왓츠앱, “러시아 정부가 1억 명 넘는 이용자 대상 보안 통신 차단 시도”

메타 플랫폼(Meta Platforms) 산하 모바일 메신저 왓츠앱(WhatsApp)이 러시아 당국의 서비스 제한 조치를 강력히 규탄했다. 회사 측은 러시아가 자국민 1억여 명의 안전한 통신권을 침해하려 한다고 지적하며, 종단간 암호화(end-to-end encryption) 기술을 지키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2025년 8월 14일,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러시아는 최근 왓츠앱과 텔레그램의 일부 음성 통화를 제한하기 시작했다. 당국은 해당 플랫폼들이 ‘사기 및 테러’ 사건 수사를 위한 정보 공유 요구에 협조하지 않았다며 제한의 근거를 밝혔다.

이에 대해 왓츠앱은 성명을 통해 “왓츠앱은 사적이며 종단간 암호화가 적용된 플랫폼이어서 정부가 이용자의 안전한 통신을 침해하려는 시도를 거부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바로 그 이유 때문에 러시아가 1억 명이 넘는 자국민으로부터 이 서비스를 차단하려 한다”고 주장했다.

“WhatsApp is private, end-to-end encrypted, and defies government attempts to violate people’s right to secure communication, which is why Russia is trying to block it from over 100 million Russian people,”

라고 회사 측은 밝혔다.

또한

“We will keep doing all we can to make end-to-end encrypted communication available to people everywhere, including in Russia.”

라며, 러시아 내에서도 암호화 기능을 유지하겠다고 재차 천명했다.


▶ 용어 설명 – 종단간 암호화(E2EE)
종단간 암호화는 메시지가 발신자와 수신자만 해독할 수 있도록 설계된 기술을 의미한다. 전송 과정에서 서버나 제3자가 내용을 열람할 수 없어, 법 집행 기관의 감청이나 해킹 위험을 크게 줄인다. 다시 말해, 플랫폼 운영사조차 대화 내용을 읽을 수 없다는 점이 특징이다.

▶ 러시아 정부의 제한 조치 배경
러시아는 사기 및 테러 관련 수사를 명분으로 플랫폼 기업들에게 데이터 접근 권한을 지속적으로 요구해 왔다. 왓츠앱과 텔레그램이 해당 요청을 거부하자, 당국은 음성 통화 품질 저하접속 차단 등 물리적 제한을 가하기 시작했다. 이는 정보 공유를 압박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왓츠앱의 이번 성명은 러시아 내 인터넷 규제 강화 움직임과 맞물려 더욱 주목받고 있다. 러시아가 글로벌 플랫폼에 대해 단행한 가장 최근의 제한 조치 가운데 하나이기 때문이다. 회사 측은 “암호화 기능을 후퇴시키는 일은 결코 없을 것”이라고 거듭 못박았다.

▶ 업계 시각과 전망
업계 관계자들은 러시아의 제한 조치가 장기화될 경우, 사용자들이 가상사설망(VPN) 등 우회 접속을 통해 여전히 왓츠앱을 이용하려 할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동시에 일부 이용자는 국산 또는 친정부 성격이 강한 대체 메신저로 이동할 수도 있다. 플랫폼 사업자 입장에서는 이용자 기반을 유지하는 동시에 프라이버시 보호 원칙을 지키는 복합적 과제가 남는다.

▶ 이용자 실질적 영향
왓츠앱이 차단될 경우, 러시아 내 중소기업과 국제 교류가 잦은 개인 사용자들이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음성·영상 통화를 주요 업무 수단으로 활용하던 기업은, 통신 지연이나 품질 저하로 인해 업무 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한편 메타 플랫폼은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을 포함한 주요 서비스에 이미 종단간 암호화 확대를 선언한 바 있다. 이번 사태가 어떻게 전개되느냐에 따라, 다른 국가·지역에서도 유사한 규제 논의가 촉발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왓츠앱의 입장은 “모든 사람이 안전하고 사적인 온라인 대화를 누릴 권리가 있다”는 원칙에 근거한다. 회사는 러시아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암호화 수준을 강화하는 행보를 지속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결국, 러시아 정부의 차단 시도와 메신저 서비스 제공자의 프라이버시 방어 논리가 정면으로 충돌하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기술적 우회와 법적 공방이 병행될 것이며, 장기적으로는 “국가 안보” 대 “개인 프라이버시”라는 논쟁이 재점화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