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카고선물거래소(CBOT)의 옥수수 선물 가격이 8월 15일 금요일(현지시간) 장 마감 무렵 1부셸당 7~8.75센트 뛰어오르며 주간 낙폭을 대부분 만회했다.
2025년 8월 17일(현지시간), 나스닥닷컴 보도에 따르면 9월물 옥수수 선물은 한 주 동안 1센트 상승해 3.8375달러로 마감했고, 12월물은 불과 0.25센트 하락에 그쳤다. 이는 주 초 대비 재고가 10억 부셸가량 늘어났음에도 강세를 유지한 것이어서 매수 세력(bulls)의 승리로 간주된다. CmdtyView가 집계한 전국 평균 현물 가격은 부셸당 3.6375달러로 8.5센트 상승했다.
향후 일주일간 미국 옥수수 벨트(Corn Belt) 대부분 지역은 강수량이 제한될 것으로 예보됐다. 다만 다코타 중동부, 미네소타, 아이오와 북부, 위스콘신, 미시간 그리고 동부 콘벨트(ECB) 극북부에는 예외적으로 비가 내릴 가능성이 있다.
‘Corn Belt’는 일리노이·아이오와·인디애나 등 미국 중서부 곡창지대를 지칭하는 용어로, 옥수수·대두 생산량이 집중된 지역이다. 기상 여건은 작황과 선물 가격 변동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예의주시한다.
한편, 대형 매니지드 머니 헤지펀드(managed money spec funds)는 8월 12일 기준 옥수수 선물·옵션에서 순매도(net short) 포지션을 2,364계약 늘려 176,114계약으로 확대했다.
‘순매도 포지션(Net Short)’은 매수 계약보다 매도 계약이 많다는 의미다. 일반적으로 펀드가 순매도를 확대하면 가격 하락 베팅이 커졌음을 뜻하지만, 이번 주말 가격 급등은 공매도 차익실현(쇼트커버링) 가능성을 시사한다.
미 농무부(USDA) 산하 해외농업서비스국(FAS)이 14일 발표한 주간 수출판매(Export Sales) 보고서에 따르면, 구곡(old crop) 옥수수 수출 누적 계약은 7,053만3,000t(MMT)으로 USDA 연간 전망치의 98%를 달성했다. 이는 5년 평균 103%에 다소 못 미치지만, 센서스(Census) 실측치는 FAS 수치를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5/26년산 신곡(new crop) 계약은 1,382만5,000t으로, 동기간 역대 두 번째 규모다.
만기별 종가 현황(8월 15일 기준)
Sep 2025 옥수수: 3.8375달러 (+8.75¢)
현물(근월) 가격: 3.6675달러 (+8.5¢)
Dec 2025 옥수수: 4.0525달러 (+8.0¢)
Mar 2026 옥수수: 4.2250달러 (+8.5¢)
신곡 현물: 3.6138달러 (+7.5¢)
전문가 시각
전체 재고가 증가했음에도 가격이 강세를 보인 것은 기상 불안과 수출 수요 기대가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특히 미국 중앙은행(Fed)의 통화정책 완화 기대, 브라질·아르헨티나 등 남미 산지의 작황 우려가 맞물리면서 옥수수 가격의 하방 경직성을 강화했다는 진단이다. 다만 헤지펀드 순매도 잔량이 여전히 크다는 점은 향후 변동성을 예고한다.
본 기사 작성일 현재 필자 Austin Schroeder는 언급된 증권에 대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 보유 포지션이 없다고 밝혔다. 이 기사에 포함된 모든 정보와 데이터는 참고용이며, 투자 권유가 아니다.
기사에 나타난 견해는 저자 개인 견해로, 나스닥(Nasdaq, Inc.)의 공식 입장과는 무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