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카고 선물시장 옥수수 가격 동향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BOT) 옥수수 선물시장은 31일(현지 시각) 소폭 강보합세를 나타냈다. 최근월물은 전일 대비 0.25~1.00센트 상승하며 ‘강보합세(holding above water)’를 유지했고, 현물(현금) 평균가는 부셸(bu)당 3.91¼달러로 0.25센트 올랐다.
2025년 10월 31일, 나스닥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이날은 농작물 수확량 연계 보험(crop insurance)에서 보장가격을 결정하기 위한 ‘수확기 가격 발견(harvest price discovery)’의 마지막 날이다. 10월 한 달 동안 집계된 12월물 평균가는 4.22달러로 집계됐다.*1
“오늘까지 집계된 평균 가격 4.22달러는 보험금 지급이나 보전 한도를 결정하는 핵심 기준이 된다.” — 현지 애널리스트
■ 우크라이나 수출 급감
같은 날 우크라이나 경제부는 10월 옥수수 수출량이 0.8백만 톤(MMT)에 그쳤다고 발표했다. 이는 전년 동월 1.73 MMT 대비 절반 수준으로, 흑해 항로 불확실성과 물류 차질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다.
■ 개별 월물* 시세*2
• 2025년 12월물(Dec 25) 4.31¼달러 (+1.00¢)
• 현물 가격 3.91¼달러 (+0.25¢)
• 2026년 3월물(Mar 26) 4.44달러 (+0.25¢)
• 2026년 5월물(May 26) 4.52달러 (−0.25¢)
*1 ‘수확기 가격 발견’은 특정 기간(대개 10월)에 거래된 선물 평균가를 산정해 보험금 지급 기준가격으로 삼는 제도다.
*2 CBOT 옥수수 선물은 계약 만기가 월·연도로 구분된다.
■ 시장 전문가 진단
시장 참여자들은 최근 주가·환율 변동성, 국제 유가 상승 압력, 미 농무부(USDA)의 공급 전망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옥수수 가격이 좁은 범위에서 등락을 반복한다고 분석한다. 부셸당 4달러 안팎의 가격대가 단기 지지선으로 기능하고 있으며, 우크라이나·남미 작황 상황, 곡물 해상 운임, 미국 내 에탄올 수요가 향후 방향성을 가를 핵심 변수로 꼽힌다.
특히 우크라이나의 수출 급감은 세계 공급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미국·브라질 생산량이 풍부한 상황이라 가격 상승폭은 제한될 가능성이 크다는 견해가 다수다.
■ 관련 파생·ETF 투자 동향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은 옥수수 연계 상장지수펀드(ETF)와 옵션시장에서 ‘네트 제도 매수(net long)’ 포지션이 소폭 늘었다고 전했다. 다만 변동성(VIX)을 감안한 위험 보정 수익률은 직전 분기보다 낮아, 적극적 추격 매수(追擊買受)에는 신중이 요구된다는 조언이 나온다.
■ 애널리스트·저자 공시
기사 작성자 Austin Schroeder는 해당 증권에 대해 직·간접적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았다고 밝였다. 본 기사에 포함된 모든 정보는 참고용이며, 투자 권유 목적이 아니다.
■ 용어 설명 및 FAQ
Harvest Price Discovery: 미국 연방농작물보험공사(RMA)가 정한 기간(주로 10월) 동안 특정 선물계약의 일별 종가 평균을 산출해 보험금 지급 기준가격으로 삼는 절차다. 일종의 ‘결정(결산) 가격’으로, 실제 수확량이 보험 가입 시점에 예상했던 것보다 감소했을 때 보험금이 얼마나 지급될지를 좌우한다.
Cash Corn: 선물계약이 아닌 실물 인도가 가능한 현물 옥수수를 뜻한다. USDA 산하 농무 마케팅 서비스(AMS)가 집계한 각 지역 엘리베이터(elevator·곡물 저장 설비) 현금 거래가격 평균을 지칭한다.
부셸(bu): 미국 곡물 거래에서 사용하는 부피 단위로, 옥수수 1부셸은 약 25.4kg에 해당한다.
■ 전망과 관전 포인트
전문가들은 11월 초 예정된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 브라질 파종(播種) 진척 상황, 흑해 지역 물류 리스크 등을 동시 주시하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4.20~4.40달러대에서 ‘박스권(Box)’ 거래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지만, 미국 중서부 수확 속도가 빨라지거나 에탄올 가동률이 회복될 경우 4.50달러 돌파 시도가 재개될 수 있다는 예상도 나온다.
반면 국제 에너지 가격이 하락세로 돌아서고, 달러 강세가 심화될 경우에는 3.80달러 아래로 밀릴 수 있다는 경고도 제기된다. 이에 따라 기관들은 헤지(hedge) 목적의 옵션 전략과 분할 매수·매도(梯形運用) 병행을 권고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