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수수 선물價, 단기 조정 지속…미 시카고 시장서 4~5센트 추가 하락

시카고 상품거래소(CBOT) 옥수수 선물 가격이 22일(현지시간) 오전장에서도 약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개장 초기부터 4~5센트가량 밀리며 전일 낙폭을 확대하는 모습이다.

2025년 7월 22일, 나스닥닷컴(Nasdaq.com)의 보도에 따르면 전일(21일) 시카고 옥수수 선물은 장중 저점 대비 다소 저가 매수가 유입됐음에도 불구하고 최종적으로 4~5.5센트 내린 채 마감했다. 거래 세부 내역을 보면 예비 개장 미결제약정(open interest)이 1,259계약 감소해 투자자들의 관망세가 엿보였다. 또, CmdtyView 집계 전국 평균 신곡(2025년산) 현물 옥수수 가격은 부셸당 3.80달러로 집계됐다.

미국 농무부(USDA)가 21일(현지 기준) 발표한 주간 작황진척도(Crop Progress)에서는 7월 20일 현재 옥수수 작물의 출사(silking) 비율이 56%로 5년 평균 대비 2%p 뒤쳐졌다. 도우(dough) 단계 역시 14%로 평균치(12%)를 소폭 상회했다. 작황 등급은 양호·우수(good/excellent) 비율이 74%로 전주와 동일하며, 브루글러500(Brugler500) 지수는 385pt를 유지했다.

용어 해설*
출사(silking)는 옥수수 암수화 수분이 이뤄지는 시기로, 수확량을 좌우하는 핵심 생육 단계다. 도우(dough) 단계는 옥수수 알갱이가 반죽 형태로 굳어가는 시점으로, 알곡 형성과 수분 함량이 급격히 변하는 시기다. Brugler500 지수는 민간 분석사 Brugler Marketing이 발표하는 현장 조사 기반 작황 체감지수로, 500점 만점에 가까울수록 작황이 좋음을 의미한다.


같은 날 오전 발표된 USDA 주간 곡물 선적(Grain Inspections) 보고서에 따르면 7월 11~17일 사이 수출 검사(inspection)를 통과한 옥수수 물량은 983,625톤(MT)으로 파악됐다. 이는 전년 동기 991,257톤보다는 소폭 줄었으나, 직전 주(1,314,000톤)와 비교하면 뚜렷한 감소세다. 다만 올해 누계 기준 선적 물량은 5,871만8,000톤(약 23억1,500만부셸)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8.9% 증가했다.

“한국 사료업계가 밤사이 옥수수 14만 톤 구매 입찰을 진행했다”는 시장 소식이 더해지며, 수입국의 저가 매수 움직임이 확인됐다.

개별 만기별 가격 현황도 약세를 면치 못했다. 2025년 9월물은 4.75센트 내린 4.03 3/4달러(장 마감 기준)에서 추가로 4.5센트 떨어져 거래 중이다. 2025년 12월물은 5.5센트 내린 4.22 1/4달러로 마감한 뒤 다시 4.75센트 하락했다. 2026년 3월물 역시 5센트 내린 4.39 3/4달러에 이어 4센트 추가 약세를 기록했다. 현물 시장에서는 구곡(spot) 가격이 3.90달러, 신곡(new crop) 가격이 3.80 1/8달러로 각각 4.75센트, 5센트씩 하락했다.

시장 해석과 전망
전문가들은 최근 옥수수 선물 가격 조정이 중서부 곡창지대의 양호한 기상 여건예상보다 빠른 생육 진척에 기인한다고 보고 있다. 미결제약정 감소는 매수·매도 양측 모두 신중 모드에 들어갔음을 시사한다. 수출 선적이 전주 대비 큰 폭으로 줄어든 점도 단기 약세 요인으로 지목된다. 다만, 연간 누계 선적이 전년 대비 30% 가까이 늘어난 만큼, 물동량 자체는 탄탄하다는 평가가 뒤따른다.

또 다른 변수는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정책 경로다. 달러 강세가 이어질 경우 농산물 수출 가격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어, 추후 환율 방향성도 주의 깊게 살펴야 한다.

트레이딩 관점에서 단기적으로는 4달러 선이 기술적 지지선 역할을 하는지 여부가 핵심이다. 2025년 9월물 기준 3.95~4.05달러 박스권이 붕괴될 경우, 3.80달러대 후반까지 추가 하락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반면, 수출 수요가 재개되고 작황 리스크(가뭄·폭염 등)가 부상할 경우 4.30달러 선 회복도 가능하다.

한편, 본 기사 작성자 오스틴 슈레더(Austin Schroeder)는 해당 종목에 직·간접적인 포지션을 보유하지 않았으며, 기사에 포함된 모든 정보는 투자 자문이 아닌 참고용임을 명시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바차트(Barchart) 공시 정책을 참조하면 된다.

※ 본 기사에 실린 견해와 해석은 기자 본인의 전문가적 소견이며, 나스닥(Nasdaq) 및 본지 편집국의 공식 입장과는 무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