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카고 상품거래소(CBOT) 현황] 옥수수 선물 가격이 1일(현지시간) 금요일 오전 장 초반에 전일 대비 소폭(틱 단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전일(7월 31일) 종가는 1~2 ¼센트 오른 수준에서 마감해 월말의 낙폭을 일부 만회했으나, 9월물은 심리적 지지선으로 여겨지는 $4.00을 하회하며 $3.94로 장을 마쳤다.
2025년 8월 1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전일 대비 프리미너리 오픈 이너레스트(선물 미결제약정) ↑ 11,766 계약이 증가했다. 이는 신규 진입세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같은 날 Barchart사의 CmdtyView 전국 평균 현물 옥수수 현금가격 지수는 2센트 오른 $3.7675를 기록했다.
사적(民間) 수출 판매도 활발하다. 7월 31일(목) 오전 미 농무부(USDA)에 접수된 수출 신고에 따르면 2025/26 시장연도 선적분으로 콜롬비아 100,000톤·대한민국 140,000톤·미공개 바이어 136,000톤이 확정됐다.1
“옥수수 현물·선물 가격이 역사적 저점 근처에서 거래되고 있는 가운데, 동아시아·남미 지역의 수요가 선도 물량 확보 차원에서 빠르게 집결하고 있다” — 국내 곡물 브로커 발언
가입 권유 문구로 표기된 “Don’t Miss a Day” 부분은 Barchart가 투자자용 원자재 분석 뉴스레터 구독을 권장하는 광고 문구다.
무역정책 변수도 주목된다. 7월 30일(수) 늦은 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미 무역협정 타결을 발표하며 한국산 상품에 대한 미국 측 관세를 15%로 설정했다고 밝혔다. 또한, 미국과 멕시코는 기존 관세 동결(타리프 포즈) 조치를 추가로 90일 연장하기로 합의했다.
동시에 USDA 주간 곡물 수출 판매 보고서(7월 24일 주간)에 따르면 구작(2024/25) 물량으로 340,924톤이 판매되었는데 전주보다 감소했으나 전년 동기 대비 두 배 이상 많았다. 일본이 최대 구매자로 175,400톤, 멕시코가 93,300톤을 사들였다. 신작(2025/26) 물량 예약은 총 1.892백만톤(MMT)으로, 현 회계연도 최고치를 경신했다. 그중 772,110톤은 사전 공시된 물량이며, 미공개 바이어가 657,700톤, 한국이 467,000톤을 계약했다.
개별 만기별 종가(7월 31일 기준) 및 8월 1일 오전 변동은 다음과 같다.
· 2025년 9월물 — $3.94 (▲2.25¢) → 현재 -0.5¢
· 2025년 12월물 — $4.1375 (▲1.5¢) → 현재 -0.25¢
· 2026년 3월물 — $4.305 (▲1.0¢) → 현재 -0.5¢
기사 작성자 오스틴 슈뢰더(Austin Schroeder)는 해당 종목(옛 물 산출물 포함)에 대해 직접적·간접적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모든 데이터는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자문이 아님을 강조한다.
전문가 시각·전망ⓒ기자 해설 — 최근 옥수수 선물은 ‘기술적 과매도 구간’에 진입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중서부의 작황이 대체로 양호하다는 점이 가격 상단을 눌러왔다. 그러나 ① 신작 수출 예약이 견조하고, ②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일부 국가에 불확실성을 주는 동시에 한국·멕시코와 같은 주요 수입국에는 시장 접근성을 열어두고 있어 단기 반등 여력도 존재한다. 기자는 4.10~4.20달러/부셸 구간을 첫 번째 기술적 저항선으로 평가한다.
용어 해설(투자자 참고)
· Open Interest(미결제약정) — 만기 청산·인도되지 않은 미결제 계약 수. 거래량과 달리 시장의 자금 유입·이탈을 보여준다.
· CmdtyView Cash Index — Barchart가 현물 거래 데이터를 집계한 전국 평균 현금 가격.
· Old Crop/New Crop — 곡물업계에서 구작(이전 수확 연도)과 신작(다음 수확 예정 연도) 물량을 구분할 때 쓰는 용어.
· MMT — Million Metric Tons(백만 미터톤) 단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