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카고선물거래소(CBOT) 옥수수 가격이 25일(현지시간) 금요일 새벽 전일 대비 2~3센트 하락하며 약세로 출발했다. 이는 전날 장 마감 무렵 3~4센트 상승폭을 기록했던 흐름과 대조된다.
2025년 7월 25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전일(24일) 장에서 예비 미결제약정(open interest)이 13,077건 늘어나면서 시장 참여가 확대된 가운데, 국내 CmdtyView 기준 전미 평균 신규 작황 현물 옥수수 가격은 3센트 오른 부셸당 3.78달러로 집계됐다.
미결제약정은 아직 반대 포지션으로 청산되지 않은 계약 건수를 뜻한다. 일반적으로 해당 수치가 증가하면 시장 유동성이 풍부해지고 향후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의 주요 지표로 활용된다.
미국 농무부(USDA)는 135,000톤(MT) 규모의 옥수수를 대한민국이 신규 작황분으로 구매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애초 ‘중국’으로 잘못 공지된 내용을 정정한 것이다. 같은 날 USDA는 284,196톤의 행선지 미확정(unknown) 판매도 보고했는데, 이 가운데 2024/25연도분이 83,956톤, 2025/26연도분이 200,240톤을 차지했다.
“2024년 7월 17일로 끝나는 주간에 2024/25 마케팅연도 옥수수 수출 판매는 총 643,060톤으로, 전주 대비 큰 폭으로 늘었고 전년 동기 대비 거의 두 배에 달했다.” – USDA 주간 수출보고서
멕시코가 346,200톤으로 최대 구매국에 올랐으며, 일본이 72,400톤을 뒤따랐다. 새 작황(2025/26) 판매는 733,939톤으로 3주 만의 저조한 수준에서 반등했다. 행선지 미확정분이 349,700톤으로 가장 많았고, 일본은 171,800톤을 추가로 계약했다.
또한 한국 사료곡물 수입업체들이 추가 입찰을 통해 최소 268,000톤을 구매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가운데 상당 물량이 앞서 확인된 미국산 물량으로 연결됐을 가능성이 높다.
가격 동향(24일 종가 및 25일 오전 변동)
• 2025년 9월물 – 24일 4.0175달러(3.25센트↑) → 25일 현재 2.75센트↓
• 근월 현물 – 24일 3.8775달러(2.25센트↑)
• 2025년 12월물 – 24일 4.2075달러(3.25센트↑) → 25일 현재 2.50센트↓
• 2026년 3월물 – 24일 4.3825달러(3.50센트↑) → 25일 현재 2.25센트↓
• 신규 작황 현물 – 3.78달러(3센트↑)
위 지수는 모두 CBOT 전자거래 기준이다. ‘근월물(nearby)’이란 가장 가까운 인도월 계약을 의미하며, 통상 유동성이 가장 높다.
투자자 유의 사항*기사 하단 면책조항 참조
해당 기사 작성 시점에서 Austin Schroeder 기자는 언급된 증권에 대해 직·간접적인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았다. 본 문서는 정보 제공만을 목적으로 하며, 투자 자문이나 매매 유도 행위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추가 세부 정보는 Barchart Disclosure Policy에서 확인할 수 있다.
용어 안내
• Open Interest – 특정 선물·옵션 종목에서 아직 청산되지 않은 계약 수. 증가할수록 거래 활발 및 변동성 확대 가능성을 시사한다.
• Tender – 국제 곡물 시장에서 수입업체가 공개 입찰을 통해 대량 구매 의사를 밝히는 절차로, 계약 체결 시 실제 운임·품질 조건 등이 확정된다.
시장 참여자들은 이번 주 USDA의 대규모 수출 공시와 한국·멕시코·일본 등 주요 수입국의 구매 확대 움직임이 향후 가격 반등의 기반이 될지 주목하고 있다. 다만 미국 중서부의 기상 여건과 브라질·아르헨티나의 파종 진척 등 공급 변수가 상존해 있어 변동성은 이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