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리브가든 모기업 다든 레스토랑츠, 1분기 실적 기대치 하회…매출 전망은 상향

다든 레스토랑츠(Darden Restaurants)가 발표한 2026 회계연도 1분기 실적이 주당순이익(EPS) 기준 월가 전망을 밑돌았다. 그러나 매출 성장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하면서 시장의 이목을 끌었다. 실적 공표 직후 프리마켓에서 주가가 6% 하락하며 투자자들의 실망감을 반영했지만, 회사는 올리브가든(Olive Garden)과 롱혼 스테이크하우스(LongHorn Steakhouse)의 견조한 수요가 고급 레스토랑 부문의 부진을 상쇄했다고 설명했다.

2025년 9월 18일, CNBC 뉴스 보도에 따르면 다든 레스토랑츠는 회계연도 1분기(6~8월) 실적을 공개하며 매출 전망 상향과 함께 전략적 포트폴리오 조정 계획을 강조했다. 본 기사에서는 해당 실적 내용을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앞으로의 사업전망 및 리스크 요인을 다각도로 짚어본다.

■ 핵심 실적 지표
조정 EPS: 1.97달러(월가 컨센서스 2.00달러)
매출: 30억4,000만 달러(컨센서스와 일치)
GAAP EPS: 2.19달러(전년 동기 1.74달러 대비 25.9% 증가)
순이익: 2억5,780만 달러(전년 대비 24.4% 증가)

주목

조정 EPS가 시장 전망에 미달한 주된 요인은 고급 레스토랑 부문의 트래픽 감소와 원가 부담 증가다. 반면 올리브가든·롱혼 스테이크하우스가 전체 매출을 견인하며 외형 성장을 지탱했다.

■ 부문별 동향
1) 캐주얼 다이닝(Olive Garden·LongHorn): 동일매장매출(Same-Store Sales)이 전년 대비 4.7% 증가했다. 동일매장매출이란 1년 이상 영업한 매장의 매출 변동을 측정하는 지표로, 신규 오픈 효과를 제외하고 내부 성장을 가늠하는 핵심 지표다.
2) 파인다이닝(The Capital Grille 등): 코로나 이후 회복세가 둔화되며 트래픽이 예상보다 빠르게 줄었다. 고가 메뉴에 대한 수요 둔화가 원인으로 지목된다.
3) 신규 편입(Chuy’s Tex Mex): 지난해 10월 인수 완료 후 첫 분기부터 매출에 기여했으나, 아직 동일매장매출 계산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 FY2026 가이던스 상향
다든은 연매출 성장률 전망을 종전 7.0~8.0%에서 7.5~8.5%로 상향했다. 반면 조정 EPS 가이던스는 10.50~10.70달러로 유지해 수익성에 대한 보수적 스탠스를 고수했다. 회사 관계자는 “원재료비와 인건비 인플레이션이 완화되기 전까지는 이익률 개선 목표를 조정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매출 볼륨 확대에 대한 확신은 높지만, 비용 측면 불확실성이 상존한다— 릭 카드웰 CFO

■ 전략적 구조조정
다든은 향후 12개월 내 바하마 브리즈(Bahama Breeze) 매각을 완료하겠다고 재확인했다. 또한 저수익 매장 30여 곳을 폐점하고, 이를 통해 확보된 현금을 올리브가든 리모델링 및 디지털 인프라 투자에 재투입할 계획이다.

주목

참고: LSEG1는 Refinitiv와 런던증권거래소그룹(London Stock Exchange Group)이 합병해 탄생한 금융정보 플랫폼으로, 월가 애널리스트 컨센서스를 집계한다.
참고: 동일매장매출(Same-Store Sales)2는 외식·유통업체의 내부 성장성을 측정하는 대표 지표로, 매출 증가가 새로운 점포 확장 효과인지, 기존 매장의 실질 성장인지 파악할 수 있게 한다.

■ 전문 기자 분석
1) 밸류에이션 부담: 주가수익비율(PER)이 동종업계 평균을 상회한다는 점에서 이번 EPS 미스가 단기적으로는 주가 조정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2) 소비 트렌드: 고급 외식보단 중가 캐주얼 다이닝 선호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경기 불확실성이 지속될 경우, 올리브가든·롱혼과 같은 브랜드의 고객 흡입력이 더 강화될 전망이다.
3) 인플레이션 리스크: 원재료 가격 상승이 둔화되고 있으나, 인건비는 구조적 상승 궤도에 있다. 다든이 제시한 EPS 가이던스 상단(10.70달러)을 달성하려면 효율성 개선이 필수적이다.

■ 투자 포인트
영업 현금흐름 개선: 폐점·매각으로 인한 자본 회수와 캐주얼 부문 고성장이 맞물려 연말까지 순현금 포지션 확대가 예상된다.
배당 및 자사주: 다든은 전년 대비 8% 높은 분기배당금을 유지하고 있으며, 현 주가 대비 배당수익률은 3% 내외다.
리스크 요인: 파인다이닝 부문의 부진 장기화 가능성, 비용 인플레이션 재가속, 경쟁 심화.


1 LSEG: London Stock Exchange Group.
2 Same-Store Sales: 1년 이상 영업 매장의 매출 증감률.

■ 결론
다든 레스토랑츠는 매출 성장 전망을 상향 조정하며 외형 확장 자신감을 드러냈다. 그러나 수익성 측면에서는 비용 압박을 이유로 보수적 가이던스를 유지해, 단기적으로는 실적 모멘텀이 제한적일 수 있다. 캐주얼 다이닝 브랜드의 강점을 기반으로 한 장기 성장 스토리는 유효하지만, 고급 레스토랑 부문 반등 여부와 비용 구조 최적화가 향후 주가 반등의 핵심 변수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