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수수 선물, 금요일 장 초반 소폭 하락세

[시세 동향] 시카고상품거래소(CBOT) 옥수수 선물 가격이 25일(금) 장 초반 2~3센트 내리며 약세로 출발했다. 전일장 마감가는 3~4센트 상승해 반등 흐름을 보였으나, 이내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된 것으로 풀이된다.

2025년 7월 25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전일(24일) 기준 예비 미결제약정(open interest)은 13,077건 증가했다. 이는 투자자들의 포지션 구축이 이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같은 날 CmdtyView가 집계한 전미 신곡(新穀) 현물옥수수 평균가격부셸당 3.78달러로 3센트 상승했다.

[수출 동향] 미 농무부(USDA)는 24일 오전, 13만5,000톤(MT)*1 규모의 신곡옥수수대한민국으로 수출 계약됐다고 발표했다. 당초 USDA는 상대국을 중국으로 잘못 공지했으나 곧바로 정정했다. 같은 날 28만4,196톤이 ‘미결정 지역(unknown destinations)’ 명목으로 보고됐으며, 이 가운데 83,956톤은 2024/25연도, 200,240톤은 2025/26연도 선적 물량이다.

주간 수출 판매(Export Sales) 보고서에 따르면 7월 17일 종료 주간에 2024/25연도분 64만3,060톤이 신규 판매됐다. 이는 전주 대비 크게 늘어난 수치이자 작년 동기 대비 거의 두 배 수준이다. 멕시코가 34만6,200톤으로 최대 구매국이었고, 일본이 7만2,400톤을 뒤따랐다. 신곡(2025/26) 판매량은 73만3,939톤으로, 3주 만의 저점에서 반등했다. 미결정 지역이 34만9,700톤으로 최대 비중을 차지했고 일본이 17만1,800톤을 수주했다.

한편, 한국 사료곡물 입찰기관들의 추가 입찰 결과 최소 26만8,000톤이 낙찰된 것으로 추정된다. 업계에서는 이 가운데 상당 부분이 미국산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가격 세부 내역]

• 9월물 (2025년) : 전일 4.01 3/4달러(+3 1/4센트) → 현재 -2 3/4센트

• 현물 근월물 : 3.87 3/4달러(+2 1/4센트)

• 12월물 (2025년) : 전일 4.20 3/4달러(+3 1/4센트) → 현재 -2 1/2센트

• 3월물 (2026년) : 전일 4.38 1/4달러(+3 1/2센트) → 현재 -2 1/4센트

• 신곡 현물가 : 3.78달러(+3센트)

[저자·공시] 본 기사가 작성된 시점에 Austin Schroeder는 해당 증권에 대한 직·간접적 포지션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모든 정보는 참고 목적이며, 자세한 사항은 Barchart Disclosure Policy를 참조할 수 있다.


[용어 해설]
*1 MT(Metric Ton)은 미터법 톤으로 1톤(1,000kg)을 의미한다.
미결제약정(Open Interest)은 선물·옵션 시장에서 아직 청산되지 않은 계약 건수를 뜻하며, 시장 유동성과 투자자 심리를 가늠하는 지표다.
현물옥수수(Cash Corn)는 선물계약이 아닌 실물 즉시 인도 조건의 옥수수를 말한다.
미결정 지역(Unknown Destinations)은 구매자가 공개되지 않은 수출 계약을 의미한다.
입찰(Tender)은 곡물 수입업체가 국제시장에서 물량·가격 경쟁을 거쳐 구매처를 선정하는 절차다.

[시장 분석] 최근 옥수수 가격은 미국 중서부 기상 여건 개선과 브라질·아르헨티나 생산 확대 전망에 압박을 받아왔다. 다만, 미 달러화 약세와 남미 물류 차질 가능성, 그리고 주요 수입국 한국·멕시코·일본의 꾸준한 구매가 하방 경직성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한국은 사료 수급 안정화를 위해 선제적 비축을 늘리고 있어, 향후 미국산 구매 비중이 더 확대될 여지가 있다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4달러선이 9월물 옥수수의 단기 지지선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면서도, 8월 미국 작황 보고서와 9월 WASDE(세계농업수급전망) 결과가 변동성을 키울 수 있다고 경고한다. 수요 측면에서는 에탄올 공장 가동률과 중국·멕시코의 수입 속도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투자자 유의 : 옥수수 선물은 작황·환율·정책 등 변수가 많아 가격 변동성이 크다. 헤지 목적이 아닌 투자는 위험이 높을 수 있으므로, 철저한 정보 분석과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