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포인트(KEY POINTS)
- 미국 생활비 상승이 이어지며 고령층이 다른 연령대보다 더 큰 압박을 받고 있다.
- 사회보장기금 고갈 우려로 인해 향후 급여 삭감 가능성이 커지자, 수급자들은 지금이라도 저축을 늘리고 있다.
- 지급액 증가가 물가상승을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에서, 개인이 할 수 있는 대응책이 존재한다.
2025년 9월 1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보험사 네이션와이드(Nationwide)가 해리스폴(Harris Poll)에 의뢰해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사회보장 연금(Social Security)을 받고 있는 1,812명의 미국인(대부분 62세 이상 은퇴자) 가운데 절반 이상이 올해 여행·외식 등 재량지출을 줄였다고 답했다.
더 심각한 것은 약 3분의 1이 식료품·의약품 같은 필수품 지출까지 감축했고, 비슷한 비율이 퇴직저축을 더 꺼내 쓰고 있다고 고백했다. 반면 최근 지출을 전혀 줄이지 않았다고 답한 응답자는 32%에 그쳤다.
“모든 것이 비싸졌다”는 체감 인플레이션
7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전년 대비 2.7%였으나, 2021년 하반기부터 2023년 상반기까지 누적된 급격한 물가상승을 감안하면 체감비용은 훨씬 크다. 전미 평균으로 물가는 불과 4년 만에 18% 이상 올랐으며, 의료비 지출 비중이 큰 고령층 CPI는 19%+ 상승했다.
명목상 사회보장 급여는 물가를 ‘수학적으로’ 따라잡아 왔다. 그럼에도 실질소득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이유는, 생활비가 빠르게 오르는 동안 연금의 구매력이 체감상 둔화됐기 때문이다.
다가오는 급여 삭감 공포
“즉각적인 제도 개편이 없을 경우 2034년 신탁기금이 고갈돼 지급액이 19% 감액될 수 있다.” — 사회보장재정신탁위원회(Board of Trustees)
동일한 전망은 전미퇴직안보연구소(NIRS), 의회예산처(CBO), 건전한연방예산위원회(CRFB) 등에서도 제시됐다. 이처럼 여러 기관이 한목소리를 내는 것은 드문 일이라, 고령층은 실제 삭감을 기정사실화하며 지금부터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
설문으로 본 고령층의 불안
네이션와이드 조사에서 미국인의 74%가 “내 생애에 사회보장기금이 고갈될까 두렵다”고 답했고, 61%는 “노년에 계속 일해야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대응 전략(Action Plan)
1) 쉽게 실천할 수 있는 절약
체킹·저축계좌에 머무는 현금을 연 4% 안팎을 제공하는 머니마켓펀드(MMF)나 온라인 고금리 예금으로 옮기는 것만으로도 가처분소득을 늘릴 수 있다. 또 케이블 TV와 스트리밍 서비스를 겹겹이 구독하기보다는, 무료 지상파 안테나 방송·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을 활용해 수십 달러를 절감할 수 있다.
TIP: 세심한 지출 점검만으로도 대부분 가구가 월 수백 달러를 아낄 수 있다.
2) 보다 깊이 있는 재무 점검
메디케어 보조보험을 보유한 경우, 보험 설계사와 재검토를 통해 월 보험료를 낮추거나 보장 범위를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퇴직계좌의 현금 비중·배당수익·성장성 등을 점검해 포트폴리오를 재조정하는 것도 중요하다.
현역이라면 정년 연장을 염두에 두고, 이미 은퇴했다면 우버(Uber) 운전·수공예 판매·플리마켓 부스 운영·대체교사·컨설팅 등 자영형 파트타임으로 부수입을 창출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 다만 노동소득이 사회보장 연금액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3) 틀을 깨는 발상
무(無)소득세 주(州)로 이주하면 연간 수천 달러를 아낄 수 있다. 차량을 처분하고 대중교통으로 전환하거나, 룸메이트를 들여 임대료를 절감하는 것도 방법이다.
기술 용어 풀이
① 머니마켓펀드(MMF) — 국공채·기업어음 등 초단기 채권에 투자해 예금처럼 낮은 변동성으로 고금리를 제공하는 상품이다.
② CPI-U vs. CPI-E — CPI-U는 도시 거주 소비자를, CPI-E(대다수 62세 이상)는 고령층 지출 패턴을 반영한다. 후자가 의료비 비중이 커 실제 물가상승 체감치가 더 높다.
전문가 시각
연금 삭감 가능성은 정치적 공방으로 악용되기 쉽다. 그러나 다수 초당파 기관이 동일한 ‘19% 삭감’ 시나리오를 예견한다는 점은, 재정수지 악화를 방치할 경우 연금 지급능력이 실질적으로 위협받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대선·중간선거를 앞두고 유권자들이 사회보장제도의 지속가능성을 핵심 의제로 삼아야 하는 이유다.
또한 고령층 소비 축소는 소매·여행·외식 산업에 부정적 파급효과를 낳을 수 있다. 기업 실적과 증시에 장기적인 변동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결론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변하지 않는다(Doing nothing changes nothing).”
잠재적 재정 위기를 목도한 지금, 선제적 대응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절약·투자 다변화·노동 연장 등 단계별 전략을 통해, 고령층은 불확실한 미래에 대비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는 실질 구매력을 지키고 품위 있는 노후를 영위하기 위해 개인 재무관리와 정책 감시가 병행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