구 재획정 이슈가 2026년 의회 권력 지형에 미칠 영향을 시장이 점차 가격에 반영할 공산이 크다. 다만 본문 인용처럼, 선거 레토릭과 실제 정책의 괴리, 그리고 지방·연방 수준의 제도적 제동 장치가 결과적 시장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는 점도 병행해 지켜볼 대목이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