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옵션 시장에서 러셀3000 지수(Russell 3000 Index) 구성 종목 세 곳이 22일(현지 시각) 비정상적인 거래량을 기록했다. 해당 종목은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exas Instruments·TXN), 슈퍼 마이크로 컴퓨터(Super Micro Computer·SMCI), 그리고 U.S. 피지컬 테라피(U.S. Physical Therapy·USPH)다.
2025년 7월 22일, 나스닥닷컴(Nasdaq.com)의 보도에 따르면, 세 종목 모두 평소 대비 높은 옵션 계약 체결이 확인됐다. 옵션은 특정 종목의 미래 가격 변동성에 대한 시장 참여자들의 기대를 가늠할 수 있는 대표적 파생상품이므로, 대량 거래는 잠재적 투자 전략 변화를 시사한다.
①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XN) — 4만 1,088건 계약
반도체 설계·제조 기업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의 옵션 시장에서는 총 41,088건의 계약이 체결돼, 이는 약 410만 주의 기초주식 수에 해당한다. 최근 30일 평균 주식 거래량(550만 주)의 75.2%에 달하는 규모다. 특히 ▲$190 행사가(스트라이크) 풋옵션(주가 하락에 베팅) 2025년 11월 21일 만기 계약이 5,090건 체결돼 단일 옵션 중 가장 높은 체결량을 기록했다(≈ 50만 9,000주).
② 슈퍼 마이크로 컴퓨터(SMCI) — 30만 2,686건 계약
AI 서버와 스토리지 솔루션으로 빠르게 성장 중인 SMCI는 이날 약 3,030만 주의 기초주식에 해당하는 302,686건 옵션이 체결됐다. 이는 최근 30일 평균 주식 거래량(4,260만 주)의 71% 수준이다. 가장 활발히 거래된 종목은 ▲$95 행사가 콜옵션(주가 상승에 베팅) 2025년 8월 15일 만기로, 30,351건(≈ 303만 5,100주)이 매매됐다.
③ U.S. 피지컬 테라피(USPH) — 1,504건 계약
물리치료 클리닉 체인을 운영하는 USPH는 총 1,504건의 옵션 계약이 체결됐다. 이는 약 15만 400주의 기초주식에 해당하며, 최근 30일 평균 주식 거래량(22만 9,975주)의 65.4%다. ▲$65 행사가 콜옵션 2026년 3월 20일 만기가 1,249건(≈ 12만 4,900주)으로 집중 거래됐다.
시장 의미 및 분석
“대규모 옵션 체결은 통상적으로 기관 투자자가 향후 변동성 확대를 예상할 때 나타난다.”
텍사스 인스트루먼트의 경우 장기 만기(LEAPS) 풋옵션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는 점이 돋보인다. 이는 반도체 수요 둔화 가능성 또는 금리·거시 변수에 따른 밸류에이션 조정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슈퍼 마이크로 컴퓨터는 저가($95) 콜옵션 거래량이 급증했다. 주가가 이미 고점을 경신하고 있음에도 낮은 행사가 콜옵션이 선택된 배경은 헤지 성격을 띤 주가 연계 구조화 상품(풋·콜 스프레드) 수요 혹은 장기 ‘커버드콜’ 전략으로 추정된다.
USPH의 경우, 헬스케어 서비스 업종 특성상 경기 방어주로 분류되지만, 2026년 만기 장기 콜옵션 거래 급증은 동일 기간 M&A 프리미엄 기대 또는 재활 치료 수요 성장 전망을 반영하는 신호로 풀이된다.
용어 풀이
- 스트라이크 가격(행사가): 옵션을 행사할 때 매수·매도할 수 있는 미리 정해진 가격.
- 만기일: 옵션 계약 효력이 종료되는 날짜.
- 콜옵션: 기초자산을 미래 특정 시점에 정해진 가격으로 살 권리를 구매.
- 풋옵션: 기초자산을 미래 특정 시점에 정해진 가격으로 팔 권리를 구매.
- LEAPS(Long-Term Equity AnticiPation Securities): 만기까지 1년 이상 남은 장기 옵션.
전문가 시각
옵션 거래량 급증은 필연적으로 변동성 확대와 직결된다. 변동성을 활용하는 전략(예: 스트래들, 스트랭글)에 익숙한 투자자라면, 이벤트 리스크(실적 발표·거시 데이터·정책 변수) 이전 옵션 가격(IV) 변화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편 풋옵션 체결 증가는 시장 전반에 위험 회피 심리가 높아진 징후일 수 있으므로, 보수적 투자자는 헤지 비중을 재조정해 리스크 관리 전략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옵션 거래는 높은 레버리지 효과와 함께 손실 위험 역시 크다. 투자자들은 거래소 규정·증거금 요구조건·세금 체계 등을 충분히 숙지해야 하며, 특히 만기 구조와 델타(Δ) 변동에 따른 포지션 관리가 필수적이다.
※ 본 기사는 원문 정보를 기반으로 한 번역 및 해설이며, 투자 판단에 대한 책임은 독자 개인에게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