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OpenAI)가 2025년 들어 연간화(annualized) 기준 매출 120억 달러를 돌파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 갔다. 다만 같은 기간 현금 소진(cash burn) 규모 역시 확대돼 투자자들의 눈길이 쏠리고 있다.
2025년 7월 31일, 인베스팅닷컴의 보도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오픈AI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거의 두 배 늘어났으며, 이를 연간화할 경우 12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해당 수치는 회사가 월 10억 달러 수준의 매출을 꾸준히 달성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같은 기간 ChatGPT 제품군의 주간 활성 사용자는 약 7억 명으로 급증했다. 이는 글로벌 인구 10명 중 1명꼴로 오픈AI 서비스를 주간 단위로 이용하고 있다는 뜻이다.
용어 해설 – ‘연간화 매출’과 ‘주간 활성 사용자’
‘연간화 매출(Annualized Revenue)’은 특정 기간의 매출을 12개월로 환산한 값이다. 이를 통해 기업은 계절적 요인이나 일시적 변동을 배제하고 연간 실적을 가늠할 수 있다. 또한 ‘주간 활성 사용자(Weekly Active Users)’는 해당 서비스에 일주일에 한 번 이상 접속한 단일 사용자를 집계한 지표로, 플랫폼의 충성도와 트래픽 강도를 가늠하는 핵심 수치다.
그러나 비용 증가 역시 만만치 않았다. 보도에 따르면 오픈AI는 2025년 현금 소진 예상치를 기존 70억 달러에서 80억 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Cash Burn’이란 무엇인가?
‘현금 소진(Cash Burn)’은 순이익이 아닌 영업·투자 활동으로 인해 소모되는 현금을 뜻한다. 스타트업·테크 기업은 성장 단계에서 매출보다 투자가 더 큰 구조를 보이기 때문에, 이 수치가 재무 건전성과 직결된다. 오픈AI의 경우 인공지능 모델 훈련에 필요한 대규모 컴퓨팅 자원과 인재 확보 비용이 주요 소요 항목으로 꼽힌다.
마이크로소프트가 후원하는 오픈AI는 최근 총 300억 달러 규모의 신규 자금 조달 라운드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두 번째 300억 달러 트랜치를 위해 투자자를 물색 중이다. 세쿼이아 캐피털(Sequoia Capital)과 타이거 글로벌 매니지먼트(Tiger Global Management)가 수억 달러를 투입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대규모 자금 조달은 AI 모델 학습에 필요한 그래픽처리장치(GPU) 확보·데이터센터 확장·연구 인력 충원 등에 사용될 전망이다.
오픈AI는 아울러 8월 첫째 주 차세대 모델 GPT-5 공개를 예고했다. GPT-5는 현행 GPT-4 대비 매개변수(parameter) 규모와 추론 속도 모두에서 대폭 향상될 것으로 알려졌다. 구체적 스펙은 베일에 가려 있지만, 업계는 GPT-5가 다중 모달(multimodal)·장기 기억(long-term memory)·향상된 맥락 파악 능력 등을 구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업계 파급효과와 전망
“ChatGPT는 2022년 말 출시 후 역사상 가장 빠르게 성장한 서비스 중 하나”
라는 시장 평가는 여전히 유효하다. 출시 2개월 만에 월간 활성 사용자(MAU) 1억 명을 돌파한 바 있으며, 이번 주간 사용자 7억 명 기록은 AI 서비스의 대중화 속도가 얼마나 빠른지를 여실히 보여 준다.
전문가들은 ‘매출 성장 속도’와 ‘현금 소진율’ 간 균형이 향후 오픈AI 기업가치 평가의 핵심이 될 것으로 본다. 특히, Microsoft와의 전략적 제휴가 지속되는 가운데 대규모 GPU 수급 문제, 에너지 비용, 규제 리스크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요약하자면, 오픈AI는 높은 성장성을 입증했지만 비용 구조 개선이 시급하다. 강력해진 경쟁 구도 속에서 GPT-5가 상업적·기술적 성공으로 이어질 경우, 매출·사용자 수 모두 추가적인 레벨업이 가능하다. 반대로 비용 증가가 통제되지 않을 경우, 대규모 투자 유치에도 불구하고 수익성 확보의 난제가 지속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본 기사에 언급된 수치와 전망은 모두 인베스팅닷컴이 2025년 7월 31일 보도한 원문 정보를 번역·정리한 것이며, 추가적인 예측치나 추정치는 포함하지 않았다.