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드 도미니언 프레이트 라인, 3분기 순이익 12.2% 감소…예상치 상회

미국 대표 LTL(소량 화물) 운송기업 올드 도미니언 프레이트 라인(Old Dominion Freight Line, Inc.)이 2025년 3분기 실적을 공개했다. 회사는 순이익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월가 컨센서스를 웃도는 저력을 보이며 불확실한 물류 시장에서 경쟁력을 재확인했다.

2025년 10월 29일,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올드 도미니언은 3분기 GAAP 기준 순이익 2억 7,095만 달러, 주당순이익(EPS) 1.28달러를 기록했다. 시장 컨센서스(1.22달러)를 4.9% 웃돌았으나, 전년 동기 1.43달러 대비 10.5% 하락했다.


주요 수치 요약*
순이익 : 2억 7,095만 달러(전년 3억 585만 달러)
EPS : 1.28달러(전년 1.43달러)
매출 : 14억 600만 달러(전년 14억 7,000만 달러) — 4.4% 감소
*GAAP(일반회계원칙) 기준

주목

이번 실적 발표는 고금리·물가상승 환경 속에서도 수익성 방어에 성공했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특히 비용 관리, 운임 조정, 네트워크 최적화 전략이 영업마진 지지에 핵심적으로 작용했다는 평가다. 반면, 제조·소매 재고조정으로 미국 내 화물 발송량이 둔화되면서 매출 총량은 감소했다.

올드 도미니언 프레이트 라인 이해를 위한 배경
회사는 미 전역 255개 서비스센터를 운영하며 트럭 11,000대 이상을 보유한 LTL 전문 기업이다. LTL은 한 고객이 트럭 전체를 채우지 못할 때 여러 화물을 한데 실어 나르는 방식으로, 정확한 배송 스케줄·복합 노선 관리·터미널 운영 효율이 경쟁력을 좌우한다. 국내에는 상대적으로 생소하지만, 미국 화물 시장에서 약 15% 비중을 차지하며 경기 변동에 민감하다.

“3분기에도 비용 효율화와 서비스 품질 개선 노력이 결실을 맺었다”

라는 회사 측 설명처럼, 올드 도미니언은 차세대 터미널 자동화, 전기·CNG 트럭 도입 등 중장기 투자도 지속하고 있다. 이러한 투자는 단기 이익을 잠식할 수 있으나, 장기 성장동력으로 평가된다.

실적 하락 요인 분석
1) 산업생산 지표 둔화 : 미국 제조업 PMI가 50선 아래로 내려앉으면서 화물 발송량 팔레트당 평균 무게도 감소했다.
2) 전년 대비 높은 기저 효과 : 2024년 3분기는 팬데믹 이후 운임이 정점을 찍은 시기였다.
3) 경쟁 심화 : Yellow Corp. 파산 이후 일부 화물이 동종업체로 이동하면서 가격 재조정이 진행됐다.

주목

그럼에도 불구하고 회사는 영업비용을 9.1% 절감했다. 특히 연료효율 관리 시스템을 통해 디젤 단가 상승 폭을 상쇄했고, AI 기반 경로 최적화로 빈 트럭 회차 비중을 3.4%p 줄였다. 이에 따라 영업이익률은 19.3%로, LTL 업계 평균(11~13%)을 크게 상회했다.

주가 영향 : 발표 당일 프리마켓에서 ODFL 주가는 1.8% 상승했다. 애널리스트들은 “견조한 마진은 지속 가능”이라며 12개월 목표가를 450달러(현 주가 대비 12% 업사이드)로 제시하기도 했다. 다만 일부 기관은 소프트랜딩 시나리오 하에서 운임 추가 하락 가능성을 경고하며 중립 의견을 유지했다.

LTL 업황 전망
미국 화주들은 재고 수준을 정상화하는 과정에 있다. 이에 따라 2026년 상반기까지 물동량 회복이 제한적일 수 있다. 그러나 미국 경기 연착륙과 전자상거래 확대가 맞물리면 LTL 수요는 빠르게 반등할 가능성이 높다. 올드 도미니언은 업계 최상위 수준의 OR(Operating Ratio)와 탄탄한 재무구조를 바탕으로 경기 반등 시 상대적 수혜가 예상된다.

기자 견해·전문가 통찰
비용 구조 : 고정비 비중이 40% 수준으로 경쟁사 대비 낮다. 이는 경기 하강 국면에서 방어력을 제공한다.
배당·자사주 : 회사는 캐시플로의 약 50%를 자사주 매입에 활용해 주주환원 성향이 높다.
친환경 규제 대응 : 2030년 캘리포니아 ‘Advanced Clean Fleets’ 규제를 고려할 때 전기 트럭 선제 투자가 경쟁우위를 강화할 전망이다.
종합적으로, 이번 실적의 핵심은 “감소한 매출 속에서도 이익 방어에 성공했다”는 점이다. 이는 향후 경기 회복 시 실적 레버리지를 높여줄 기반이 된다.

ⓒ 2025 The Korean Journalist.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